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로망을 따라 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들러 왔습니다.

2020.11.09

23

11765

안녕하세요.

예전부터 거대로봇에 대한 로망이 있어서 석박통합으로 자대 로봇제어 연구실에 입학했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휴머노이드의 휴자는 커녕 로봇제어도 구경조차 못하고 AI쪽 연구를 하다가 결국 꿈을 따라 석탈로 랩실을 뛰쳐나온 학생입니다.

이번학기부터 일본 T/K대 박사과정으로 입학에 성공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는데요....

연구실 주력 연구분야가 kinematics base humanoid control입니다.

입학허가서 받은 후 kinematics 기반 로봇제어를 열심히 공부했는데도 본전공이 전자과이다보니 기계과 베이스 제어가 너무 어려웠습니다ㅎㅎ

그래도 조금씩 열심히 하다보니 제가 꿈에 그리던 로봇이 실제로 어떻게 움직이는지, 그리고 어떤 과정으로 제어되는지 조금씩 배워나가는 과정이 너무 신기하고 재미있습니다.

아직 부족한 점이 많고, 전공도 달라져서 공부해야할 길이 태산이지만 그래도 꿈을 향해 한발짝 나아간다는 기분이 너무 좋습니다.

얼른 저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랩실에 있는 로봇을 제맘대로 움직여보고싶습니다. 언젠가 제가 이친구를 원하는대로 움직일 수 있게 하면 그때는 감격해서 울것같아요~

요즘도 자기전에는 당장 구체적인 연구주제는 어떻게 잡아야할지, 졸업한 후에 한국으로 리턴을 해야할지, 휴머노이드라는 분야가 수요가 있을지, 제 인생은 어떻게 되는건지 등등 걱정이 많이 들어 이게 잘한걸까 생각이 많이 들지만, 그래도 제가 좋아하는걸 할 수 있다는 희망과 꿈에 한발짝 더 다가가고있다는 그 기쁨이 그런 생각을 이겨낼 수 있게 해주네요.

일본 박사가 요새는 많이 대우받지 못하는것같지만, 특정 분야에서는 저같은 사람들에게 매우 희망적인 곳이기도 한것같습니다ㅎㅎ

혼자서 한국도 못 돌아가고 지내다보니 소통하고싶어 쓴 글이 길어졌네요^^;; 다들 힘든 학위생활 화이팅하시고 박사 졸업장 들고 학계에서 뵙길 바라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IF : 2

2020.11.09

축하드립니다!

2020.11.09

와 꿈 이루기 위해서 제대로 된 곳 갔네요. 건담은 역시 일본이지 ㅋㅋ

2020.11.09

부럽습니다. 저도 로봇쪽으로 대학원을 가고 싶었는데 말이죠. 혹시 일본어나 영어 마스터 하셨나요

IF : 5

2020.11.09

건담은 역시 일본이지2222

2020.11.09

Maimonides/ 영어는 마스터까지는 무리였고 sci급저널 3편정도 써본정도와 toefl 한달정도해서 93점정도 받았습니다.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해요. 일본어는 그냥 평범한정도인것 같습니다 의사소통되고 일상생활은 문제없지만 academic한 회화나 수업 따라가는 부분은 어렵네요

2020.11.09

혹시 도쿄대 JSK 랩이신가요?

2020.11.09

Jean Baudrillard/ 분야가 분야다보니 좁아서 아시는분들은 아실지도 모르겠지만 랩실에대해 특별히 궁금하신점이 있으신게 아니시면 자세한 신상은 말씀드리기 어려울것같습니다. 죄송합니다.

2020.11.09

궁금해서 그렇습니다 실례가 안된다면 개인적으로 연락드려도 될지요?
참고로 저도 현재 도쿄에 있습니다

2020.11.09

Jean Baudrillard/ 그러면 개인적인 신상이 들어갈 것 같은 얘기가 될수 있을듯하니, https://open.kakao.com/o/sqkGaZFc 이쪽으로 연락주시겠어요?

2020.11.09

로봇에 흥미가 있어 로봇제어를 전공으로 택하려는 전자공학과 3학년 학부생입니다. 전자과이다보니 로봇에 어떤 학문이 필요한지 잘 모르는 상태입니다. 흥미로운 논문들을 살펴보니 수학과 역학이 대부분인 것 같아 남은 1년동안 선형대수, 최신제어개론, 확률과정, 동역학, c언어, ros, matlab 이정도를 집중적으로 공부하려 합니다.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필요한 부분이 어떤 것이 있는지요? 마지막으로 전자과에서 배운 전공들 중에 어떤 과목이 쓰이는지도 궁금합니다...

