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CS 분야에서 SCIE 논문이 의미가 어느 정도 될까요 ㅠㅠ

2021.06.20

15

5288

안녕하세요. 주요대학 인공지능대학원 쪽 관심이 있어 박사 쪽 컨택해보려고 하는데요,
제가 전공이 CS 쪽은 아니어서 (Bio쪽) 제 전공에 machine learning/deep learning을 활용하는 논문을 작성하는 쪽으로 연구를 진행해왔고, publish가 되었습니다.
운 좋게 SCIE 논문 impact factor 10점대에 1저자로 accept이 되긴 하였는데, CS 전공하시는 교수님들 입장에서 이게 merit가 있을까요..?? (Deep-learning을 적용한 IF 6점대 1저자 논문도 하나 더 있긴 합니다)
CS 분야는 탑 컨퍼런스를 가장 우선시한다고 듣기도 했고, 또 제가 accept 된 논문도 알고리즘적으로 깊은 가치가 있다기보다는 기성 알고리즘을 제가 전공하고 있는 분야에 활용한 쪽에 가까워서요 ㅠㅠ CS/AI 석사들 중에는 탑 컨퍼런스 1저자로 쓰고 졸업하는 분들도 있을텐데 고민이네요.
물론 가만히 앉아서 고민하고 있기 보다는 행동하는 쪽이 나을 것 같아 메일 등은 드려보려고 하는데,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이네요. 관련 분야 전공자분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1.06.20

CS분야에서 탑컨퍼를 더 선호하긴 하지만
TPAMI, TIP 수준의 탑저널까지는 당연히 인정 받고, SPK에서도 TPAMI, TIP 많이 냅니다.
일반적으로, CS 탑 연구실에서 논문으로 취급해주는 마지노선이 PRL 정도라고 보면 됩니다.
그 이하 저널에는 '안' 씁니다.

CS분야에서 IF 10점대면 TIP정도인데, 석사가 이정도 들고가면 SPK AI쪽에서도 환영일텐데
바이오전공에 딥러닝 적용한거라면 딱히 플러스가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당연히 없는것보다야 낫겠지만요

참고로 SPK 딥러닝 연구실들은 자대생 90%이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석사생들부터 CVPR, ICCV, ECCV 1저자 쓰는 학생도 몇 있습니다.
본인이 그런 학생들과 경쟁해야하니, 열심히 준비하셔야 겠죠.

YK, IST AI쪽도 요즘 박터져서 자대생도 나가떨어지는 수준까지 와서 쉽지는 않다고 봅니다만,
그래도 논문 들고 계시니 컨택해보시면 교수님들이 판단하시겠죠.
다만 냉정히 말해서 석사동안 딥 러닝 응용수준으로 굴리신거면,, 힘들 것 같긴 합니다.

대댓글 2개

2021.06.20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ㅠㅠ

2021.06.20

SPK부터 쭉 컨택해보세요.
요즘 AI가 박터져서 힘든건 사실이지만
YK, IST AI 광탈할 스펙은 아니라고 봅니다.
건승하세요.
산만한 마이클 패러데이*

2021.06.20

윗분말대로 판단은 교수가 하겠지만, 논문경험이 있고 없고의 차이는 확실히 큽니다. 논문을 많이 작성해본사람이 논문을 쉽게 쓸 뿐 아니라, 논문쓰는것에 대한 자신감/연구에서 논리를 만들어가는 과정(보통 논문순서와 비슷하죠) 등의 경험은 상당히 값집니다. AI쪽은아니지만, 저희도 나름 국내에서 손에꼽는대학의 인기랩인데, 석사때 논문경험이 풍부한 타대생이 지원하면 긍정적으로 보실것 같기는 합니다. 다만, 확실하게 박사때 진행하고 싶은 연구와 본인 연구경험(실적)을 잘 연결해나가는것이 필요해보이긴 합니다.

대댓글 1개

2021.06.20

감사합니다! CV/SOP랑 포트폴리오같은 걸 잘 정리해봐야겠습니다 ㅠㅠ

2021.06.20

S 인공지능협동과정에는 바이오 랩도 다수 있는데, 그런데론 꽤 먹히지 않을까요?

대댓글 1개

2021.06.20

해당 과정도 알아보겠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다만 서울대 인공지능협동과정은 인공지능대학원으로 지정된지는 몇 달 안 된데다가 전임 교수님이 없기도 하고, 결정적으로 작년 기준 학기당 박사 인원을 5명밖에 안 뽑아서 ㅠㅠ (물론 더 늘어날 순 있겠지만요) 좀 불안한 감도 있습니다.
취한 피보나치*

2021.06.20

바이오쪽 머신러닝 페이퍼면 브레인/의료영상 둘중 하나 떠오르는데, 스코프 넓히고 싶어하는 AI랩 입장에서 웬만한 석사보다 선호할 수 있습니다. (은근히 요새 연구 스코프 때문에 고민입니다.)

대댓글 1개

2021.06.20

네, 해당 분야쪽으로 연구하려고/혹은 연구를 많이 하신 교수님들 위주로 컨택드리는 게 확률이 그나마 조금 더 높을 것 같아 그쪽으로 해보겠습니다 ㅎㅎ

2021.06.21

냉정하게 말하면 ML하는 연구실은 힘들어보입니다. 거기는 방법론을 새로 개발하고 연구하는곳이라 있는걸 그대로 가져다 쓰는 연구는... 높게 평가 받지 못합니다... 그리고 저희 랩만해도 이미 석사때 탑티어 최소 1편씩 있습니다... 컨택은 여러군데 해보시되 너무 기대하진 마시길

대댓글 5개

취한 피보나치*

2021.06.21

제가 아는 한국 탑티어 랩중에 석사때 탑티어 최소 1편씩 다 갖고있는 랩은 없는데.... 어디에요?

2021.06.21

ㄴK랑 S에 각각 두랩정도씩 있음 물론 한두명정도 예외는 있겠지만 대부분 석사때 탑티어 하나씩의 씀

2021.06.21

감사합니다 확실히 core AI하시면서 탑컨퍼에 내는 랩들은 장난 없긴하더라구요 ㅠㅠ 탑티어 1편이라는게 혹시 다들 1저자인걸까요..??
취한 피보나치*

2021.06.21

그 두군데가 어딘지 다 아는데 과장이 심하신데요.
취한 피보나치*

2021.06.21

제가 왜 이런 겁주는 걸 싫어하냐면, 그 k나 s랩들보다 잘나가는 스탠퍼드나 cmu 탑ai랩들도 첫 2년에 한편 못내는 학생들이 수두룩해요. (보통 연구 눈높이 때문이지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