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배터리 박사 진학 고민

웃는 하인리히 헤르츠*

2021.07.22

15

3247

배터리를 연구하고있는 석사생입니다

현재 박사진학을 타대로 하려고 하는데

알아본 랩실이 한곳은 분석을 전문으로 하고 한곳은 음극을 전문으로 합니다.

저는 양극을 연구하였고요

분석을 하는게 재미있어 보이기는 하나 이차전지가 주가 되는 연구가 아니라 고민이 됩니다..

다른분들 생각에는 박사 진학시 어떤 점을 고려하는게 좋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1.07.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인터넷 검색하다가 보니 에너지관련 뉴스에 전기차배터리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가 한양대 에너공학과 선양국 교수와 유니스트 에너지공학과 조재필 교수가 클래리베이트 에널리틱스(글로블 학술정보 분석기관)가 선정한 세계상위 1%연구자라고 나오네요

대댓글 3개

2021.07.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 2017년도 뉴스네요 2020년은 모르것어요
웃는 하인리히 헤르츠작성자*

2021.07.22

두분 모두 유명하신 분들이시죠 ㅎㅎ 감사합니다!
뉘우치는 칼 세이건*

2021.07.22

톰슨로이터 이른바꾸고 나서 신뢰도가 거의 없는수준인데

2021.07.22

양극에 관심이 있으시면 분석 쪽을 추천드려요~ 기업쪽에서 양극 재료 분석 전문가가 지금 없어서 많이들 찾거든요. 그리고 음극재 같은 경우는 많은 교수님들이 나노 재료 합성하고 성능 잘나온다 이렇게 가시는데, 이런 논문은 사실 너무 양산형 논문이라서 산업이나 학계에서도 그다지 크게 쳐주지는 않아요. 만약 음극을 하신다면 정말 깊게 연구하시는 분이나 차세대 음극 (리튬 메탈, 다가이온용 음극 소재)쪽으로 보시는게 좋아요.

대댓글 1개

웃는 하인리히 헤르츠작성자*

2021.07.22

ㅠㅠ 댓글감사합니다 분석쪽이 이차전지랑 거리가 멀어지는건가 싶어서 고민중이였는데 감사합니다

2021.07.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전고체 배터리도 전망 좋을것 같은데요

대댓글 3개

2021.07.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카이스트에 고분자 전고체 배터리하는랩이 있다는것 같아요
웃는 하인리히 헤르츠작성자*

2021.07.22

현재 전고체 배터리를 하고 있습니다 !

2021.07.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카이 화공과 안에 있는랩이라니까 서칭해보고 지원할만하면 지원해보세요 그기 괜찮다고 그러네요

2021.07.22

박사급 분석전공자는 대강재료불문 한국 전체적으로 없어서 못뽑습니다. 다만 입사후에 고속승진 같은거 원하면 안맞는 전공이긴 합니다.

대댓글 1개

2021.07.22

대강->대상

2021.07.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베터리랩 끝물 아닌가요

대댓글 1개

덤덤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1.07.22

어떤이유에서요?

2021.07.22

요즘 배터리 많이 뽑던데
갈데 많은데 굳이 박사 해야하나요?
엘지화학
sk이노
sdi
에코프로
엘엔에프
한솔케미칼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