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잘 모르는 멍충이 인데 국내 대학원 티어가 궁금합니다

2021.07.28

23

6849

국내 공학계열 대학원 티어가

1티어 : SKP

2티어 : YK

3티어 : Gist,unist,dgist

라고 보면 되나요?
그리고 당연히 랩바이랩 이지만, 굳이 따지자면 같은 티어내에서는 앞에 있는곳이 근소하게 더 좋다고 보면 되나요? 대학원 진학시 참고사항 정도로 알아두면 좋을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2021.07.28

ㄴㄴ 랩바랩이에요. 서카포 이외는 다 거기서 거기 입니다.

2021.07.28

2021.07.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티어 서카포
2티어 연고한성서, ist
기타로 구분

대댓글 3개

2021.07.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티어별은 랩차이. 끝

2021.07.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건 안 변하고 순서는 별의미 없고 랩간 차이가 있을뿐임(연구실이 최고 중요) 대학, 대학원 재학중이나 졸업생 , 사회적 인식이 그런걸 어쩔 도리가 없다고 봄

2021.07.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솔직히 ssh보단 ist가 우위지않나? 특히 ssh에서도 말이 ssh지 한양대말고는.. 연고 ist 한양대 이 순서아님?

2021.07.28

Skp인기랩 > yksshist인기랩>yksshist랩>= 지거국인기랩>yksshist비인기랩

2021.07.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혹시 어그로 아님
대학원준비하는 학생이 대학원 1,2티어도 모르고 준비?
정직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1.07.28

분야마다 연구실마다 다르지만 국내 TOP10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1 QS 세계대학평가
서울대 세계 36위
KAIST 세계 41위
고려대 세계 74위
연세대 세계 79위
포스텍 세계 81위
성균관대 세계 97위
한양대 세계 156위
UNIST 세계 212위
경희대 세계 264위
GIST 세계 305위

2021 Nature Index 연구경쟁력
서울대 세계 51위
KAIST 세계 56위
연세대 세계 134위
포스텍 세계 146위
UNIST 세계 147위
고려대 세계 195위
성균관대 세계 199위
한양대 세계 305위
GIST 세계 376위
경희대 세계 385위

대댓글 12개

2021.07.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이 가는 연구실이 중요한데 별의미가 없는 평가임
평가기준(요소) 무엇인가에 따라 순위가 달라지는건 당연한거고....국내대학원 갈 사람들은 그 연구실 구성원 연구실적, 졸업생 취업 아웃풋, 교수실력(인성), 인건비 정도만 고려해서 실적내고 졸업하면 굿인 상황,,, 취업을 하든 미포닥을 가든 국내포닥을 하든 유학을 가든(박사)
정직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1.07.28

물론 연구실이 가장 중요하지요. 하지만 세계랭킹이 의미가 없지는 않습니다. QS ranking는 서울대학교 공식홈페이지에서 공시할만큼 중요하게 다루는 지표입니다. nature는 모두가 알다시피 세계 최고 수준의 저널이고요.
엉뚱한 찰스 배비지*

2021.07.28

보부아르님말대로면 대학서열 다 필요없고 무조건 랩바랩이죠. 그렇지만 현실은 주변에서도 서울대대학원 다닌다하면 아무리 괴수랩이래도 알아줄 것이고, 지방 어느 대학원 다닌다하면 아무리 거기가 대가의 랩이라한들 안알아줄겁니다. 주변의 시선, 그로인한 미래 취업 및 유학에 미치는 영향 등이 대학원학벌인거고, 랩바랩은 당연히 중요합니다. 랩바랩은 맞지만 그 랩이 어느대학에 속해있냐도 나름대로는 중요하단겁니다. 어쨌든 한국사회에서 이름높은 대학 (SKPYK) 이 갖는 이점은 여러모로 크기때문에 기왕이면 대학이름도 챙길 수 있으면서 인기랩 찾는게 좋죠. 님도 어디 지방대에 대가 있다고해도 굳이 갈생각 안들지 않겠나요?

