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 기사 읽은거 맞음?
결국 연공서열 중심의 호봉제 개선하고
직급과 직무 우선주의인 직무급제 시행해서 정년 늘려도 경영부담 안되게 바꾸고 실력과 직무에따라 임금 더 받게 바꾸겠다는 기사인데 저걸보고
석사=박사라고 결론내는거임?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33 - 기사댓글이나 유투브댓글이나
제목만 읽고 욕하는게 요즘 대부분인데
심지어 봇댓글이 난무하고 죽은 인터넷 이론도 도는 요즘 세상에 그런걸 믿으시나요?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16 - 팩트는 MDPI 들고 석사졸업해도 잘한거임 ㅋㅋ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7 - 환경주의자 LGBT 이런거 좋아하시나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4 - AI를 연구하고 있긴 하지만 동의합니다 과학 기술 발전 과정 중 소외된 부문들에 대해 눈을 돌릴 때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23 - 깨시민인척 하지만 본인의 능력 부실을 저주하며 빠르게 발전하는 세상을 저주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다는 점 잘 알았습니다.
부족한 것은 잘못이 아닙니다. 비슷한 사람들과 즐겁게 살아가시면 됩니다. 다만 이상한 신념을 구구절절 설파하며 정상인들의 노력하는 사회를 병들게 하지말아주세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6 - 학부입결을 왜 여기에 물어보시는지... 굳이 답하자면 학과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포스텍과 연고대 입결차이 꽤 크고, 졸업 이후 차이는 그보다 더 크다고 봅니다. 서카포/연고 라는 인식이나 순위가 괜히 만들어지고 유지되는게 아니긴 합니다. 하지만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연고대 선호도가 올라간건 사실입니다. 예전이 9:1이라면 지금은 7:3 정도의 체감이네요.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20 - 어떤 이유로 이런 등신같은 소리를 하시는지...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4 - 후자가 더 크죠
학교 급간이 달라요
서카포 1티어
연고 2티어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3 - 요즘은 학부만 놓고 보면 SK YKP가 맞죠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20 - 학부생들 댓글 재밌네요 ㅋㅋㅋ 취업 할 때 되면 정신 차리겠죠~ SKP랑 YK의 취업문 자체가 다르다는 걸 학부 저학년들은 알 리가 없으니...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5 - 속은 상하겠지만, 본인의 일을 너무 교수님에게 의존하는것도 문제일수도 있어요.
이건 본인이 당사자와 잘 타협해서 좋게 끝낼문제인데, 교수님까지 관여된거로 보입니다.
어찌보면 교수님의 행동이 이해도 가고, 다큰 어른이 저런거로 당사자와 알아서 해결도 못하는것도 한심해보이긴 합니다.
이런건 잘 알아서 하시는게 좋구요. 교수님과 일적인 문제면 보고 일일히 드리는게 좋은데 개인 물건가지고 이러는건 좀... 머랄까....음....질이 안맞달까?
좀 그렇네요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14 - 신기하네요. 학부모도 아니고 개인간의 소지품 문제를 왜 교수에게 물어보나요?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14
현직 교수가 전하는 요새 임용 트렌드
2019.08.17

엄청 길게 썼다가 다 날아가서 그냥 요점만 씁니다 ㅠ 어디까지나 주관적 경험이며 절대적 기준은 아닙니다. 작성자는 30대 중반 지거국 공대 n년차 조교수. 학생 시절에 김박사넷 뺸질나게 들락거리다가 오랜만에 생각나서 와본 김에 정보 공유해 봅니다.
국박/해박
요샌 해박 위상 많이 내려왔음. 임용사례보면 4:6에서 5:5까지도 되는 느낌.
포닥
심사위원에 따라 해외경험 매우 중시하는 분들도 있어서 어지간하면 필요함. 특히 국박이면 거의 필수.
학벌
솔직히 봄. 중요도는 학부>대학원 (대학원 학벌은 대부분 학부 이상이니까). 대체로 유학파랑 skp를 동급으로 보고 자대 학부생 고려함. 학부 학벌이 자대 이하면 부정적.
전공적합성
매우 중요. 왜냐면 은퇴 등으로 빈 강의를 할 사람이 필요함. 사실 대부분의 임용공고는 빈 강의를 맡을 사람이 필요해서 그쪽 전공으로 내는 경우가 많음.
ㄴ 특이 사례로 전공적합성이 너무 잘 맞아서 국박 졸업하자마자 바로 임용된 경우 봄. 포닥 없이!
나이
학과by학과인데 중요하게 보는 곳에선 꽤 큰 요인. 대체로 어린 건 큰 문제 안 되나 나이 많으면 문제됨. 학과 막내교수 나이가 기준이 되는 학과도 있고, 우리 과의 경우 40대 초반까지 아슬아슬.
실적
인문사회계는 모르겠는데 이공계는 논문실적 뛰어나면 위에 언급한 요인들 대부분 상쇄 가능. 논문의 양과 질 모두 중요.
ㄴ다만 전공적합성이 쌩뚱맞으면 논문괴물도 임용문 뚫기 힘듬. 이유는 위에 쓴대로.
조언
재작년부터 베이비붐 세대 교수님들 은퇴 가속화 중. 우리 과만 해도 앞으로 n년 지나면 학과 교수님의 절반이 사라져서 매년 신임 뽑는 중임. 교수 노리는 후배님들은 앞으로 n년이 T/O 왕창 풀리는 기회의 창이니 논문 열심히 쓰시는 것을 추천.
현직 교수가 나누고 싶은 잡담 김GPT 43 7 11641-
75 17 6585
UNIST 교수 처우 공유 김GPT 26 14 8930-
1 12 5164
교수 현직임 질답시간을 가지자. 김GPT 18 71 6137
한국 교수직에 대한 넞두리 김GPT 17 24 8747-
49 40 6402
용의 꼬리가 되니 너무 힘듭니다(하소연 글) 명예의전당 66 33 26988-
400 74 51805 -
163 33 45609
교수 전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교수 전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30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77 - 도대체 교수님은 저놈을 왜 박사시켜주는건지 모르겠습니다
6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22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2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30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7 - 제가 머리가 좋진 않지만 갈리레오 갈리레이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겠어요
9 - AI 탑티어 논문은 솔직히
4 - 번아웃 교수님
6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21 - GPT가 학부생 대학원생 수준을 끌어올린다
14 - 교수님 자랑좀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유학 고민
57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5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6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11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12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 개꿀박사 이게 맞는걸까요?
14 - 창원대학교 ㄱㄱ 공학부 박 ㅁ ㄱ 교수는 도대체 ...
14 - 개빡대가리 선배 때문에 힘듭니다
10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32 - 원래 학회가면 술만 먹다가 오나요?
13 - 대학교수는 담임 선생님이 아니다.
8
2019.08.17
2019.08.17
2019.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