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구헌날 '실적이 우선이다 학벌이 우선이다, 제가 학부 학벌이 이런데 미국 탑스쿨 박사 받으면 괜찮을까요, 실적 많아도 학벌이 낮으면 무소용이다' 이러 말로 게시판 낭비 할 필요 없이 딱 이것만 생각해 보세요.
만약, 학벌이 실적보다 중요하다 합시다. 그래서 낮은 학부는 미국 탑스쿨 박사 나와도 서울대 박사한테 밀린다고 하면 탑스쿨 박사 안 할건가요? 난 스탠포드 나와도 지방대 출신이니까 하면서 스탠포드 갈 수 있는데 안 갈려고요? 열심히 안 할건가요? 그게 사실이면 서울대 출신들은 왜 그리 열심히 하나요? 이미 게임 끝인데?
반대로, 실적이 학벌보다 중요하니까 난 지방대 가서 논문 많이 쓸거다. 좋은 대학원 필요 없다 할건가요? 좋은 학교는 좋은 인프라입니다. 좋은 학교가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해요, 단순한 학교 네임벨류말고.
그냥 주어진 환경과 위치에서 열심히 하세요. 그러면 답을 찾을 겁니다.
아마 이런 고민하는 사람들은 아직 학부생이거나 대학원 초년 같은데 세상 나오면 천재인데 열심히 하는 천재들이 많어요, 천재가 아니더라도 똑똑한 사람들. 그런 사람들 보면 학벌이니 실적이니 그런거 신경 안 쓰입니다. 그냥 쭉 하는겁니다. 허튼 생각으로 시간 낭비말고.
그런 생각할 시간에 논문 한 단락을 더 읽고 한 줄을 더 쓰기를 바랍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조급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1.12.30
결론적으로 다 중요하구요. 우선순위나 가치를 두는 것은 경우에 따라 너무 다릅니다. (현직)
대댓글 8개
조급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1.12.30
학계로 갈꺼면 논문 없는(적은, 나뿌) MIT 박사보다 논문 있는(많은, 좋우) 어떤 학교 박사라도 좋습니다. 하지만 논문은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닙니다. 학위는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니구요.
낙천적인 제인 오스틴작성자*
2021.12.30
저도 현직입니다만..
학위는 교수가 되기 위한 필요조건입니다, 학위 수여 학교의 명성은 아니지만. 지원 자격요건으로 '박사 학위를 수여한 자'라고 명시 하고 있는데 어찌 아무런 조건도 아니라니..
낙천적인 제인 오스틴작성자*
2021.12.30
아 그리고 둘 다 중요하죠. 그런데 뭐가 중요한지 고민하면서 따지는건 안 중요하다는 겁니다. 그럴 시간에 논문 한장이라도 더 읽는게 낫다는 생각입니다.
조급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1.12.30
난독증이신지.. 박사 학위 유무 얘기했습니까? 어디 학위냐 이야기 얘기입니다..
IF : 1
2021.12.30
본인이 "학위는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니구요."라고 하셔놓고 학위 유무 이야기 안했다고 난독증으로 몰아가시네요.
낙천적인 제인 오스틴작성자*
2021.12.30
ㄴ 대신 얘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12.30
익명성의 장점. 실명 대화였으면 너무나 민망했을 상황 ㅠㅠ
조급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1.12.30
말꼬리 잡는게 아니라 문맥상, 학위가 어디꺼냐가 중요하냐는거지, 학위의 유무로 이해하는 것 자체가 너무 당황스러운 태클 아닌가요? ㅎㅎ 제가 급히 폰에서 쓰느라 "어디 학위냐"는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니다 라고 쓰지 못한게 잘못이네요 ㅎㅎ 원글자님의 글에 힘을 드리기 위해 댓글 달았다가 망측하게 되었네요. 적당히들 융통성 가지고 삽시다. 교수나 학생이나 다들 뭐하는 짓인지.
깜찍한 앨런 튜링*
2021.12.30
그냥 둘다 탑으로 챙겨 그럼되자나.. 그게 트레이드 오프 관계가 아니지 않나…? 뭔가 하나를 위해 하나를 희생해서 선택지가 있는 마냥 여겨지는게 신기…
대댓글 1개
낙천적인 제인 오스틴작성자*
2021.12.30
둘 다 탑인 사람들은 여기 올 만큼 한가하지 않고 보통 둘 중 하나만 들고 있으니 불안해서 그런듯.
2021.12.30
실력이 중요한듯 면접보거나 같이 일해보면 실적 좋은데 실력은 그닥인분들 꽤 많음
대댓글 1개
2022.01.19
생각보다 연구하면 무임승차로 실적 쌓는 사람들이 있어서 그럼
2021.12.30
대기업 현직 입장서 보면, 실적보다는 학벌이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논문 여러편 쓴 지방사립대 박사랑 논문 1편만 쓴 SKP 박사 중에 인사팀은 후자를 훨씬 더 선호한다는 사실....
연구소나 교수쪽으로 진로를 정하면 모르겠지만, 대기업 기준으로는 학벌을 훨씬 많이봐요.
대댓글 4개
2021.12.30
지사립 박사인데 포닥은 미국에서 분야 탑3 그룹에서 보냈다면 어떨까요? 현실적으로 고려할 일이 없는 경우지만요.
2021.12.30
그냥 궁금.
2021.12.30
어떤 의도로 질문했는지 모르겠으나, 대기업 취업 기준으로 보면, 최종학력이 올라갔으니 취업에 매우 유리해지긴하죠. 그런데 대기업은 공정을 중시해서 박사를 MIT 1군랩을 나오든, SKP를 나오든, 지방사립대를 나오든, 사이닝 보너스랑 처음 들어갈때의 직급+연차 정도 빼곤 다 똑같음 ㅋㅋ
2021.12.31
딱 제가 궁금해했던 부분을 설명해주셨네요. 포닥이 학벌의 일부처럼 고려될 수 있는지 궁금했어요.
2021.12.30
제가 하고싶은말 그대로네요. 당연히 학교가 좀 안좋아도 실적이 미친 수준이면 인정받을 것이고 거기다 학교까지 좋으면 금상첨화겠죠 학교를 다니면서 제공받는 지원이나 인프라도 다르고 얻을 수 있는 인맥도 다르니까요. 그런데 여기는 무슨 가정법으로 쓴 글이 한페이지에만 해도 수두룩하니 참ㅋㅋㅋ
2021.12.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실적이랑 학벌을 선택할 수 있는것도 아닌데 왜 그렇게 싸우는지 모르겠음 ㅋㅋ 뭐 지네들이 학벌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실적 없이 졸업되는건가?
2021.12.30
대댓글 8개
2021.12.30
2021.12.30
2021.12.30
2021.12.30
2021.12.30
2021.12.30
2021.12.30
2021.12.30
2021.12.30
대댓글 1개
2021.12.30
2021.12.30
대댓글 1개
2022.01.19
2021.12.30
대댓글 4개
2021.12.30
2021.12.30
2021.12.30
2021.12.31
2021.12.30
2021.12.31
대댓글 1개
2022.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