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랩실에서 전자소자를 연구하고 있는 석사과정생이고 같은 랩실에서 박사과정 진학 예정에 있습니다.
저희 랩실 연구 분야가 전자소자 분야여서 그런지.. s전자에서 박사과정으로 학술파견을 많이 오십니다.
올해 새로운 박사과정 한분(A님 이라고 칭하겠습니다)이 오셨는데....
이 A님이 점점 선을 넘으시는 것 같아 어떻게 대처해야할 지 스트레스여서 선배님들 의견을 구하고 싶습니다ㅠ
랩실 규모가 작아서 랩실 선후배님들께 속마음 열기가 조심스럽습니다..
스트레스인점은 A분이 랩실에서 하는 연구들을 '깔본다'는 것이 느껴진다는 점 입니다..
여태까지 언급으로는
'너희는 왜 여기에서 이런 연구 하는지 이해가 안간다'
'어차피 회사가면 너희 하는것 하나도 안한다, 시간 낭비다'
'반도체는 회사로 돌아가지 학교에서 하는것 다 필요 없다'
'너희 지도교수도 회사오면 나하테 크게 혼나야한다'
'너희 랩실 논문 회사오면 분쇄기 갈린다' <- 불과 그저께 같이 밥먹으면서 하셨던 언급입니다..
연구적인 것 말고도 '너희는 대학원 말고 취업을 했어야 했다' 식의 언급을 많이 하십니다..
회사에 오래 계셨기 때문에 말씀하시는 것에 다 경험과 생각이 묻어있겠지.. 하다가서도
연구에 나름의 뜻을 두고 재미를 붙여가고 있는데 A분의 언급들이 스트레스로 다가오는것 같아요..
그래서 속마음 드러내지 않고 한번은 제 작업에 집중을 해보고자 자리에서 헤드셋을 착용하려고 하면
어깨를 툭툭 치시고서는.. 내 말 듣기 싫어서 헤드셋 착용하는거야? 라고 물어보십니다..
나이가 좀 있으십니다 30대 중후반 이시구요.. 그래서 속마음을 얘기하지 못하겠습니다
다 경험과 생각이 뭍어난 언급이라고 생각들어서 여기 랩실이 정말 문제가 있는걸까? 박사과정 진학까지 고민됩니다..
이런 상황..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의견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IF : 5
2022.07.03
그냥 씹는거말고 도리 있나요. 헤드셋도 그냥 쓰세요. 진짜 연구실 분탕치는 정도면 교수한테 말은 해볼 수 있겠구요.
그나저나 진짜 모자라다.... 그렇게 대단한 회사면 계속 학위 없이 있어도 될텐데 왜 기어와서 ㅋㅋㅋㅋ 거기 워낙 자기 회사를 자기랑 동일시하는 왜곡된 자존감가진 사람이 많긴 한데 그중에서도 심한 사람 걸리신듯
2022.07.03
그러면 선생님, 박사과정은 왜 오셨어요 ?! 회사에 무슨 도움이 되나여?! ....... 논문 갈아야된다는 식으로 말씀하실때 아무렇지 않게 눈 뿅뿅해서 물어보세요 ㅋㅋㅋ
2022.07.03
현업을 그리도 잘 아시는 분이 연구실에서 하는거 아무 쓸모 없는건 알면서도 박사는 왜하러 오셨답니까 자기가 자기 입으로 여기서 하는거 아무쓸모도 없으면 지도 박사해봣자 물박사일거고 아무쓸모도 없는 곳에 시간 버리는거네요 라고 말하면 난리나겠죠아마?
2022.07.03
나이를 먹으면 입은 닫고 지갑은 열어야지 영감탱이 혓바닥이 AK-47이네.
