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sh에서 학사를 하고 현재 SPK AI랩에 합격해서 석사입학을 기다리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왕이면 꿈은 크게 가지라고, 박사를 한다면 미국에서 하고 싶은데 현재 전망이 어떨지에 대해 먼저 계신 분들께 여쭤보고 싶습니다.
분야는 CS/EE입니다.
1. 학부 학점이나 학벌이 크게 영향이 있을까요?
미박은 학사 졸업생들도 뽑다보니 학부 성적도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아주 좋다고 하기는 무리인 성적입니다... 3.8x/4.5)
그리고 혹여나 대학원이 SPK라도 학부 학벌이 안 좋다고 별로 좋지 않은 눈으로 보는지 역시 질문하고 싶습니다.
2. 코스웍 학점 vs 논문?
위 질문이랑 연관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석사생에게 요구되는 논문의 실적이 어느 정도일지가 궁금합니다.
자교에서 학연생을 했을 때도 석사는 무언가 주도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사람은 아니었기에, 코스웍을 열심히 들어서 학점을 완벽하게 만들어놓는 게 좋은지, 아니면 논문 쪽을 확실히 작성해서 컨퍼런스에 이름을 올리는 쪽이 나은지에 대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3. 탑스쿨...
종종 다른 분야는 SPK 정도면 TOP10~20정도의 탑스쿨에 들어갈 수 있지만 AI분야는 지금 박터지는 상태라 TOP 50정도까지도 봐야지 합격을 바라볼 수 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이게 코로나 때문에 펀딩이 안나와서 일시적인 상황인 건지, 아니면 정말 사람들이 전부 AI로 몰려서 경쟁률이 미친 건지를 알고 싶습니다.
4. 미박 메리트
저희 학교도 나이 좀 있으신 교수님들은 유학파 분들이 많으시지만, 젊으신 교수님들은 SPK 국박이신 분들이 많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꼭 교수를 노리는 건 아니지만, 다른 직종을 가진다고 해도 국내박사에 대한 인식이 예전보다 더 좋아진 것 같아서 굳이 해외로 나갈 필요가 있는가 역시 생각할 여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생각하시는 "SPK 연구실 < 미국대학 연구실" 에 해당하는 마지노선이 있으신가 역시 묻고 싶습니다.
내년 3월부터 새롭게 시작할 대학원 라이프가 기대되면서도 한편으로는 이런 고민 역시 되게 많이 하게 되네요. 앞으로의 2년간이 제 장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제 스스로 고민할 수 있게 되면 좋겠습니다. 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체한 공자*
2021.12.20
코로나때문은 아니고 인기가 몰려서 그런거구요.. 석사출신이면 탑컨퍼 1저자 두편정도 목표로 잡고 석사 마치세요. 화이팅!
대댓글 1개
2021.12.20
감사합니다!
2021.12.20
미국 탑스쿨 박사중입니다.
1&2. 석사를 하더라도 학부 학점/학벌 매우중요합니다. 논문은 다다익선 고고익선입니다.
SPK로 석사진학을 해서 논문 실적을 쌓으면 어느 정도 학부 학벌세탁이 가능하긴 하지만, 그래도 학부 성적은 매우 중요합니다. 미국 대학들이 한국 학교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해당 학교 재학생들의 출신학부를 레퍼런스 삼아 학교 레벨을 대강 평가합니다. 이건 대학마다 케바케라, 미국 입장에서 글쓴이님의 학부가 unknown 스쿨이라면 수석or차석정도는 해 줘야 그래도 어느 정도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탑스쿨은 석사없이 가려면 국내 탑티어학부+수석, 많이 봐줘서 차석까진 해야 지원해 볼 만 합니다. 탑스쿨 학부 합격생들은 수석+high IF 논문실적까지 들고 옵니다.
석사까지 했다면 성적은 베이스에 논문 실적이 꼭 있어야 합니다. SOP가 엄청 중요한데 실제 실적을 바탕으로 본인의 연구 역량을 SOP에 매우 잘 어필해야 하기에 논문은 다다익선 고고익선입니다.
3. 미국 탑스쿨 AI쪽은 진짜 스펙 짱짱하고 머리좋은 애들이 옵니다. 코로나와는 무관하고 그냥 요즘 핫해서 빡셉니다.
4. 미국박사를 고려하고 계시다면 무조건 미국박사 하세요. 기업을 가던 아카데미를 가던 대우가 다르고, 유학경험, 해외에서 만든 네트워크가 소중한 자산입니다. 요즘 국박으로 임용하는 교수님들도 물론 많이 있긴 한데, 건너건너 주워들은 얘기로는 (100% 사실이 아닐 수도 있으니 믿지는 마세요) 한국 탑스쿨에서 국박을 교수로 채용하는 경우는 한국 탑스쿨의 레벨이 이만큼 높다! 라는 과시(?)를 하기 위함이 어느 정도 있어서 국박 TO를 따로 만든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 국박으로 교수들을 꽤나 채용 해 왔기 때문에, 앞으로도 국박을 위한 TO를 더 만들어 줄지는 잘 모르겠네요.
