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정도 규정인데, 박전연 자체를 국가에서 없앤다했다가 과학계에서 강한반대들어와서 유보한 상탠데, 조용히 점차 티오를 줄이고있는 상태임. 그래서 오히려 전문연이 유리했던 과기원들이 시간지날수록 지방대보다 더 까다로워질수도 있음. (비수도권에서 자체티오 얻는건 쉬우니)
그 외에 윗분이 말한것처럼 국가에 이바지해야된다해서 2+1로 국가가 지정한 곳에서 일년 포닥 필수로 해야되는 제도로 바뀌기도 했고요.
추가로 카이스트나 타대학에서 전문연 출석문제나 이중소속(대학원 이외에 직장갖고 금전적으로 버는것) 등 문제 터지면서 더 규정이 까다로워지기도 했어요. 아 근데 참고로 전 전문연 끝나가서 상관없음ㅋ
대댓글 1개
2021.04.21
마지막 문장은 마음속으로만 생각하셨으면, 더 좋은 글이 됩니다 :)
2021.04.21
일단 예전에는 전문연 끝나면 학위 취득과 상관없이 군필이었는데 이제 학위못다면 전문연 반납해야해요... 이걸 교수들이 악의적으로 이용 안했으면 좋겠는데...
그리고 석전연 같은 경우도 대기업으로 전직을 못합니다.
또...잘 아시겠지만 2+1이 가장 크게 바뀐것이구요..
아 그리고 위에 카이스트 이야기가 나와서 하는 말인데 카이스트 지금 TO줄어서 난리가 났어요...
편입 못하고 1년 밀리는 상황이 발생해버려서... 아마 올해 입학했으면 지금 같은 상황이면 언제 편입될 지 기약 없는 상태 ㅠㅠ
뉘우치는 공자*
2021.04.21
카이스트 자대생과 일부 운좋은 과기원 학생들 외에는 전부 석전연 혹은 박사따고 현역 입대 예정임
2021.04.21
2021.04.21
대댓글 1개
2021.04.21
2021.04.21
2021.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