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번 CVPR 사건이 유독 화나는 이유

2022.06.27

28

9343

같은 cv/ml 분야 박사생으로서
Cvpr은 꿈같은 학회이고
매년 open access 공개될때마다
논문들 보면서 다들 대단들 하네 하며
감탄하곤 했는데

저런 저급한 표절논문이 떡하니 이름을 올리고
상까지 받았다는걸 들으니
나까지 ㅂㅅ된 기분이라
더 화남

뒷통수를 후두려맞은 기분이랄까

[ref]
https://youtu.be/UCmkpLduptU

https://www.reddit.com/r/MachineLearning/comments/vjkssf/d_how_to_copy_text_from_more_than_10_previously/?utm_source=share&utm_medium=ios_app&utm_name=iossmf

https://namu.wiki/w/%EC%84%9C%EC%9A%B8%EB%8C%80%ED%95%99%EA%B5%90%20%ED%91%9C%EC%A0%88%20%EB%85%BC%EB%AC%B8%20CVPR%20%ED%88%AC%EA%B3%A0%20%EC%82%AC%EA%B1%B4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2022.06.27

탑티어 컨퍼런스 리뷰 수준 개판인건 이미 본인도 알고 있지 않았음? 액셉된 저급 페이퍼, 액셉된 좋은 페이퍼, 리젝된 저급 페이퍼, 리젝된 좋은 페이퍼 다 혼재하는 신비한 리뷰 프로세스.

대댓글 3개

2022.06.27

진짜 리뷰 개판 공감합니다. 르쿤이 형도 당했다는...

2022.06.27

사실 짱깨놈들하고 인도놈들이 리뷰어 절반이상을 차지하는터라... ㅋㅋㅋ 리뷰어들 절반이 과학기술 수준도 낮은 후진국 출신의 author출신이니 머 말 다했죠. 실용성 없는 기술들이 너무 판을 치는게 돈이 되는 걸 해보지 못했으니 판별을 못해서 리젝된 좋은 페이퍼들이 널렸죠. 차라리 아카이브가 백배 낫습니다.
정직한 닐스 보어*

2022.06.27

ㄴ 한국도 과학기술 후진국인데요..

2022.06.27

글쎄요 저건 저거고 본인의 길을 가심이..
약삭빠른 존 폰 노이만*

2022.06.27

hibrain에 관련 분야 연구자분 설명보니 아이디어 자체는 novel하고 oral로 억셉될만 하다고 하더군요. 다른 연구들에 관한 설명 부분을 해당 논문에서 그대로 복붙해서 그렇지. 물론 이것도 표절이죠.

대댓글 2개

2022.06.27

조금만 신경썼으면 무난하게 가는걸.. 연구 잘 해놓고 글 적는걸 배껴서 일이 엄청 커졋네요. 평소 윤리관 교육이 필요보입니다…
약삭빠른 존 폰 노이만*

2022.06.27

그러게요. 이게 사실이면 남들이 못하는 걸 해놓고 남들이 다 하는 걸 안해서 인생이 힘들어졌네요

2022.06.27

충격적인건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였으며 현 과기부 장관인 이종호 교수 아들도 공저자에 포함

https://www.etnews.com/20220626000093

이게 더 충격입니다.

대댓글 7개

2022.06.27

부정입학인가요? 이건 조사 결과를 지켜봐야..
장관 아들이면 서울대 못가는 것도 아니고

2022.06.27

그 부분이 왜 충격이죠.. 정치병 걸리셨나요?

2022.06.27

니 위에 인도 중국 후진국이니 뭐니 한 것부터 범상치가 않거든? 정치병걸린 늙은이 티를 감출 수가 없는데 똥싸지말고 니 들어갈 관이나 짜놔라

2022.06.27

내시야.웬 갑자기 정치병이니 ㅋㅋㅋ 그러니 닉이 내시지 ㅋㅋㅋ

2022.06.27

파인만님 전직 교수 아들이면 얀구운리에 대해 누구보다도 가정교육으로 교육받았을겁니다. 그런데 2저자로 들어갔는데도 불구하고 책임에 대해 나름대로 함구한다? 이게 충격이라는 겁니다. 윤성로 교수의 해명이 2저자들이 표절없이 쓴글을 1저자가 다시 바꾸어 표절이 있는 표현으로 바꾸었다고 하잖아요. 즉 윤성로 교수가 2저자를 커버치는 것도 웃기고 이 부분에서 2저자가 해명을 안하는 것도 웃기구요

2022.06.27

체호프님 부정입학은 아닐 것같고 다만 전직 교수 아들이 연구윤리 부정을 저질렀다는게 아이러니 하다는 겁니다. 참 드라마 같은 전개네요. 안그래도 김박사넷 한켠에서 이 부분으로 댓글이 많이 달렸네요.

