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공동저자에 대한 고민입니다.

2022.01.23

8

2757

안녕하세요.
3년간 진행했던 연구를 마무리하여 현재 논문을 작성중인 대학원생입니다.

6개월 전 교수님의 추천으로 타 연구실과 공동연구를 하게 되었는데,
진행이 더디어 아직 데이터를 받지 못했습니다.
받을 데이터는 아마 한개 Figure의 한개 Sub-Figure로 들어갈 예정입니다.

문제는 교수님께서 갑자기 상대 학생에게 공 1저자를 주겠다는 것입니다.

지난 3년간 홀로 연구를 진행해왔고 Figure (Data 및 Scheme)도 모두 혼자 만들었습니다.
Hypothesis 및 Manuscript도 혼자 작성하고,
이제까지 나온 데이터도 홀로 만들었습니다.
무엇보다 상대 학생에게 제 연구를 설명해줘야 하는 입장입니다. (즉 연구 develop에 관여가 전혀 없습니다.)

교수님 입장은 공동저자를 줘도,
누가봐도 데이터 상 Contribution에 차이가 있기에 단독 1저자랑 차이가 없을것이다 하시는데

열심히 써서 나눠먹더라도 좋은 저널에 내야하는게 최선인 것을 알지만...
어차피 써봤자 실적 50%를 그냥 준다는 생각에 의욕이 떨어집니다.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교수님 말씀대로 공동 1저자라도 Contribution에 차이가 있으면 상관 없을까요?

아직 갈길이 먼데 의욕이 안나고 딱히 고민을 털어놓을 곳도 없어 여기 올려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2.01.23

논문 보는 사람이 무슨 데이터를 누가 만들었는지 어떻게 아나요..
교수님께 말씀드려보세요.
그래도 안되면 뭐.. 어쩔 수 없죠

대댓글 1개

2022.01.23

이미 너무 확고하십니다... ㅠㅠ
교수님께서 상대 연구실과 먼저 얘기 후 제게 통보한거라....

2022.01.23

억울하고 치사해도 학위과정 학생이 을이고 교수가 갑입니다 교수가 시키는데로 할수밖에 없습니다 Authorship 교통정리 잘 못하면 대학원생의 연구의지를 꺾는 일중 하나인데요 다른논문 쓰면서 잊으세요 그게 최선입니다
허기진 알렉산더 플레밍*

2022.01.23

위로 드립니다. 후속 연구가 있다면 1저자 미리 확답을 받아두세요.

IF : 5

2022.01.23

누가 봐도 니가 컨트리뷰션 많은건 아무 상관도 소용도 없지만 따라가야지 방법없습니다.
허기진 미셸 푸코 *

2022.01.23

상대 지도교수와 뭔가 썸씽이 있었겠죠

2022.01.23

공동연구에서 공1저자가 항상 50대50일 수 없긴 한건 분명한데 그래도 메인피겨 1개는 최소 받아야 공1주는게 맞지 그 이하는 좀 심하네요. 근데 윗 댓글들처럼 어쩔 수 없어요. 지도교수님과 이야기해서 어필하고 다른 쪽에서 도움 받기로 하는 수밖에.. 딴 랩이랑 이야기 다 했으면 그거 번복하면 거기랑 관계 매우 나빠져서..

IF : 1

2022.01.24

연구자분이 이번연구하고 연구인생 끝이아니기 때문에 저자관련 일에 스트레스받지마시고 본인이 하고싶은연구 꾸준히하시면 나중엔 공동저자니 뭐 이런거 따질 필요없어지는 수준으로 성장하실 것 입니다.

지도교수는 연구윤리가 어긋난 행동을 한것은 사실입니다. 교수님이 저지른 만행을 반복하지않는 연구자로 성장하시길 바랄게요!! 화이팅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