SPK에도 미국 탑스쿨 못지 않게 뛰어난 학생들이 있다는 걸 알지만서도, 저는 미국에 있어서 그런지 US News에 있는 순위로 비교하게 되더라구요 (현재 US
대댓글 3개
2021.12.20
SPK에도 미국 탑스쿨 못지 않게 뛰어난 학생들이 있다는 걸 알지만서도, 저는 미국에 있어서 그런지 US News에 있는 순위로 비교하게 되더라구요 (현재 US news 전세계대학기준 SPK가 각각 180,400,230위 이군요). 그러니 SPK 뽕에 취하지 마시고 해외엔 날고 기는 사람들이 더 많으니 겸손하게 열심히 석사 생활 하셔서 좋은 실적 거두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박사 지원할때 교수 추천서와 더불어 교수의 평가가 매우 중요하니 미국박사 준비하실거면 지도교수와 트러블 만드시지 마시고, 랩 멤버들 일도 도와줘서 다른 프로젝트에 공저자로 최대한 많이 이름 올리시고, 다른 그룹과 코웍 기회가 있으면 코웍도 열심히 해서 다른 교수에게도 눈도장 잘 찍으시길 바랍니다.
2021.12.20
*정정* US news 전세계대학기준 SPK 130, 400, 280 이네요
2021.12.20
조언 감사합니다! 확실히 문이 좁고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분야이긴 한 것 같습니다.. ㅠㅠ
2021.12.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희 쪽 분야 탑3 공대에서 석/박 받았습니다.
1) 저도 SSH 학부 출신입니다. 생각해보니 제 학점도 3.8x/4.5 였네요. (참고로 대부분의 미국대학은 전체 GPA말고, 마지막 60크레딧 GPA를 많이 봅니다.) 석사로 갔지만, 가자마자 교수 컨택하고 풀 펀딩 받았습니다. (물론 석사가 박사과정보다 펀딩 기회가 적을 수는 있어도 생각보다는 많이 있습니다. 박사 유학을 생각하고 계시다니 그 때의 저보다 기회가 더 많이 있겠네요.) SSH 학부 학벌이 안 좋다는 얘긴 겸손하신 얘긴 것 같고요, 최근 다른 게시글에서 나온 얘기지만, (정말 본인의 학부 학벌이 부족하다고 본인이 생각하시면) 진정한 학벌 세탁은 학벌에 상관없이 본인의 가치를 증명했을 때입니다.
2) 전 프로그래밍을 좀 잘 했던지라 포트폴리오랑 제가 만든 프로그램을 제출했습니다. 학교에서 학생 뽑을 때 물론 학점/논문으로 포텐셜도 보지만, 당장 쓸 만한 학생들도 좋아합니다. (나중에 입학해서 알고 보니 제가 제출했던 프로그램을 여러 교수들이 좀 돌려봤더군요.) 논문은 정말 탑 저널 아니면 큰 의미없다고 생각합니다. 전공 분야가 정확하게 맞지 않으면 지원서 보는 교수들이 논문의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탑스쿨에는 글쓴이가 쓴 논문을 정확히 이해하는 교수들이 있을 수 있겠으나, 그 양반들이 그 수많은 지원자들의 논문을 하나씩 다 본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제가 썼던 방법을 꼭 추천하는 건 아니지만, 단순히 천편일률적으로 나의 학점/논문이 이만큼 좋다라고 하는 수많은 지원자들 사이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방법은 몇 가지 있을 것 같아요.
3) AI가 핫한 것은 비단 컴싸쪽만이 아닙니다. 공대 전반적으로 AI를 적용하고 싶어하죠. 글쓴이의 실력이 탑스쿨에 가기에 부족하다는 얘기가 아니지만, 전공을 살짝만 바꿔서 지원해도 탑스쿨에 갈 확률은 확실히 올라갑니다.