2021.07.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두분 모두 평가에 대한 인식은 같은 모양입니다
대학마다 원하는 평가요소가 있을꺼고 세계모든 대학에서 원하는 평가지표를 받아서 공통분모로 하진 않았을겁니다. 한국에서 한다면 또 달라질것이고 서울대학원이나 카이스트가 1티어에 속한만큼 연구역량이나 실
적, 기타 평가요소에서 타대학보다 좋게 나오는건 누구나 인정하겠죠,, 그걸 말씀드린게 아니고 세계랭킹보다 학부생들이 가야할 연구실을 잘 컨택해서 갓으면 하는 바램으로 적은글이라고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것습니다,,, 모든이가 1티어에 갈수도 없고...연구실만 잘 선택해서 가면 어디를 가든 좋은 결과 있을꺼라 봅니다,,두분 모두 좋은 의견 입니다

2021.07.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일도 마칫고해서 첨언드리면 세계랭킹 저건 종합평가죠 단일 학과나 연구실 평가가 아닐겁니다,,1티어 다니시는분들은 아시겠지만 1티어내에서도 후진(가면 본인 역량에 비해 손해보는) 연구실이 있습니다 , 그래서 연구실을 잘 선택해서 가야 된다는것니다...
소심한 로버트 보일*

2021.07.28

대학들마다 세계 top 몇위 가자! 구호 외치고있는데 뭔 순위가 안 중요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웃는 비트겐슈타인*

2021.07.28

"세계랭킹보다 학부생들이 가야할 연구실을 잘 컨택해서 갓으면 하는 바램으로 적은글"이라는 게 무슨 말인가요? 랭킹을 보니 학생들이 선호하는 대학일 수록 랭킹이 높은데요...?
조급한 아인슈타인*

2021.07.28

공시하는건 되도않는 Reputation으로 뻥튀기 돼서 순위가 높으니까 하는거고요 ㅋㅋㅋ 중요해서가 아니라 ㅋㅋㅋ
정직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1.07.28

글쎄요. 국내 최고 서울대학교 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 MIT에서도 공식홈페이지 NEWS란에 매년 자랑스레 소개하는 평가지표인데, 본인의 소속 대학이 평가에서 낮은 순위를 받았다고 함부로 평가 절하하시는 건 흡사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과 다르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QS ranking이 Reputation 영향이 크다는 말씀 같은데 그렇다면 그만큼 국제무대에서 소속 대학의 위상을 잘 반영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대안으로 연구경쟁력을 충실히 반영하는 2021 Nature Index도 제시해드렸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쩨쩨한 알렉산더 플레밍*

2021.07.28

서울대에서 QS 랭킹 내세우는건 서울대가 QS 랭킹이 잘나오니까 그런거고요 ㅋㅋㅋ 마찬가지로 포스텍은 중앙일보 랭킹으로 1위니까 중앙일보 랭킹 내세웁니다. 각자 저마다 자기 학교가 1위인 랭킹 들고와서 자기네 학교 1등이다 이러고 있는데 저 등수가 진정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참고로 평가 지표에 외국인 학생 수 이런 무쓸모한 지표들만 가득 차있죠.

2021.07.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니.. QS랑 중앙일보 랭킹을 비교하네
QS는 미국에서도 자주 참고하는 지표라서 본인이 유학 생각있으면 무조건 참고해야하는 지표입니다;

2021.07.28

학교들은 모두 QS랭킹 신경씀. 그러니까 해외국적 갖는데 한국말 잘하거나, 여성인 교수를 뽑으려고 하는것도 있음.
반대로 학생은 QS랭킹 신경안써도 됨. 학교 1층에 우리전공분야 QS16등 , 24등 이런것 매번 붙어있는데, 솔직히 16등이면 뭐하고 24등이면 뭐함. 윗분말대로 특정대학들보다 순위높은것보면 공신력에 의문인것도 있기도 함.
체한 데이비드 흄*

2021.07.28

SKP
YKSSH(자대랩) IST

2023.01.04

spk ist yk 순으로 보통 생각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새 학기 필수 스펙 MATLAB 무료 튜토리얼 수강하고 커피받자!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