2022.06.27

다른 분들의 견해

https://phdkim.net/board/free/31576/
https://phdkim.net/board/free/31580/
눈치보는 레프 톨스토이*

2022.06.27

CVPR 투고 페이퍼 수를 보시면... 애초에 CVPR이라고 다 같은 급이 아니고 쓰레기같은 논문들도 많이 억셉 된다고 유명했었죠

대댓글 1개

2022.06.27

머 어느학회나 비슷하다고 봅니다.

2022.06.27

방법이 노블한거면 오히려 기존에 텍스트 기반의 평가가 문제인거 아님? 다른데서 가져온 방법을 사이테이션 안했으면 문제인데 그게 아니면 텍스트는 빌려쓸수 있는거 아닌가싶음
이상 같은뜻 말바꿔서 쓰는라 빡친 대학원생 소감

대댓글 6개

재치있는 카를 가우스*

2022.06.27

헛소리를 정성껏 하시네요

2022.06.27

설령 인트로에 비슷한 내용이 들어가더라도, 본인이 main body에서 하고 싶은 주장에 따라 당연히 글이 바뀔 수 밖에 없습니다. (제대로 쓴 글이라 하면요)

본인이 진짜로 이전 연구를 그대로 배끼지 않은 이상에야, 이전 연구에서 발전시킨 부분도 있을거고, 이전 연구와의 차별점도 있을거고, 더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 별로 중요치 않아 생략하고자 하는 부분이 있을겁니다.

당연히 인트로도 이를 반영하여 다시 쓰는게 맞는거죠, 아니 솔직히 그런거 고려 안하고 그냥 아무렇게나 써도 그렇게 기존 논문과 통짜로 똑같다는게 말이 됩니까? 이건 기만이죠

2022.06.27

https://openaccess.thecvf.com/content/CVPR2022/html/Kim_E2V-SDE_From_Asynchronous_Events_to_Fast_and_Continuous_Video_Reconstruction_CVPR_2022_paper.html

Figure 4. Qualitative results of extrapolation (top row) and interpolation (bottom row). The ground truth frames are placed in the middle
row for comparison. Red boxes indicate observations, which are the given event streams for the extrapolation and interpolation.Blue boxes
represent the predictions (generated frames) of E2V-SDE. Prior researches can not predict with given data if the models are fed empty
event tensor. While Vid-ODE is successfully inferring video frames at unseen timesteps thanks to learning the underlying video dynamic.
In this respect, E2V-SDE has significant scalability.

Vid-ODE 중간에 나와서 이상하죠? 이거 해당 논문에서 복붙해놓고 수정안했습니다. ^^
한 문장 혹은 두 문장이면 이해를 하겠는데 많은 문단들에서 이러한 복붙이 일어났고, 비난 해당 논문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전 논문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있었던 걸로 보입니다.
https://phdkim.net/board/free/31513/

2022.06.27

솔직히 이말이 맞긴함. 싸이테이션 안하고, 빌려쓴게 아니라 베껴쓴 건 잘못.

2022.06.28

아얘벳긴건 좀 심하긴 하네요ㅋㅋ
기술개발보다 포장과 작문에 힘쓰는 분위기가 ㅈ같아서 써봤습니다

2022.06.29

뭔 개소리신지? 아이디어고 나발이고 표절은 그 자체로 그냥 나가리. 어디서 배운 academia integrity인지 모르겠지만 큰 일 날 소리를 헛트로 하지마쇼.

2022.06.27

컴퓨터 아니고, 전기전자 쪽인데, 컴공에서 Top 컨퍼런스라고, 저널보다 어렵다고 왈왈 거릴때 부터 알아봄. 이번 사건에서 보다시피 컨퍼런스는 그냥 다 베껴서 내도 운좋으면 붙을 수'도' 있는 거..

일단 어느정도 완성도만 갖춰지면, 리뷰어 빨이니까 그냥 내보라는데 말 다했지요..

그리고, 말도안되는 리뷰 프로세스, 진짜 컴공 Top conference라면 리뷰 프로세스 한 6개월은 되면 인정함

2022.06.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맞아 니 ㅂㅅ

2022.06.29

나도 cs라 탑 컨퍼런스부터 페이퍼 내보는데 리뷰 개판인건 부정할 수가 없다. 아니 피어리뷰 자체가 쓰레기 같음. 시간에 쫓기고 보상도 없는데 블라인드라며 익명으로 무책임한 리뷰를 다니 리뷰 결과가 완전 랜덤. 그런 리뷰에 대학원생은 인생을 걸어야하고… 뭔가 잘못되도 크게 잘못됐다. 저러니 표절을 해도 운좋으면 어셉되고 사람들은 비웃고 같은 분야 성실한 학생도 덩달아 바보되는거 아닌가. 졸라 짜증나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