4) 국내 대학 교수에 해외 대학 출신이 전보다 부족한 건 해외 박사들이 학위를 끝내고 나서 한국으로 돌아오지 않기
대댓글 2개
2021.12.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글이 길어서 잘렸네요)
4) 국내 대학 교수에 해외 대학 출신이 전보다 부족한 건 해외 박사들이 학위를 끝내고 나서 한국으로 돌아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출산율 감소로 인해서 한국 대학이 많이 없어지거나 할 공산이 크기 때문이죠. 한국 한 번 들어오면, 미국으로 다시 나가기도 쉽지 않은데, 한국 들어왔다 잘못되면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죠. (대부분의 미국대학들은 미국 내 지원자를 더 선호합니다.) 게다가, 미국 대학 교수는 테뉴어를 받으면 정년이 없습니다. 한국처럼 정년보장이 아니고, 종신교수가 되기 때문이에요. 80이 돼도 건강만 받쳐주면 현역으로 뛸 수 있으니, 연구 좋아하는 사람들에겐 좋은 직장이죠.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2021.12.20
감사합니다! 역시 출신학교보단 능력이 우선시되는 게 맞는것같네요. 2년간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D
2021.12.20
spk자대생도 탑10-20 쉽지 않습니다. GPA높아야돼요. 석사를 spk에서 햇다고 이점이있기보다는 무조건 실적이 필요합니다. 석사를 하는것도 다이랙트박사에 비해서 학위가 한단계 추가된게 아닌 논문실적 들고가려는건데요.. 미국대학에서 석사해서 추천서를 받는거가 아닌이상 석사를 인정잘안하주는 분위기입니다.
대댓글 1개
2021.12.20
조언 감사합니다!
2021.12.20
윗분들이 정말 좋은말씀해주신 것 같아요. 분야는 다르지만 (ai 활용하는 computational biology 입니다) 저도 이번에 미국박사 지원한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AI/ML은 진짜 탑티어 컨퍼런스 많이 쓰셔야해요.. 몇가지 도움될만한 팁을 드리면,
1) gradcafe에서 12월말쯤부터 CS 이번 입시결과를 공유할텐데 스펙도 종종 공유합니다. 합격하려면 어느정도 스펙이 필요할지 감을 잡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인터네셔널 학생들 위주로 보세요
2) 석사과정동안 가능하다면 꼭 미국대학 교수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잡으세요. (예를들어 지도교수님의 은사님과 코웍) 나중에 추천서를 local people에게 받아야지 훨씬 강력한 지원서가 될 수 있습니다. 한국교수들에게 세장 받으면 많이 불리합니다.. 미국교수와 논문 같이 쓰면 나중에 추천서 받기도 좋습니다.
3) 당연한거지만 토플은 미리미리 100점 따놓시길..
이 분야가 너무 핫해서 난이도가 매우 높지만 같이 화이팅해요!
대댓글 2개
2021.12.22
반갑습니다, 저도 computational biology 분야에 있어요 ㅎㅎ. 이번에 지원하셨나요? 꼭 좋은 결과 있으셨으면 좋겠습니다 ㅎ
2021.12.27
아 네 ㅎㅎ 이번에 지원했고 결과기다리고 있어요. 응원 감사합니다!
2021.12.21
몇년전이라 도움이 될까 모르겠지만 대학원 중 지원자 스크리닝과 인터뷰 호스팅에 참가해본 사람으로 말씀 드리자면.
1. 학부 학점은 미니멈을 넘으면 수석이 아닌이상 영향을 안 줍니다. 학교이름은 한번더 주목할 효과는 줌 서울대 북경대 칭화대 이정도는 미국사람도 알고 한번더 눈여겨 보게되고요. 하지만 ssh가 나쁘지 않음 좋지도 나쁘지도않은 영향을 줍니다.
2. 대학원학점은 다들 잘받게 되어있으므로 논문이 다다익선.
3. 분야마다 조금은 다르지만 HYPSMC 아니면 top 30까지는 다 거기서 거기입니다.
4. 국박이던 미박이던 장단점은 있는데 미박하면 미국 취직부터 한국 취직까지 선택의 여지가 많아집니다. 제가 과거로 돌아가 다시 선택한대도 미국오고 싶어요.
도움될 말씀을 드리자면 추천서 중요합니다. 아무 미국교수나 한국교수의 추천서는 그렇게 힘을 발휘하지 못합니다만미국의 소위 대가~ 준대가의 추천서를 한장 받으면 아주 큰 도움이 될겁니다. 석사때 어떻게든 미국에 힘있는 교수에게 네트웍을 만들어 추천서를 받던가 꼭 탑스쿨을 가야 한다면 석사마치고 1-2년정도 미국랩에서 일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저는 추천서 힘으로 학교 레벨을 많이 올렸습니다.
2021.12.20
대댓글 1개
2021.12.20
2021.12.20
대댓글 3개
2021.12.20
2021.12.20
2021.12.20
2021.12.20
대댓글 2개
2021.12.20
2021.12.20
2021.12.20
대댓글 1개
2021.12.20
2021.12.20
대댓글 2개
2021.12.22
2021.12.27
2021.12.21
대댓글 1개
2023.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