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해석학, 대수, 선대 등 전공서적의 정의를 생각하고 연습문제를 푸는데 재미가 붙었는데,
파이썬이나 C, 수학프로그램의 용어를 배우고 프로그래밍 문제의 솔루션을 만드는게 버겁습니다.
처음에 수학과를 들어와서 코딩을 할거라 생각지 못했고 프로그래밍 자체가 생소, 배운 경험이 없어 힘들어 하는것 같습니다.
수학의 분야가 세분화되어 그 면면을 아직 모르지만 금융, 러닝머신, AI, 빅데이터, 수치해석 쪽(전자)보다 해석,대수,기하(후자)등을 좋아하고 대학원 진학을 성공하면 후자쪽 분야로 진로를 희망합니다.
지금 공부하는데 있어 전공과 코딩 모두 공부하는데
수학과 대학원에서 연구하시는 분들께 코딩이 수학을 연구하는데 어떻게 쓰이는지 요쭙고 싶습니다.
더불어 지금 배우는 방향이 프로그래밍 언어와 코딩 자체에 초점이 맞춰 가고있는데, 제 경우엔 코딩공부를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요쭙고 싶습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0.02.15
러닝머신 탐니까?
2020.02.15
네 학과에서 강의 개설해서 하고있습니다.
2020.02.15
허어 신기하군요 옆동네 미스터피자학과랑 비슷한 수업인가봄니다
2020.02.15
제가 수학과가 아니라 그런가...질문이 전혀 이해가 안돼요. 해석, 대수, 기하를 잘 연구한다는건 넓게 해석하면 새로운 수학적 연산자를 고안하거나, 남들이 까다롭게 유도해낸 정리를 다른 방법으로 증명하거나, (불가능하겠지만) 남들이 완벽하게 증명하지 못한 공리/난제를 풀어내는 작업 아닌가요?
그거랑 코딩이 대체 무슨 상관이 있나요..? 프로그래밍 언어라는게 애초에 완성된 연산자와 정리만 갖고 이걸 실용적인 상황(물리,공학)에 맞춰서 풀어주는건데요. 좀 극단적으로 말하면 님이 공부하시는 과정의 결과는 (아주아주 잘 만들어도) wolfram alpha 마이너버젼 만드는 수준으로 끝날 위험이 커보여요..말하자면 대수학 연구성과로서는 제로가 된다는거죠.
Wallace Clement Sabine
IF : 1
2020.02.16
관점으로 보았을 때 수학과에서 프로그래밍은 그냥 일종의 툴에 불과합니다. 심지어는 '그거 내가 왜 배우나, 그냥 잘하는 사람 돈주고 이거저거 실험 돌려달라고 시켜야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꽤 될 거고, 딱히 틀린 생각조차 아닙니다.
나눠놓은 분류도 이해가 잘 안 가긴 하는데 pratical한 머신러닝 문제 해결 / fundamental한 concept 발명으로 본다면 우선 두 분야는 절대적으로 다른 길입니다. 전자는 research적으로도 딱히 깊은 대학원 수준의 수학개념이 필요한지 의문이며, 이쪽도 생각은 똑같습니다. '수학 그거 내가 왜 연구하나. 툴로 잘 써먹으면 되지'
그나마 최근 몇몇 여러 수학적 연구결과들이 잘 치환되어 현재 딥러닝 쪽 이론에 적용되거나 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지만(Optimal Transport, Mainfold Hypothesis..) 수학과에서 다루는 토픽이라 하기엔 조금 어폐가 있습니다.
너도나도 AI에 수학에서 이 개념 저 개념 쓰다보니 마치 수학이 모든 걸 지배하고 그것을 이해한 채 그대로 코딩으로 환원할 수 있을 것 같은 착각을 주지만 실상은 아닙니다. 수학과 인원들은 그냥 자기네들이 하던 정리/증명이나 계속 해나갈 뿐이고, 컴공과나 다른 공대도 마찬가지입니다. 서로 다루는 관점이 매우 다르고 하고자 각자 하는 일은 제한되어 있으며 서로간의 벽을 깰 수는 없습니다. 단지 지원금 때문에 모두가 AI한다고 외칠 뿐..
잡소리가 길었는데 질문에 답을 하자면 일반적으로 코딩은 수학 연구에 쓰일 수 없습니다. 다만 코딩(계산)과 밀접한 세부분야는 있겠죠.
Enrico Fermi*
2020.02.17
해석학, 대수는 추상적인 (abstact 한) theorem 등을 배우기 때문에 수학이 전혀 필요 없음. 선형대수는 기초 중의 기초이므로 프로그래밍에 많이 쓰임. abstact 한 theorem 등을 파는 연구를 하는 것이 대부분의 수학과 대학원생이고, 응용수학 쪽으로 생각한다면 코딩을 잘 해야 함
Enrico Fermi*
2020.02.17
윗글에 오타가 좀 있네요. 다음과 같이 수정을 합니다 --> 해석학, 대수는 추상적인 (abstact 한) theorem 등을 배우기 때문에 "코딩"할 일이 거의 없음. 선형대수는 기초 중의 기초이므로 코딩할 때 많이 쓰임.
2020.02.18
다소 이해가 잘 안되는 질문임에도 답변을 달아주셔서 다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전공 강의시간에 코딩활용이 적지않아 본문의 고민을 했었는데, 한결 마음 편히 수학을 공부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긴시간 했던 고민이었는데 다들 읽어주시고 정성들인 답변을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020.02.15
2020.02.15
2020.02.15
2020.02.15
2020.02.16
2020.02.17
2020.02.17
2020.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