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남자가 ㅄ인건 확실한데, 높은 확률로 모쏠이 들이댈 정도면 여자가 여지를 주는 경우도 꽤 있음.
모쏠은 아무나 안(정확힌 못)건드림. 자기에게 여지를 주는 애한테 혼자 착각 빠져서 들이대는거지 눈치도 없거든 보통.
여자는 난 그냥 사회 생활 한거다/몰랐다 무새 하는 경우가 많은데, 솔직히 그거 모를수가 없음. 본인이 은근히 빨아먹을게 있어서 살짝 밀당 좀 한 것도 있을꺼임.
그래서 난 여미새나 그거 받아주다가 나중에 연구실 분위기 박살내는 여자애나 다 곱게 안봄..
연구실 여미새는 본인이 티가 안 난다고 생각하는 걸까
37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54 - 근거 없는 자신감이라고 하죠.. ㅎㅎ 확실한건 2050년에는 세계 최고수준의 노인대국 돼있을겁니다.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32 - 근거 없는 패배감 보단 낫죠. 어차피 문제는 있을 것이고 거기에 대한 대응책도 계속 나올 것입니다. 반도체 전기전자 우주항공 조선 철강 석유화학 신소재 군사 문화 많은 부분에서 우리나라가 앞서고 있죠. 앞으로 어려운 점들도 있겠지만 과거에 그랬든 미래에도 잘 대처해 나갈 거라고 믿습니다. 노령화 사회문제도 마찬가지고요. 망했다는 게 정확히 뭘 말씀하시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28 - 부럽다
우리 교수는 내가 가르쳐주고, 다음 미팅 때 백지화 되있어서 또 설명해주고 반복임, 피드백도 오! 너무 좋네! 끝. 연구적인 피드백 전혀 없음.
연구하는게 아니라 그냥 혼자 학교에서 자습하는 것 같음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35 - 건설한 토론과 정당한 의문과 비판적인 자세는 연구자에게 좋으나 너무 교수를 무시하진 말아주세요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25 - 인건비는 논문이 아니라 과제 수행의 대가로 받는 것입니다. 물론 우수 논문의 경우 향후 새로운 과제를 위한 세일즈에 활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랩에 따라 내부적으로 인센티브를 지급할 수도 있으나 단순히 논문 몇 개를 게재했느냐로 인건비를 이야기하는 것은 부적절해 보입니다. 오히려 apc 비용도 지불하여야 하기 때문에 어중간한 논문만 많이 발표하는 것은 연구실 운영 측면에서 득보다는 실이 더 많다는 생각입니다.
논문 연간 몇개정도 써야 월급값을 할까요?
13 - 한국 문제 심각한것도 맞지만 니가 뭐 깨닫은거마냥 꼴갑떠는것 보기 역겨운 것도 사실임.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11 - 근데 원래 토론은 그렇게 하는거에요. 꼭 개긴다고 표현하는 건 우리나라 안좋은 문화이고, 본인의견을 모두말하고 또 받고 하면서 서로 성장하는것. 그나저나 건설적인 좋은 대화를 받을수 있는 자세가 두분에게 되있는것 같아 보기좋네요. 자기의견이랑 다르면 얼굴바로 어두워지면서 대화가 아예 안되고 심지어 자기의견 맞는거 보여주고 싶어서 학생 연구나 실험 안되기를 바라는 마인드를 가진 교수들도 있어요. 전형적인 소인배 열등감 우물안 개구리로 자란 교수들이요.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29 - 요즘은 사기업에서 직급이나 대우를 다르게 하는 일은 많이 없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래도 취업할 때 좋은 학교면 유리하긴 하겠죠? 교수임용에는 솔직히 영향이 아예 없다고는 말씀못드리겠지만, 이공계열에서는 성과 좋으면 학벌 인식은 극복 가능합니다. 그런데 그냥 학벌 가산점때문에 뽑힌다기 보다는, 좀 재귀적인 대답이긴 하지만, 실적을 잘 낼만큼 능력이 좋은 사람은 애초에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는 방향으로도 생각해보세요.
박사 학위 받는 곳에 따라 그렇게 차이나나요?
17 - 밑에서 3번째 줄이 핵심.
여기 김학사넷에 올라오는 대부분 저격글 똥끌은 쓰는놈이 폐급일 확률이 매우 높다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20 - 정치적인 이유같은 소리하네 소부장, 뿌리기술 이전부터 소재공학은 항상 강세였음. 이게 화공, 공정 등을 아예 포괄하다보니 너무 큰 테마가 되어버리면서 제조업에 필요한 기술이 접목되어버림
이러한 이유때문에 재료공학박사는 많아도 좆도 모르는 물박사 또한 넘쳐나는 분야임
한국에 유독 재료공학 하는 사람이 많은듯?
