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분야 모델링에 대해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허탈한 레프 톨스토이*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2.05.23

8

2178

안녕하세요.. 현재 저는 AI대학원에 석사 2차 재학 중입니다.

신생랩에 가까워서 물어볼 만한 사람도 없다시피합니다. 그래서 답답해서 글을 남깁니다ㅠㅠ

이제 교수님께서 슬슬 기존 모델을 가지고 더 성능을 올려보라고 하시는데요

솔직히 정말 어디서 어떻게 손을 대야할 지 정말 막막합니다.

CS 복수전공자 말그대로 비전공자 출신에 불과한데 그런 제가 석박사급 연구자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를

감히 몇 개월 만에 뛰어넘을 수 있나 싶어요. 학부 때에는 PS만 실컷 하면서 공부했는데.. 망망대해에 던져진 기분이네요.

영어가 불편하지는 않아서 닥치는 대로 현재 하고 있는 플젝 관련 AI 논문을 전부 읽어보니
대충 어떤 방향으로 개선시키면 되겠다는 계획까지는 분명히 있는데

막상 이것을 구현하려니 정말 도저히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심지어 제가 학부연구생 두 명에 대해 leading을 하고 있어서 계속 제가 지시를 내려야만 하는 상황인데

앞에서는 교수님, 뒤에서는 연구생 둘 사이에 완전히 껴버려서 심적 부담이 상당합니다ㅜㅜㅜ

쓰다보니 뭔가 하소연에 가까워졌는데

당장 어떤 것부터 손을 봐야 할까요? 코딩을 못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하는데.. 오류가 발생하면 마음부터 철렁 내려 앉습니다.

혹시 저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고민을 하신 분 계실까요??

구원의 손길 기다립니다ㅜㅜㅜㅜ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깐깐한 제임스 맥스웰*

2022.05.23

석사 2학기차한테 리딩을 맡기는 교수가 좀 기대가 과한거같은데

대댓글 1개

허탈한 레프 톨스토이작성자*

2022.05.23

어쩌다보니 그렇게 되었을 뿐, 제 역량과는 무관합니다.

2022.05.24

연구의 모든 시작은 논문을 많이 읽는것에서 시작합니다. 그 주제에서 나온 논문들은 거의 다 읽어보시는 것에서 시작입니다.

2022.05.24

남들이 짜놓은 코드를 오래 보세요, 남의 코드들을 내것처럼 이해하고 나면 글쓴님도 하실 수 있습니다. 시중에 나온 논문과 코드가 그냥 천재들이 뚝 던진게 아니구요, 수많은 삽질 끝에 나온거라고 생각해보세요.

대댓글 3개

허탈한 레프 톨스토이작성자*

2022.05.24

좋은 댓글 감사드립니다..... 댓글을 읽고 스스로에게 질문해보니 아직 까지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네요... 선생님은 그 다음 단계로는 어떻게 진행하셨나요?? 가령 base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했다면 그 다음부터는 어떻게 자신의 코드를 이식하셨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2022.05.24

Base가 한개는 아닐테니 여러개를 보시다 보면 자신감이 생기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처음엔 아주 작은 부분만 바꿔보고 점점 많은 부분을 고쳐 나가게 되겠죠. 그러다가 언젠가는 새로운 걸 개발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정말 많은 연습이 필요한 건 사실입니다.
허탈한 레프 톨스토이작성자*

2022.05.27

정말 감사합니다. 선생님 댓글 읽고 미친 듯이 그래도 동료들과 의욕을 가지고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ㅜㅜ 멘탈 잡고 열심히 해보도록 하겠씁니다. 감사합니다.

2022.05.26

처음부터 모델 뜯어봐서 개선점 찾고 그거 해결책 찾으면 석사가아니라 어디 AI기업에서 선임연구원 해야지 학교에왜 남아있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