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여자라고 하도 안뽑아서 일정 비율은 뽑으라고 안전장치를 만들어둔건데, 이걸 여성이어서 가지는 가점이라고 생각하네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93 - 뭔..... 할당이라도 안하면 실력있어도 남자보다 안뽑아주니까 그렇지....; 불공정한 경쟁을 할당으로 공정하게 맞추는거라고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77 - 굉장히 예의에 어긋나고 실례가 되는 것 같네요.
그런 것은 학교 교무처에 먼저 알아보는게 예의입니다.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1 - 안 물어보고 본인이 부담하는 것이 예의 상 맞는 것 같네요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9 - 진학 확정이 아닌 학부생 방학 인턴한테 기숙사비까지 지원해줘야 당연한 건가?
진학 확정이 아닌 학부생 방학 인턴이 랩과 과제 진행에 무슨 기여를 하는데?
지금 알엔디 삭감에 있는 대학원생 인건비도 걱정하는 마당에 딴 세상 이야기 인 듯.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4 - 사실 인턴한테 돈 받아서 가르쳐야하는데 돈까지 달라하노 ㅋㅋㅋㅋㅋ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8 - 윗댓분들은 한국의 유교 사상과 노예 근성에 찌든 사람들이라 무시하셔도 괜찮습니다.
학부 연구생도 엄연히 출근하는 자리이고 마땅히 돈을 받아야 교수님도 일을 제대로 시키시고 님도 책임감을 가지게 됩니다.
큰돈은 아니겠지만 무조간 받는게 맞습니다.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2 - 이런 사람들 때문에 랩에서는 점점 인턴 더 안받으려 하지. 인건비는 보통 과제비에서 나오고 과제 참여를 하고 기여를 하면 받는 건데, 랩에 처음 온 인턴이 가르쳐주고 챙겨줘야 할 게 많을까 열심히 따라한다고 랩에 기여하는 게 많을까. 아침부터 저녁까지 학원가서 배우면 출근했으니 돈 받아야 하나?
한국 어쩌고 하는데 미국도 학부생은 무급인턴 많고 인건비 있는 경우도 학교 공식 프로그램으로 방학에 몇 개월 정해놓고 학생 교육 차원에서 학교 돈이 나가는 경우가 많지 랩 과제비에서 주는 경우는 더 적음.
학생 입장에서 무조건 받으면 좋으니 출근하면 받는 게 당연한 것 처럼 이야기하는데 논리가 있어야 설득이 되지..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1 - 저도 미국에서 무급인턴 해봤고 한국에서 학부연구생도 해봤는데, 제 학교(연세대), 과에서는 교수가 미리 공지를 안한 이상 무조건 줍니다. (방학동안 30~40+출장비)
미국에서도 돈 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했는데 좋은 추천서 받을 것 같아서 참았습니다.
그럼 석사 1-2년차에 contribution 없으면 돈 안주는게 맞나요?
미래를 약속했으니깐 이런 얘기들 마시고요.
저는 솔직히 그정도도 못줄 pi면 애초에 학연생을 안쓰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첫날부터 돈 얘기 꺼내는건 불편한 일은 맞지만 충분히 꺼낼 수 있는 말입니다.
일반회사 인턴들도 돈받고 다니는데 생각들이 이렇게 다르네요.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0 - 돌려서 물어보세요.
이번 인턴 활동하게 된 OOO 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본가가 타지라 연구실 인턴 생활을 하려면 기숙사를 신청해야할 것 같습니다.
연구실 일정에 폐를 끼치지 않는다면, 주말에 아르바이트 일정을 잡아도 될까요?
아니면 아르바이트 대신, 연구실에서 진행하는 과제에 참여하여 소정의 인건비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을까요?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8 - 인턴이든 석박이든 컨택조건에 인건비는 필수요인이입니다.
컨택 과정 관련 물어보는건데 이거 물어본다고 죽일놈 취급하는 모자란 사람들이 많죠?
여기가 김교수넷 되었다는 증거입니다.
돈아까우면 교수는 학생 안받으면되지 받는 학생한테 불만있으면 오지마라하면 됩니다.
학생받으라고 협박받는 교수 없습니다. 그런규정도 없고요.
돈되는 학생만 받으라고 하는데 ‘교수’라는 직업의 사전적 의미도 모르는거지요.
학생받니마니 하는과정에 연구주제 관련 질문과 인건비관련 질문이 실제로 문제된다면 거긴 학생받으면 안됩니다.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7 - 내 후배 중에 과고출신에 학점 4.3맞은 친구 있었는데, 연구 하는 꼬라지 보면 한숨만 나옴.
