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있는 랩실이 있는데 연구하는 내용을 보니 반도체 장비회사에 취직을할것같아요
근데 장비회사들은 대부분 외국계기업들이던데 이 기업들이 국내에서도 R&D 직무 티오가 많이있나요?
단순히 안정적 취업과 고액연봉이 목적이라면 석사전공과 약간 거리갸 있더라도 삼전,하닉 공정설계직무에 지원을 해야할까요?
참고로 연구내용은 플라즈마공정 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2.03.09
석사전공과 거리가 있다는 표현보다는 졸업생들이 가는 분야와 거리가 있다고 표현해야겠네요
IF : 5
2022.03.09
플라즈마공정이면 장비사 삼성 하닉 다들 어서옵쇼하고 받아줄듯 한데요. 다만 국내에 들어와있는 대부분의 외국계 장비회사들은 생각하시는 rnd보다 좀더 고객사 지향으로 세팅돼있긴 합니다. 백엔드 개발이라기보단 오더 들어오면 같이 봐주고 트러블슈팅하는 느낌이 강해요. 그렇다고 삼성 하닉 rnd가도 결국 회사 프로젝트에 맞춰 움직이는거지 보통 원생들이 생각하시는 연구 느낌까진 아닙니다.
외국계 장비사들도 연봉은 괜찮은 편이예요. 저 개인적으로는 고객사인 삼성(20시간 이하는 야근수당 안줌)보다 실질적으로 페이가 더 높은 것 같기도...
대댓글 2개
IF : 5
2022.03.09
아 뭐 성과급은 논외로 하구요.
저는 여튼 장비사 자체는 나쁘지 않다 생각하는데, 본인 스타일에 따라 결정하시는것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스타일 조직문화가 잘 맞는다 하면 하닉>삼성>장비사 순으로 추천, 연봉은 삼성하닉이 서로 왔다갔다할듯 하고, 위치(삼성이랑 장비사는 이제 주로 평택이라 보셔야), 영어사용(장비사는 진짜 영어 쓸 일 많습니다) 등등이요.
2022.03.09
성의있는 답변 감사합니다
2022.03.10
외국계 장비 업체는 학사로 가면 cs (장비 trouble shooting)을 주로 하지만 석사 이상 학위로 가면 개발 쪽 업무를 해서 본사와 커뮤니케이션도 많이 하고 굉장히 좋습니다.
2022.03.09
2022.03.09
대댓글 2개
2022.03.09
2022.03.09
2022.03.10
2022.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