12 - 글쓴이 성향은 창업입니다. 연구에 관심이 없어요. 그런데 박사를 스펙을 위해 한다는건 어불성설입니다.
반대로 연구만 쭉 한 박사들 주제에 창업이 쉬울 줄 알고 스타트업 뛰어들었다 망하는 경우도 많죠.
본인의 적성을 한번 고려해보세요.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6
카이스트 전산 면접 후기
2021.05.19

이번 카이스트 전산학부 석사 면접은 진짜 열심히 준비했네요
제 방에서 면접을 봐서 뒤에 배경에 있는 옷장도 치우고,
양복도 꺼내서 입고 우황청심원에 조명도 분비하고...
스펙은 P 3점 중반 비전공 졸업생이고,
현재 카이스트 전산학부 랩에서 인턴을 하고 있습니다.
알고리즘, ML 관련 선형대수와 확률을 복습했고,
4일 전부터 면접 관련 유튜브를 보면서 질의응답을 준비했습니다.
면접 시간은 아침, 저녁 2번이었습니다.
1차 면접은 꽤 좋았고, ML관련 세 질문 중 마지막 질문에 대답을 못했습니다.
배운 내용이었긴 한데 그 부분까지 질문할지는 몰랐습니다.
2차 면접은 한 교수님이 제가 인턴에서 연구한 것에 관심이 많으셔서
그 교수님이랑 이야기하면서 제가 앞으로 연구를 어떻게 할 것인지를
중점적으로 이야기했던 것 같습니다. 다른 교수님들 질의 시간이 없었네요.
3차 면접은 좀 털렸는데, 제 전공 과가 특이해서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특히 전산학부 관련 수업에서 C받은게 있어가지고...
그냥 제가 수업을 못따라가서 그렇게 되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운이 좋았던 것은 영어 면접이 없었다는거...
이게 다들 그랬는지 잘 모르겠네요.
전공 관련 질문도 1차 면접에서만 나왔고
복습한 것은 의미가 없었습니다...
1분 자기소개 준비한 건 엄청 도움이 되었습니다.
면접 관련 유튜브 보면 다 1분 자기소개가 중요하다고 하더라구요.
저는 인턴 연구 내용으로 1분 자기소개 준비했는데,
3번 모두 자기소개 해달라고 하셔서 신나게 자기소개 했습니다.
이게 엄청났던게 이 소개가 끝나니까 대부분 다음 질문이
인턴 연구 이야기로 넘어가더라구요.
지금 연구하는 내용이라서 답변하기 쉬웠습니다.
예전에 면접 볼때도 유튜브 보고 준비했으면
더 잘 볼 수 있지 않았을까 싶네요.
제발 합격했으면 좋겠네요. ㅠㅠ
카이스트 물리 대학원 면접 후기 김GPT 1 21 11127
대학원 재수해본사람이 남기는 면접후기 김GPT 14 6 9511
카이스트 면접 다들 어떠셨나요 김GPT 1 17 6077
카이 경공 면접 후기 김GPT 0 8 956
카이스트 전산학부 면접 김GPT 0 3 853
카이스트 면접.. 김GPT 1 2 7279
카이스트 면접 결과가 두려운가? 김GPT 13 4 1627-
5 2 6627
카이스트 전산 면접 김GPT 1 8 5123-
220 37 76835
논문 1저자 투고 후 아예 제명 당했습니다. 명예의전당 135 89 86116-
165 30 44908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266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19 - 박사졸업이 길어져 남편이 힘들어합니다.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96 - 분야와 적성 직업에 대한 저의 느낌 (장문 주의)
268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08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89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36 -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48 - 랩실 나가고 나서까지도 스스로가 계속 실망스럽네요
21 - 대학원 출퇴근 시간과 저녁 없는 삶에 관하여.
14 - 美는 이미 'AI 법률 비서' 대세인데…그들만의 리그에 갇힌 서초동
16 - 대학원생을 위한 화법 레슨
7 - 아니 ㅅㅂ 연합동아리에서 대체 뭘하는거예요?
9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82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33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49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15 - 논문 연간 몇개정도 써야 월급값을 할까요?
42 - 한국에 유독 재료공학 하는 사람이 많은듯?
15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10 -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진학 현실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21 -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13 - 카이스트 화생공 면접
9 - 교수님이 이상한 것 같아요.
10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16 - 고등학생 연구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장문)
9
2021.05.19
대댓글 1개
2021.05.19
2022.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