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에 꼭 가고 싶습니다.

2022.07.13

17

3354

저는 원래 지방사립대 컴퓨터공학과 학생이였습니다.
학점은 4.4로 단 한번도 전장을 놓쳐본적도 없습니다.
하지만 교통사고 이후로 다리가 회복될 기미가 안보여서 3학년 2학기때 자퇴했습니다. 1년이 흘렀고 이제 어느정도 달리기도 가능하고, 회복도 많이 되었습니다.
1년동안 여러논문과 혼자 독학으로 정말 공부 많이 했습니다 죽기살기로 이거마저 못하면 정말 망할거 같아서
대학교는 안나왔지만 학은제와 독학사를 병행해서 학사 졸업장도 땄는데 전공지식이 어느정도 뛰어나도 정규 대학을 안나왔다는 이유로 상위권 대학원 진학하기는 많이 힘들까요..? 정말 전공지식은 자신 있습니다.
현실적인 조언 해주십쇼..ㅛ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2.07.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암도 아니고 정형외과적 질환 때문에 자퇴? 연구자의 길을 감안했다면 학교자퇴같은 무리수는 안뒀겠죠. 도피성 대학원 진학인걸 감출수가 없겠네요. 현실적으로 성인답게 본인의 선택을 책임지시는게

대댓글 2개

2022.07.13

사실 병원에서 평생 못 걸을수도 있다고 했었는데 다행히 꾸준한 재활치료로 일상생활이 가능한 수준입니다.
2학년 2학기때부터 자율주행 자동차 랩실에서 1년 반동안 학부 연구생 했었습니다...
오해 없으셨으면 좋겠습니다

2022.07.13

본인이 아는게 전부가 아닙니다. 이 글을 보면 도피성이라고 유추되는 내용이 전혀 없어보입니다. 연구자라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는 범하지 마시고 상대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으면 좋겠습니다.
집요한 앨런 튜링*

2022.07.13

현실적으로 지거국하위라인도 힘들거 같아요

대댓글 1개

2022.07.13

조언 감사합니다
젊은 척척박사*

2022.07.13

현실적인 조언 해달라니깐 글 남깁니다.
다른 일을 찾아 보는게 좋으실거 같아요

대댓글 1개

2022.07.13

답변 감사합니다

2022.07.13

어떤 연구실이라도 다 이메일 돌려서 연구경력 쌓을 수 있는지 물어보세요. 남들보다 출발선이 달라서 더 힘들꺼라는거 예상하시고 하세요. 그리고 대학원을 왜 가야되는지도 다시 생각해보시고요

대댓글 1개

2022.07.13

조언 감사합니다
답답한 안톤 체호프*

2022.07.13

여기서야 뭐 본인이 장 to the 애 가질 여지가 있다고 익명이니까 쓸 수야 있어도,
만약 내가 교수인데 이런거 다 숨긴 애가 컨택할 거라 생각한다면.....소름돋을 듯 ㅅㅂ ;;;;;;;

대댓글 2개

2022.07.13

그정도인가요?

2022.07.13

어떤부분이 소름돋는건지 이해가안되는데??

2022.07.13

으이구.. 몇몇 사람들 조언으로 위장한 막말 해대는게 참..
그나마 윗분말들중 몇개는 참고하실법 합니다. 본인의 전공지식이 충분하다는걸 입증하기가 쉽지 않은것도 사실이죠. 주변환경에 비해서 잘한다는걸 절대적으로 잘하는것과 햇갈리실수도 있고요.
본인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컨택을 하기를 추천드리지난 저도 냉정하게는 상위권 대학은 힘들것같습니다. 다니시던 대학교 수석졸업해도 상위권 대학입학은 보장못해요.
우선 대학원 과정이 필요하신 이유부터 잘 생각해보시는게 좋아보입니다. 취업과 현실적으로 갈수있는 대학원목록과 비교해서 잘 선택해보세요.
그리고 다른무엇보다 건강이 가장 중요합니다. 상황을 잘은 모르지만 많이 호전되셨음이 다행이네요. 완치하시고 대학원이든 취업이든 좋은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2022.07.13

눈만 낮추면 됨 힘내셈

2022.07.13

상위권 대학원은힘들죠
그냥 대학원만가는거면 ㄱㄴ

2022.07.13

정출연에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입니다. 저는 위에 글들과 생각이 다릅니다. 확실한 목표가 있으시니 더 목표를 세분화하여 이를 충족한다면 충분히 연구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저는 글쓴분이 보유한 학위가 대학원에 진학이 가능한지는 잘 모르겠어서 그 부분 먼저 확인하시고 개별적인 컨택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인기가 많은 실험실이래도 어느 시점에 순간적으로 과제가 몰리면 일손이 필요하기 마련이구요. 또, UST라는 제도도 있습니다. 더불어, 외국 대학원도 있습니다. 단순히 커뮤니티 글에 좌우되지 마시고 저 같으면 타겟 실험실을 정해서 한번 부딪혀 보겠습니다.
저도 대학원생활을 오래했지만 학부때 공부잘하는 것과 대학원에서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는 것은 완전 다릅니다. 실망하지 마셨으면 좋겠습니다.

2022.07.13

바로 상위권 대학원은 힘들 수 있겠지만 중위권/중하위권 석사 도전해 보시고 그 다음에 석사 하시면서 연구경력 많이 쌓으셔서 중위권/중상위권 박사 이런식으로 업그레드 해보시는 것 어떨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