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 한명 있긴 한데 이게 가능성이 원래 있는경우인건지 싶어서요. 저도 가능하면 박사로 가면 좋겠기도 하고요.
물론 저는 아직까진 논문은 없습니다. 분야 특성상 아마 회사에서도 논문은 없을거 같고요.
공학계열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2.05.19
있고 대체로 그경우 학부때 학부연구생하면서 학점이랑 연구실적(논문저자), 영어성적을 다 잘챙긴 캐이스입니다.
사실상 이게 어렵다보니, 학부때는 학점에 집중하고 석사하면서 영어성적과 연구실적 채워서 가는게 많긴하죠.
물론 급낮은곳을 목표로하면 연구실적없이도 학점+영어성적+추천서로 갈수잇는듯 합니다만 아무래도 대다수가 좋은곳을 목표로 하다보니 연구실적은 필수처럼 생각되죠
대댓글 1개
2022.05.20
논문은 아무래도 거의 필수이겠네요.
눈치보는 그레이스 호퍼*
2022.05.19
탑스쿨은 다이렉트 박사가 훨씬 더 많음
2022.05.19
저는 주변에서 다이렉트로 가는 사람 더 많이 봤습니다.
2022.05.19
보통 학부연구생하면서 실적이 있는 케이스에요. 실적이 없더라도 연구경험이 많고 학점이 상당한 경우거나요. 카이출신인데 제 친구 중에만 10명 넘게 다이렉트로 갔습니다, 저는 결국 석사까지 하고 미국박사 나왔습니다만... 다이렉트 간 애들은 최소한 SCI Q1 턱걸이라도 1저자 있었고 가장 잘 간 MIT/스탠 동시합격자였던 애는 Nature 자매지 1저자가 있었어요. 카이 작년 차석졸업자도 Nature comm. 1저자 들고 졸업하더니 MIT 다이렉트로 진학했다고 하더군요. 다들 자의로 학부연구생 1-2학년 때부터 들어가서 수 년간 랩에서 구르던 애들이었습니다, 물론 학점도 최소한 3.7(4.3 만점)였고 대부분 4.0 넘었어요. 인문사회분야는 다이렉트는 거의 못본 것 같습니다. 카이 기술경영학부 쪽은 다이렉트는 거의 못가는게 대부분이더군요. 아마 공학분야가 아니시라서 주변에 케이스가 별로 없는게 아니실지요?
대댓글 5개
눈치보는 그레이스 호퍼*
2022.05.19
공학계열이라고 본문에 써있는데요.
2022.05.19
아 그렇네요... 공학계열인데 왜 그런 케이스가 많이 없다는건지 알기 어렵네요.
2022.05.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웬지 재료쪽 같은데...
2022.05.19
서울대 재료는 잘만 가던데…
2022.05.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게 아니라 이 댓글이 탑스쿨을 저렇게 가고 저널 실적 보니깐 재료 아니면 안 되는 실적이라서 재료라고 말한거에요
2022.05.19
대댓글 1개
2022.05.20
2022.05.19
2022.05.19
2022.05.19
대댓글 5개
2022.05.19
2022.05.19
2022.05.19
2022.05.19
2022.05.20
2022.05.19
대댓글 1개
2022.05.20
2022.05.19
2022.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