2020.11.09

Karl Polayani/ 로봇분야에도 세부전공이 엄청나게 많아서, 사실은 전공 따라 배워야하는 내용이 다른것같습니다. 정하기 전까지는 말씀주신 내용을 좀더 탄탄히 보시는게 좋을것같아요! 전자과 과목중에서 도움이됐던건 제어이론부분과 영상처리관련 과목이었습니다. 메카트로닉스 관련 과목도 도움이 많이 되었구요

2020.11.10

Rabindranath Tagore/ 기본 과목을 공부하면서 어떤 세부 전공이 있는지 찬찬히 살펴봐야 겠군요. 하고 싶은 연구를 하신다는 게 정말 부럽습니다. 멋있는 로봇공학자가 나오기를 기대하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2020.11.10

부럽고 멋지십니다
Anton Chekhov*

2020.11.10

관련 전공자인데 글이 넘 이해가 안가서 리플단다

1. 왜 하필 휴머노이드? 저가형 휴머노이드도 대당 4,5억씩 하고 그나마 극소수의 로봇을 제외하면 신뢰성있게 걷지도 못하기 때문에 실용성은 제로수준인데?

2. 웬 kinematics 기반 제어? 요즘 Inverse dynamics, QP, LQR등 optimization 그리고 machine learning 기반 제어가 대세인데 기구학기반 위치제어는 20년 전에 하던건데?

3. 왜 하필 일본? 최신 휴머노이드 제어는 BDI, Agility Robotics 등이 있는 미국이 훨씬 앞서가는데? 그리고 한국에서도 세계에서도 갈라파고스인 일본 학위는 제대로 인정 못받는데?

2020.11.10

Anton Chekhov/
1. 모든 연구가 다 실용성 있어야만 가치가 있는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다 하나쯤 하고싶은 연구가 있지 않나요? 3번 질문과 관련해서 일본 연구문화가 실용성과 상관없는 연구도 지원 많이 해주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해서 오게 되었구요.
2. 정확히는 기구학기반 제어가 아니고 ZMP-COM 제어를 이용해서 말씀하신대로 inverse dynamics control을 하는 랩실입니다. 이 부분을 이해하기 위해 kinematics가 필요한데, 제가 기계과 전공이 아닌지라 이쪽 부분을 아예 몰라 공부하는 중인지라 오해가 있을 수 있게 썼네요.
3. 1에 말씀드린것과 마찬가지로, 연구 분위기가 마음에 들었습니다. 펀딩을 받을 기회가 있었기도 했고요. 그리고 모든 사람이 다 미국 대학에 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타인의 대학이나 연구를 그렇게 공격적으로 폄하하듯 말하실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 저희 랩실에서 진행되는 연구가 해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서 도전한 것이고, 솔직히 인정도 제대로 못받는다는 말씀은 초면에 듣기 좋은 얘기는 아닌 것 같네요;; 미국 대학이 좋은 것은 누구나 알지만 모두가 거기를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니 타인의 연구와 학위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면 더 좋은 연구자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2020.11.10

자대 석사를 하시고 일본으로 건너가신건가요? T/K/동경공 박사 목표로 하고 있는데, 자대에서 석사를 하고 넘어가야할지, 바로 건너가야할지 고민입니다.
Anton Chekhov*

2020.11.10

ㄴㄴ님이 연구를 계속 한다면 평생 그런 질문을 계속 받을거임
그걸 공격으로 받아들일 멘탈이면 대학원 다니기 힘듬

대댓글 1개

2023.03.25

이건 맞는말 같네요..

2020.11.10

지가 먼저 시비걸고 이런것도 못버틸 멘탈이냐 ㅉㅉ 이러고 있네 소름돋게
Johann Wolfgang von Goethe*

2020.11.10

난 Anton 말 이해하는데? 저게 공격으로 받아들여지면 대학원 어케 다님?
논문 쓸때 피어 리뷰 받고 너 왜 나 싫어해? 이럴겐가
Francis Birch*

2020.11.10

ㄴ꼰대는 지가 꼰대인줄을 몰라요
리뷰어는 태클을 거는게 일이니까 거는거고
별 뭣도 아닌 새끼가 태클거는건 꼰대짓이고
존나 세상에 적을 만들고 다니네

2020.11.10

Johannes Bosscha/ 네 저는 자대 석사하고 넘어갔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리턴 안하시고 일본에 남을 생각이 있으시거나 연구 분야가 일본에서 확실한 메리트가 있으시면 바로 석사로 오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다만 연구 분야가 한국보다 일본에서 큰 메리트가 없는 것 같고 한국 리턴하실 생각이 있으시다면 일본에 건너오시는 것은 한번 더 생각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0.11.12

K대 Y 교수님 밑에 계셨군요.....앞으로 좋은 일만 있길 빌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