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한번 지피티든 제미나이든 딥 리서치로 요약 분석 돌려서 흐름 파악한 후에 논문을 다시 읽는데 좀 날로 먹는가 해서요
처음부터 지피티 없이 논문 날것 자체로만 읽는게 더 도움이 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5.11.01
아녀 그냥 저도 지피티에 pdf따서 올린다음 장점약점 분석해보라고 합니다
2025.11.01
시대가 시대이니까요. 지피티로 기본적으로 1차 검토하고 그 중에 중요해 보이는 논문은 전체 직역시켜서 읽는다거나 합니다. 아무래도 한국사람이라 그런가 영어가 아무리 익숙해도 한글 읽는게 저는 훨씬 수월하더라구요. 그러다가 번역이 이상하다?싶으면 원문확인하고
2025.11.02
Gpt 나오기 이전부터 이미 내 분야 논문은 피겨만 보고 내용 다 파악하는 수준이었어서 논문읽는데 gpt 안씀. 정독 필요하면 피겨 훑은 후에 정독함. 그래도 얼마 안걸림. 논문읽는데 gpt쓰는사람들 보면 한심함. 그런사람들은 평생 gpt없이는 논문 못읽는 수준에 그치는거임
대댓글 7개
2025.11.02
Gpt로 논문 읽는사람 보면 마치 한 자릿수 덧셈도 암산이 안돼서 계산기 쓰는 사람 보는 심정임.
물론 gpt좋고 효율적이지. 근데 gpt 없이도 혼자 해결가능한 수준에 오르고 나서 gpt 쓰는게 의미가 있는거지.
2025.11.02
피인용수 20,000회 넘는 우리 교수님도 gpt로 한번 요약하고 읽으시는데... 취향은 있지만 한심하다고 할 정도인가요
2025.11.02
우리교수님 툭하면 논문 긁어서 gpt 돌려 읽으시는데... 한심했구나
2025.11.02
경지에 오른 후 쓰면 다른 얘기지
2025.11.02
Chat GPT 활용 좋습니다! 논문 목적, 분석방법, 변수, 향후과제 요약 접근해서 관심분야로 확인되면 풀리 독파 추천합니다. 제일 한심한 논리적 주장중에 자신의 주장을 합리화 하기위해 남의 주장을 폄하하는 주장입니다. 다른 주장을 할 수 있겠지만 다른 사람이 하고 있는 행위 자체가 가치 없다고 주장하는 거는 상대방의 주장을 실제보다 더 극단적이거나 왜곡된 형태로 바꾸어 놓고, 그 왜곡된 주장을 공격함으로써 마치 상대방의 원래 주장을 반박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오류입니다
2025.11.02
Gpt없이 논문 못읽는 난독증들 다모였네ㅋ '어느정도 수준에 오르고 나서 gpt 쓰면 의미있다'
2025.11.02
님은 걍 메일 쓰지 말고 전서구로 소통하셈 ㅋㅋㅋ
2025.11.02
신뢰도 문제가 있는 것부터 비전문가가 GPT로 논문 읽는게 문제임. 학생들은 논문 읽으며 겹치는 정보들이 자연스럽게 머리에 쌓여 암기가 돼야하는데 이런 자연스런 반복 체득 학습이 안돼고 있음…
2025.11.01
2025.11.01
2025.11.02
대댓글 7개
2025.11.02
2025.11.02
2025.11.02
2025.11.02
2025.11.02
2025.11.02
2025.11.02
2025.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