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다니면서 느끼는 점 (지극히 주관적)

2021.06.07

17

32123

1. 교수님은 생각보다 모르는게 많다

2. 연차높은 선배들은 나에게 관심이 없다.. 처음 들어오면 비슷한 저년차한테 배우는게 좋다. 그들은 간이고 쓸개고 다 빼줄것처럼 친절하게 알려준다

3. 사람은 생각보다 시간약속을 안지킨다

4. 랩 구성원과 디스커션을 자주 나누는 것은 큰 도움이 된다

5. 출퇴근 시간과 그사람의 연구능력은 관계가 크게 없다

6. 데이터는 절반이 가라다

7. 같은 랩실에서도 도태되는 사람이 있다. 수준 차이가 눈에 띄게 난다

8. 대학원은 생각보다 꿀이다

9. 석사는 학사랑 별반 다를게 없다

10. 일과시간에 주기적으로 무언갈 하는게 좋다. 산책이나 운동

11. 말을 두괄식으로 짧게 요약하는것은 정말 중요하다

12. 11번보다 더 중요한것은 능동적인 태도이다. 수동적으로 뭐 시키는것만 하려하는 후배는 답이없다. 심지어 선배면 더 답이 없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착한 아리스토텔레스*

2021.06.07

아주 정확하네요 ㅎㅎ
짓궂은 알프레드 노벨*

2021.06.07

졸업생의 80%가 정출연 이상으로 가는 랩에 있는데 다른건 다 공감해도 5는 공감 못함.
청승맞은 카를 가우스*

2021.06.07

동감합니다.
5도 맞는게 일하는 시간 길다고 성과 잘내는건 전혀 아닙니다.
같은 능력의 사람이면 길게일했을때 더 성과 잘 내겠지만
보통은 도태되는 능력없는 사람이 성과없으니 퇴근 늦게 합니다.

대댓글 5개

IF : 5

2021.06.07

맞아요. 같은 일을 해도 더 짧게 일하고 가는게 일잘하는겁니다 ㅎㅎㅎ 그래서 대학원때 동기가 부러웠어요
짓궂은 알프레드 노벨*

2021.06.07

그런가.. 논문 다작하려면 절대 일찍 못들어가던데

2021.06.07

할 일 산더미에 코스웍따라가고 실험하고 논문까지 욕심내서 보려면 시간이 모자란데..
5번의 요지는 무조건 효율없이 길게 앉아있는 사람이 잘하는 거 아니라는 의미일듯
최대효율로 9 to 12 하는 사람도 많음

2021.06.09

ㅋㅋㅋㅋ 그 일례로 교수님은 애들 지도만 하고 칼퇴.

2021.06.09

답답한 안톤 체호프) 집에서 함
눈치보는 쇠렌 키르케고르*

2021.06.07

9인정

2021.06.07

이정도 통찰력이면 컨설팅 업계 가셔도 되겠는걸요

2021.06.07

대학원 잘 다니셨네요
심심한 알렉산더 벨*

2021.06.07

ㅋㅋㅋㅋㅋ 6번 ㅇㅈ ㅇㅈ

데이터 조작 아닌 조작 함

2021.06.08

ㅇㅈㅇㅈ

2021.06.08

3 6 9번ㅇㅈㅇㅈ

2021.06.10

ㄹㅇ 논문은 가라가 많아 ㅋㅋㅋ
조급한 프리모 레비*

2021.07.06

박사 말년인데 다 공감되네요 ㅋㅋ
저년차땐 연구실 신입들 많이 챙겨주고 그랬는데 졸업 다가오니 내 코가 석 자고 관심도 없고 ㅋㅋ

2024.10.17

6이 사실이라면 날조라는의미인가요? 논문 반박메일 날아오면 뭘로 대처하나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