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 진학에 대한 생각

2020.11.10

24

9193

안녕하세요


25살 남자입니다.


거두절미하겠습니다.

내년에 수능을 볼까 하여, 

김박사넷분들의 의견 듣고 자기객관화에 참고하고자 글을 썼습니다.


고등학교는 전자 계열 마이스터고를 졸업해서

전기/기계 관련 전국대회 입상을 하여

S그룹에 입사해서 현재까지 일하고 있습니다.


당시에 혈기로는 내가 못할게 뭐냐! 싶었지만...

좀 알게 모르게 벽을 좀 느꼈습니다..


입대해서는 그 벽을 좀 깨보고자

독학학위제 시험 (대졸 검정고시라고 대략 생각하시면 됩니다)

에 응시해서

1년 들여서 합격해서 상위 11~20%성적으로 컴퓨터과학 학사 취득했습니다.

그리고 영어는 OPIC이라고.. AL등급입니다.


근데 이게 참

보통의 정석적인 엔지니어나 연구자의 길과는

완전히 다른 길을 걸었고... (저는 이렇게 해보고 싶었지만)


아시겠지만 또

"모난 돌이 정맞는다"

라는 격언을 속해있는 집단에서 격히 느끼기도 합니다.

(정적이고 안정을 추구하는 집단인데, 저는 계속 뭔갈 해보는걸 좋아하거든요)


따라서

내년도에 수능을 준비해서 인생의 승부를 다시 한번 걸어볼까 합니다..


모의고사나 수능을 본적이 없는지라

그 난이도를 정확히는 모르는데

재수 기숙학원의 시스템을 활용한다면

충분히 좋은 결과를 뽑을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여쭤보고 싶은 점은


1. 입시공부와 연관이 없었지만

 수능 공부는 1년이면 승부할만 하다고 생각하시는지

  (비슷한 사례를 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 또한 저의 최종목표는 기업가가 되는 것인데

   이 시점에 수능 - 대학의 선택지보다

   저의 기업가라는 꿈을 이루기에 더 효율적인 선택지가 있다고    보시는지..?

3. 대학교에서 정말 보고 배우고 싶은 학우나 교수님들이 있으셨는지..?? (이 부분을 좀 기대하고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2020.11.10

잘하고계시면 ssit가시는게 어때요
가셔서 졸업하시고 석박을 알아보세요
수능부터시작하기 좀 긴여정일듯해요

2020.11.10

charles님 정성스런 댓글 달아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올해에 SSIT를 생각해서 그룹장님 추천까지 받고 인사측에 얘기되었는데,,
SSIT는 "삼성전자"공과대학교라서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삼성전자가 아닌 타 계열사에 재직중입니다)

2020.11.10

재수학원 다녀봤는데
재수학원에서 25살은 생각보다 어린 편에 속합니다
더 나이 많은 사람도 꽤 많습니다.
대학 신입생때도 보면 24살 이상도 꽤 많더라고요

해보고 싶으면 도전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작성자분이 군대를 갔다왔다는 가정하에
20살에 바로 대학간 사람들 보다는 졸업이 당연히 늦는건 어쩔 수 없는건데
가서 열심히 하면 됩니다.
저도 25살에 2학년이거든요
그니까 한 번 해보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해요

2020.11.10

사람마다 다른데 요즘 수능은 옛날보다 공부양이 많이 줄어들어서
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영어는 절대평가인데 opic AL이면 영어는 그래도 꽤 한다는거고
이과수학도 내용 많이 빠져서 1년 정말 빡세게 하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탐구야 원래 고등학생때도 고3때 많이 시작하니 1년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IF : 5

2020.11.10

정적이고 안정을 추구하는 집단인데, 저는 계속 뭔갈 해보는걸 좋아하거든요
->> 요건 어느 집단이나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가장 진취적일 수 있는 학교 연구실이라는 곳에서도 그렇습니다. 뭔가 해보라고 말로는 시키는데 생각보다 그런 환경이 되질 못합니다.

3번은 정말 운입니다. 그리고 대학에서 대학원으로 올라가고 어떤 사람을 더 오래 깊이 알게되면 실망하는 면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내 머리가 커질수록 그런 면들이 더 잘 보이게 되기도 하구요.
조금은 냉정하게 생각하셨으면 합니다. 기대가 큰 만큼 실망도 크게 마련이니까요.