언짢은 제임스 와트*
2022.07.03
혼자 고민하지말고 교수님한테 말하세요
열정적인 비트겐슈타인*
2022.07.03
ㅋㅋㅋㅋㅋ 우물 안 개구리라서 회사에서 돈 될 일 만 생각할 줄 아는사람인거지 그 밖에 연구에는 무지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그냥 무시하기 쉬워요... 알아봤자 진짜 연구자 보다 더 알겠어요? 실적 될 일, 회사에서 집중하는 일만 알뿐이지 미래에 뭐가 잘될지 모르는 사람임
그냥 무시하면 되는데, 무시한다고 꼽주면 그냥 네 저 할일좀 할게요 하고 치우세요
그런식으로 시비걸어봤자 연구실에서 자연스럽게 소외될것같은데 왜 받아주세요 ㅋㅋ
대댓글 2개
우아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2.07.03
실력있는 교수나 회사연구원들은 서로 존중하고 인정합니다. 제대로된 회사의 경우 5-10년 내다보고 프론트엔드워크 잘 하고 있습니다. 이건 아카데미아도 똑같구요. 남을 깎아내리는 사고를 할 필요까지는 없다고 봅니다. 저 박사과정분이 회사에서도 인정받을지 의문입니다.
IF : 5
2022.07.03
ㄴ22 그사람이 우물안 개구리이면 나도 우물안 개구리입니다. 그사람 사상이 이상한거지 상대방에 대해서도 지가 뭘 안다고 비난할 이유는 없습니다.
2022.07.0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님께 고대로 옮겨 말해보아요 ㅎㅎㅎ 좋은 구경거리 될 듯
2022.07.03
원생이 괜한 텃세 부리는 글이나 올렸겠거니 들어왔는데.. 이건 진짜 선을 한참 넘었네요. 삼십대 중후반에 박사 학위도 없는 사람이면 직급도 높지 않을 텐데 무슨 자신감일까요.. 교수도 회사에 오면 본인한테 혼나야 된다는 말이.. 교수가 그 말 들어도 뒷일 감당할 자신이 있어서 그런 말 하는 건지 궁금하네요.
긍정적인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2.07.03
교수한테 말하면 바로 잘릴거고 그러면 알아서 해결 됨
IF : 1
2022.07.03
회사에서 좀 더 늦게 잘릴려고 퇴근하고 공부해서 박사 학위 받을라고 하는거자나. 석사로 들어온 친구들은 본인들이 아무리 잘해도 연구직에서는 석사라서 박사한테 밀린다는 일종의 자격지심인거지.. 그래서 괜히 원생들한테 시비 거는거고 ㅋㅋ 걍 무시해.
2022.07.03
음. 학술연수로 박사를 오셨으면 회사에서 고과는 좋은 분이겠네요. 즉 회사에서 일은 잘 했을 거 같긴 한데.. 회사 고과라는게 논문을 쓰는 연구개발 능력많이 아니라 정치, 라인, 리더쉽, 위기관리, 제품화 성공 등이 포함된거여서 학교 기준의 능력과는 좀 다릅니다. 학계와 회사와는 많이 다르긴 해서 사실 저도 회사에 있는 입장에서 아주 유명 교수님 이라고 해도 생각하시는 것이 답답하긴 하지만, 그래도 이분은 선을 넘었군요. 본인 회사 친구들한테 술자리에서는 그런 이야기를 가끔 할수는 있어도 왜 한참 어린 대학원생한테 그러는지 모르겠네요. 그러면서 본인은 왜 박사를 학술 연수로 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7.05
회사에 있는 분인가요? 박사를 왔다는건 석졸 아닐까요, 아마 석졸의 한계 때문에 본인도 별 가치 없다고 생각하는데 그냥 학위땜에 온게 아닐까요..
2022.08.29
회사에서 박사를 보내줬다는건 일을잘하니 회사에서 키우겠다는 의미입니다
회사돈으로 박사하고 월급도 따박따박나옵니다
그러니 회사에서는 인재들만 보내는 것이지요
그정도 된사람이 그런 말을 했다는건 꼰대이지만 현실이기도 합니다.