난 일반고 출신에 학점 4.0인데, 내가 석사 2년차에 랩장 잡은 뒤에 박사 2년차 그 친구 (군대 안 갔다옴) 흡연장에 끌고가서 존나 털음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0 - 댓글 보면 한국이 왜 이런거는 후진국인지 알수있음. 대학원 갔으면 학부 학벌 타령할 시기는 지났는데 아직도 학부타령하고있음 ㅋㅋㅋ 주로 실적 부족한 애들이 학벌 타령하는듯.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11
두 학교 중 고민됩니다ㅠㅠ
2021.06.23

안녕하세요.
이번 후기 석사로 타대에 합격하여 두 학교 중 고민 중입니다.
1. S대
합격 후 컨택 중인데 제가 원하는 분야가 인기가 많은 분야라서 to가 현재 없습니다. 현재 메일 답변 기다리는 교수님께 to가 없다면 해당 전공 내에서 제가 원했던 분야가 아닌 다른 분야 연구실로 아마 배정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합격한 학과가 제 학부 전공과는 같습니다.
2. H대
제가 1지망으로 지원했던 연구실에 합격했습니다.
제가 원하던 연구실이라 S대에 합격하지 않았다면
감사히 바로 진학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아무래도 SPK이고...
그동안 여러 교수님들께 석사는 무조건 원하던 연구분야로 가지 못하더라도 괜찮다든지 하는 얘기들을 듣기도 해서...(특히 SPK는 더욱..)
너무 고민되는 것 같습니다.
S대가 아직 어떤 연구실로 제가 배정될 수 있을지를 몰라서 전공 안에서도 제가 어느 정도 흥미 있는 분야라면 S대를 가도 괜찮겠다 싶은데..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게 된 계기가 제 희망연구분야여서 S대에 진학하면 그 부분이 아쉬울 것 같고
H대에 진학하면 SPK에 합격했는데 포기했다는 부분에 대해 아쉬움이 남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직 연구실 배정이 남아 저한테 막상 괜찮은 곳일 수도 있고!)
S대 연구실 배정기간은 아직 많이 남아있고 H대는 내일쯤 교수님께 진학의사를 말씀드려야하는데
어떤 선택이 최선일지 고민되어서 조언을 구하고자 글쓰게 되었습니다.
자대 vs 타대 김GPT 4 16 14553-
0 3 5657
대학원 선택 고민 김GPT 3 17 5938
서울대 vs 고려대 고민 김GPT 0 8 8113
H대 VS S대 컨택 후 결정 김GPT 0 7 2241-
0 5 2249 -
2 11 4480
S 대학원 공대 김GPT 2 4 7404
대학원 고민중입니다. 김GPT 1 15 2398-
311 34 85537 -
150 49 56416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 명예의전당 127 20 5261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53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23 -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99 -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97 -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26 -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7 -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20 - 컴퓨터공학과 대학원생 특
16 - 교수님들도 트렌드 좋아하시나 보다.
6 - 김박사넷 여러분 스승의 날 행사 준비 평가해주세요
13 -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4 - 의사들은 파업이라도 할 수 있지,,,
14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30 - 대학원 연구비 다들 어느정도 받으시나요? (석사)
24 - 타대교수님께 제 아이디어를 말씀드려도 될까요?
11 - 엘스비어 저널 메이저 리비전 후 2차 리비전..
12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4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6 - 석사과정동안 석박 졸업 요건을 이미 다 채웠다면
17 - 논문 작성 영어
12 - 편입하면 학벌은 전적대와 편입한대학의 중간이 되나요?
25 - 대학원 입학 관련
9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9 -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11 -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53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23 -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99 -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97 -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26 -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7 -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20 - 컴퓨터공학과 대학원생 특
16 - 교수님들도 트렌드 좋아하시나 보다.
6 - 김박사넷 여러분 스승의 날 행사 준비 평가해주세요
13 -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4 - 의사들은 파업이라도 할 수 있지,,,
14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CS석사 가는게 맞을까요
18 - 서성한 미박 진학 고민
11 -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30 - 대학원 연구비 다들 어느정도 받으시나요? (석사)
24 - 타대교수님께 제 아이디어를 말씀드려도 될까요?
11 - 엘스비어 저널 메이저 리비전 후 2차 리비전..
12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4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6 - 석사과정동안 석박 졸업 요건을 이미 다 채웠다면
17 - 논문 작성 영어
12 - 편입하면 학벌은 전적대와 편입한대학의 중간이 되나요?
25 -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11 -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1

주성엔지니어링 전문연구요원(병역특례) 채용
자세히 보기
2021.06.23
대댓글 1개
2021.06.23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