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실 선택 도와주세요 ㅠ

2021.07.09

14

3127

좁은 사회라서 혹여나 보실까봐 글을 수정합니다.
P.s) 논문지도 잘해주고 한국인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연구실이 답이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1.07.09

두 교수님 다 마음에 드신다면 2번 교수님 추천합니다.
연구실 내 연구분야와 교수님 전공 분야일치
외국인 학생 없음
이 두가지로 추천합니다.

외국인 학생있다면 행정업무 누군가는 떠맡아서 하는 폭탄돌리기 될 수 있습니다.
크게 어려운 일은 아니나 연구 집중에 방해되는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대학원 유치를 위해 과제를 수주해야하보니 과제 위주로 연구되는 연구실많아요. 이부분은 단점으로만 보지 마세요.
펀딩없으면 않가실거자나요. 가더라도 진짜 원하는 연구 분야하더라도 논문게재료나 지원금 없어서 생기는 아쉬움이 큽니다.

대댓글 3개

2021.07.09

감사합니다. 두분다 행정계원이 계셔서 사실 행정업무는 큰 문제가 아닙니다. 그리고 집안 형편이 좋은편은 아닌지라 과제 많이 하는 연구실을 오히려 저는 선호합니다. 다만 원문에서 적었듯, 교수님의 논문지도 여부가 원생한테 치명적인지자세히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2021.07.09

우선 김박사넷에 올려진 단편적인 정보만을 너무 신뢰하진 마시구요. 고의로 안좋게 작성하는 분도 있고 좋게 작성하는 분도 있고 작성안하는 분도 있으니 어느 정도 걸러서 참고하시구요.
아무래도 교수님 논문지도가 없으면 잘못 실험을 했다든지 유의미한 조언이 없겠죠
현실적으로 아에 논문지도를 안하고 방치하시진 않을겁니다.
그렇게 작성했던 분들은 논문 피드백이 충분하지 않았다라고 생각하는가겠죠.
그리고 교수님 전공분야가 아닌데 연구하는 경우 같이 스터디도 하면서 해주셔야 유의미한 지도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인터넷에서 볼법한 적당한 말이나 아니면 언제까지 진행하자고 하시겠죠.
전공분야이시면 그에 대한 솔루션이나 다른 관련 연구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해주시겠구요.

2021.07.09

피드백 감사합니다. 의견 참고하겠습니다. ㅎ.ㅎ
대담한 아담 스미스*

2021.07.09

1번 추천

작성자가 잘못 알고 있는것 같은데 2번 교수님 나이로만 보면 전성기 이미 지났거나 지금이 전성기 끝자락입니다. 심지어 최근에 테뉴어 받으신거면 이제 좀 쉬엄쉬엄 할듯. 딱 부교수에서 정교수 넘어가는 기간 사이 교수님들이 보통 전성기

대댓글 2개

2021.07.09

의견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3~6년전에 받으셨는데 오히려 국제 저널지는 더 많이 쓰셔서 쉬엄쉬엄하실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제가 잘못알고 있었던 사실이 있었네요. ㅎ.ㅎ
혹시 1번 교수님 추천해주시는 이유를 물어봐도 될까요?
대담한 아담 스미스*

2021.07.09

두분다 이제 정교수이시고 아니가 좀 있으시면 가장 전성기때 더 잘나가셨던 교수님 랩 들어가는게 좋습니다. 특히 말하신 "이상하게 계속 요즘에도 국제저널 많이 나오더라고요"가 중요했던것 같습니다. 결국에는 최근 publication 양이 제일 중요합니다
소심한 루이 파스퇴르*

2021.07.09

번 교수님이 김박사넷에 의하면 논문지도는 잘안하시고 못하신다는데 불구하고 신기하게 국제저널에 논문을 진짜 많이 뽑네요.

해외 학생이 많은데 국내 저널을 어떻게 씁니까.

대댓글 2개

소심한 루이 파스퇴르*

2021.07.09

해외 학생들 많으면 본인은 한국어 네이티브라는 이유로 좀 피곤해요. 과제 위주 연구실이라 했는데, 보고서 시즌(10~12월), 국내 특허 명세서 작성 누가 하겠어요?

2021.07.09

의견 감사합니다. 윗 분 말씀처럼 해외 대학원생이 많은게 저한테는 문제로 작용할 수 있겠네요. 마냥 좋은게 아니였군요. 참고하겠습니다.

IF : 5

2021.07.09

논문 지도 엄청나게 중요한데요;;;; 연구는 혼자 하는게 절대 아니예요...
1번에 논문이 많다고 하셨는데 잘 살펴보세요. 해외 공동연구 교수랑 같이 쓴 논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동교신 내지 공동1저자로 들어가있거나 아예 4~5저자 이하로 빠져있을 수도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가 많다면 1은 완전히 포기하세요. 다 아니면 교수는 제쳐두고 아예 딱 포닥이나 선후배들끼리만 논문지도 하고있을 수도 있어요.
졸업생 진로 같이 놓고 살펴보시고, 전 전반적으로 2 추천

대댓글 1개

2021.07.09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021.07.09

교수가 단독이나 공동 교신인 논문만 보는 겁니다. 중간에 공저자 논문은 랩을 고려할 때는 전혀 의미 없습니다.
잘 확인해보세요.
2번에 한표요.
'인품과 과제만 잘 따오면 나머진 어차피 원생이 혼자서 해내야하는건데'
본인이 당장 그럴 능력이 있으면 좋지요.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고 대학원 저년차 때는 무조건 꼼꼼하게 지도받는게 최고입니다.
독립성이나 혼자가 뭘 해내는 능력이 떨어지고 이런건 박사과정 고년차 때 이야기입니다.

대댓글 1개

2021.07.09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