IF : 5

2020.11.10

수능을 본 지 많이 오래되어 그 관련 의견을 낼 순 없지만, 개인적으로 전 앞으로 미련이 남을 길이라면 그나마 갈 수 있을 때 가는게 좋다고 생각이 듭니다.
몇 년 지나면 정말 가고 싶어도 가기 어려워질지도 모르니까요.
Wilhelm Konrad Roentgen*

2020.11.10

그냥 설카포 석박ㄱㄱ
Siegfried Sassoon*

2020.11.10

지금 운이 좋아서 본인 능력보다 훨씬 좋은 직장에서 일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임
모난 돌이 정맞는 이유는 본인이 잘나서가 아니라 눈치가 없기 때문인 경우가 보통임
주제파악을 심하게 못하고 있는거 같은데 정신차리고 일하는거 추천

2020.11.10

첫댓인데
국제 대회 나가서 금메달 은메달 따신분 많이보아서 말씀드리는데 사실 수능 대학 공부란게. 국제대회 준비랑은 또다릅니다. 대단히 숨은잠재력이잇으셔서 일년공부하시고 스카이 가서 30에 학사 삼전 들어가기 더힘들어 보입니다 만약 취업이 목표시라면 좋은선택은아닌것같고
다른뜻이 있다면 도전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저도 비슷한 고민이 있어요 여기서 박사님들 에 치이면서 살고 잇는데 이게 실력의 문제를 떠나 긴판과 명성 인정 등이 잇어서 진학을 또 고민하고ㅠ잇어서요
글쓴이님은 좋은 선택 바랍니다

2020.11.10

Luis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 선택에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2020.11.10

sigfried님 조언 감사드립니다.
차가운 머리로 냉정하게 검토해봐야겠네요

2020.11.10

charles님 조언 감사드립니다 ㅎㅎ.
네 제 목표는 제가 이끄는 기업을 가지고
최선을 다할만한 무언가에 집중하는 것인데,
침착히 생각해보겠습니다.
charles님도 좋은 선택 하시길 바랍니다 ㅎㅎ.
Knut Hamsun*

2020.11.10

참 대단하시네요. 현실에 안주하기 쉬운 환경이라 생각드는데, 더 나은 미래를 그리는 과정이 멋있어보이십니다. 그런 정신으로는 뭔들 못할까요? 지금 재수해서 졸업하면 30살이고 박사까지 36살에 딸 수 있다 가정하면 늦은 나이는 전혀 아닙니다. 그대신 기회비용이 많이 필요하겠죠. 그러나 꿈이 있다면 도전해보세요. 그러나 그 꿈이 본인의 진정한 꿈인지, 인내해도 달지는 충분히 고민해보시길.
Siegfried Sassoon*

2020.11.10

수능공부 초대박이 나서 1년만에 서울공대 들어간다고 해봐야 졸업하면 30살임
그나이에 삼성보다 좋은 데 갈 수 있다는 보장 전혀 없음
Siegfried Sassoon*

2020.11.10

그리고 일반인들이 거의 치지 않는 독학사에서조차 상위 10%에 못 들 정도라면
수능 1년 해서 현역/재수생들이랑 붙으면 잘해봐야 인서울 턱걸이일거임

2020.11.10

Edvard님 진심어린 조언 감사드립니다!.

2020.11.10

Knut님 네 정말..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라는 말이 와닿습니다...
따뜻한 격려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2020.11.10

siegfried님 앞으로의 길을 좀 더 냉정히 생각해보라는 뜻으로 이해하였습니다. 한다면 전력을 다해야겠습니다 ㅎㅎ.

2020.11.11

인생 한번뿐이잖아요. 저라면 죽이되던 밥이되던 도전해볼 것 같습니다. 취업과 돈만이 전부는 아니기에..
Georges-Louis Leclerc, Comte de Buffon*

2020.11.11

기회비용을 잘 따져보기 바랍니다

2020.11.11

저도 안정적인거안좋아함 도전해야함
Christopher Kelk Ingold*

2020.11.12

가성비가 너무 안좋은데...

2020.11.12

ㄴ국밥충임?

2020.12.11

조언주신 분들 너무나도 감사합니다.
내년 전기에 SSH중 한곳의 AI관련 특수대학원에 입학 허가 받았습니다.

이 기회를 잘 살리고
최선을 다해 학업에 정진해서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겠습니다 ㅎ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