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숙해지면 한분야의 대가가 될수 있는 그런 연구 기기or 기법을 다루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물론 모든 분야의 박사분들이 그 쪽에서는 능숙하신 달인이시라 생각합니다.)
바이오에도 이런 분야의 연구기기 and 기법을 다루는 분야가 있을까요?(화학,생명,식품등.. 관련해서)
시간이 오래 걸려도 좋습니다. 한분야에 파고 드는걸 좋아하는 성격이라 박사까지 해도
제대로 다루기 힘들어도 버티고 해보고 싶은 분야를 찾고 싶습니다.
인터넷 찾아보니 TEM 이외에도 입자 광속기 이런것도 상당한 기술력과 경력이 필요하던데
유독 바이오만 찾기 힘드네요 ㅜㅜ..
관련해서 아시는 내용 조금이라도 있으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1.08.19
테크니션 되고싶으면 석사이후에 취업하세요. 그게 더 빠릅니다.
대댓글 1개
비관적인 프리모 레비작성자*
2021.08.19
테크니션도 생각해봤지만
그래도 박사정도의 논문을 쓰는 실력도 갖고
싶고. 석사로는 아쉬울것 같아서요 !
2021.08.19
요즘 싱글셀 프랩. 이유는 세포 특성을 잘 이해하는 사람이 없음.
대댓글 1개
비관적인 프리모 레비작성자*
2021.08.19
오... 좋은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IF : 5
2021.08.19
우리나라는 실험 기법에 대해 경험이 많은 사람을 기술자라고 하지 연구자로 여기지는 잘 않아요. 말씀하신 재료분야는 TEM 등의 microscopy류랑 전산재료해석 쪽이 좀 그렇게 받아들여지곤 하죠. 그게 없으면 안되는 연구도 많지만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tool이라고 생각하는 분위기가 존재하는건 분명해요.
무슨 주제던지 연구를 하다보면 자기 실험에 대해서는 누구보다 빠삭해지는게 자연스러운 귀결이라고 생각해요. 실험하시다보면 그때 사용하시는 기법에 대해서는 꽤 전문가가 되실거예요.
대댓글 1개
비관적인 프리모 레비작성자*
2021.08.19
그렇군요 ㅠㅠ..
확실히 기술자로 보는게 맞는거 같은 부류 같긴 합니다..
그래도 연구실에서 하는 내용들이 각각 다르고
그중에서도 좀 경쟁력있는 분야의 연구와 기기를 다루고 싶다는 생각이 강했던거 같습니다.. 툴을 잘 다루면서 그걸로 연구결과를 좋게 낼수 있는 걸 생각했는데 생각이 조금 짧았던것 같기도 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1.08.19
그분이 뭐라 하셨는지 모르겠는데 일반적으로 장비베이스로 박사받을려면 그 장비 다루는건 그냥 기본 툴 중 하나고 다른 연구역량은 다른 동일필드 사람과 똑같거나 (도움 전혀안되는 자기개발이란 소리) 장비를 개발할 수준이 되야합니다. TEM을 잘쓴다가 아니라 기존보다 더좋은 TEM을 만들었다. 바이오는 몇년전에 단분자 현미경 핫했죠.
대댓글 3개
비관적인 프리모 레비작성자*
2021.08.19
그렇군요... 생각보다 평범한 길이 아니네요..
저도 장비는 좀 한계가 있어서 실험 기법, 분석기법을 더 특화하는 쪽으로 해야하나 생각도 했는데 이런쪽으로도 힘든가요? 아직 학부생이라 아는게 적네요 ..ㅠㅠ
2021.08.19
실험기법이건 분석기법이건 박사받으려면 기존에 있는 방법을 잘쓴다가 아니라 새로운 방법을 만들었다. 가 요건입니다.
2021.08.19
대댓글 1개
2021.08.19
2021.08.19
대댓글 1개
2021.08.19
2021.08.19
대댓글 1개
2021.08.19
2021.08.19
대댓글 3개
2021.08.19
2021.08.19
2021.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