그럴땐 오히려 조언을 받아보면 그사람의 통찰력을 알수있습니다.
2022.07.03
S에서 학술연수 아무나 안보냅니다.
사내에서 고과가 꽤 좋아야 보냅니다.
현업에서는 기업의 이윤추구 목적으로 산업을 리딩하는 업체라 자부심이 자만심으로 표출되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S에서 지원해주는 S대학 같은데... 교수가 그 얘기듣는다고 자를수도 없을 겁니다.
조금의 인성문제가 있는 것 같은데.. 자기자신에 집중하시길 바래요.. 이런 저런 사람 있다 정도 생각하시구요.
대댓글 1개
2022.07.04
맞어 ㅋㅋㅋㅋㅋ
2022.07.04
좀 웃기네요 그러면 본인은 왜 거기서 자칭 시간 낭비를 하고 계신지 의문
집요한 존 스튜어트 밀*
2022.07.04
또 GR하면 녹음해서 망신줘버리세요 ㅎ
2022.07.05
아직 30대 중후반인게 킬포 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2.07.05
저는 처음에 글 보면서 40대 경험 많은 분인가 했는데...
30대 중후반....ㅠㅠ
남들보다 빨리 세상을 깨친(본인만 그렇게 믿는) 분이군요...
글쓴이님 고생 많으십니다...ㅠㅠ
2022.07.05
30대 중후반이면 회사에서 뭣도 아닌 시기 아닌가...
2022.07.06
저런 사람들은 자기보다 더 우월한 종 소개시켜주면 아가리 묵념함
2022.07.06
저도 S전자 학술연수 지원받아 K에서 현재 박사과정 중에 있습니다. (30대 후반)
같은 연구실인 만큼 연구분야가 유사하더라도 글쓴이분께서 A분이 속한 부서로 가실 확률이 높지 않으시면, 지도교수님에게 말씀드려 연구실 분위기를 흐리지 않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구성원들의 연구방향에 대해 조언을 해주지 못할 망정 사기를 떨어뜨리는 박사과정의 발언은 학술연수로 오신 분이라 한들 지도교수님께서 컨트롤해주셔야 합니다.
경험이 뭍어난 발언들이더라도 생각이 뭍어난 발언은 아닌 멘트들이고, 나이값을 못하는 인생선배 역할을 못하는 사람의 장단에 일일이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글쓴이 분께서 A분이 속한 부서로 갈 확률이 높으시면 어느 정도 장단을 맞춰야 좋습니다.
학술연수로 박사과정 온다고 해서 복귀 후 무조건 임원급으로 올라가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영향력 있는 그룹장 (수석/CL4) 위치까지는 올라갈 확률이 높습니다.
글쓴이 분께서 석졸을 하든 혹은 박사 졸업을 빨리 하시더라도 직급은 현재 A분의 직급/연차보다 무조건 낮게 들어가실 것이고, 연구실에서 틀어졌을 경우 동일 부서로 입사하시면 사회생활이 피곤해지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사회생활/연구실과제 등으로 오래 볼 사이라 한들 박사과정 졸업의 열쇠는 교수님이 쥐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분위기를 해치는 사람의 박사학위를 교수님께서 마냥 쉽게 줄 이유가 없습니다.
되도록 개인의 의견을 공격적으로 드러내어 직접적인 대립을 하시는 것보다, 되도록 교수님을 통해 간접적으로 해결을 하심을 권유드립니다.
2022.07.03
2022.07.03
2022.07.03
2022.07.03
2022.07.03
2022.07.03
대댓글 2개
2022.07.03
2022.07.03
2022.07.03
2022.07.03
2022.07.03
2022.07.03
2022.07.03
대댓글 2개
2022.07.05
2022.08.29
2022.07.03
대댓글 1개
2022.07.04
2022.07.04
2022.07.04
2022.07.05
2022.07.05
2022.07.05
2022.07.06
2022.07.06
2024.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