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대 새내기인데.. 현재 코스웍 3과목을 듣고 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수강신청 때의 저를 말리고 싶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중간고사는 하나도 안 치고 기말고사 100%로 진행한다고들 하시는데, 어쩌다보니 하루에 세 과목을 모두 치르게 되었습니다..
사실 비대면 줌수업이기에 그냥 출첵만 하고 줌 켜놓고 실험하거나 논문 읽거나 해서 정말 수업 자체를 거의 한 번도 안 들었습니다.. 그나마 한 과목은 제 연구와 관련성이 있어 듣고있기는 하나, 교양 듣는 것 마냥 정말 '감상'만 하고 있습니다
시험이 이제 약 2주 반 정도 남았는데 너무 막막합니다.. 정말 코스웍을 전혀 안 챙겨도 되는 것인지.. 선배들 말로는 논자시를 위한 필수과목 2개만 잘 보면 된다고 하는데, 제 성격상 무언가 버리는 걸 못하고 애매하게라도 챙기려 하는 성격이라서요 ㅜㅜ
양심상 그래도 강의 한바퀴는 듣고 시험을 칠 것 같은데 요즘 할 일이 너무 쌓여서 이것마저도 못 하고 시험을 볼까봐 너무 걱정됩니다...
정말 대학원 학점은 필요가 없는 것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성실한 알렉산더 벨*
2021.05.23
k 전산학과 출신인데, 퀄 면제 받는데 빼곤 쓸데 없었음ㅋㅋ
팔팔한 데이비드 흄*
2021.05.23
전문연 안하면 노상관
대댓글 1개
2021.05.23
군대는 이미 다녀왔습니다
2021.05.23
장학금이나 펠로우십에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5.23
박사 학위 취득 후 국내 취업 시에는 전혀 필요가 없는 것인가요??
2021.05.24
(연구직 기준) 뽑는 사람(기관) 입장에서 석/박사급의 능력을 재는 척도로 코스웍 성적은 주요한 지표가 아닙니다.
학부생이야 줄세우기 쉬운게 수강성적이니 그걸로 성실함, 능력을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하지만,
석/박사급은 All A+ 학생도 논문을 잘쓴다(연구능력이 있다)는 보장이 안되는걸 잘 아니까요.
뭐 이것도 다 옛말이고, 요즘은 학/석/박 다 라이브코딩같은 실전 면접을 보니까 논문뿐만 아니라 진짜 실력을 키워야 하는 상황이구요.
아무튼 다 잘하면 베스트지만, 그게 아니면 적당히 분배해서 내공을 쌓으세요. (버리는건 비추)
2021.05.23
2021.05.23
대댓글 1개
2021.05.23
2021.05.23
대댓글 1개
2021.05.23
2021.05.24
2021.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