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왜 고학점 설포카 학부생들이 AI 대학원에 매달리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2020.04.20

29

23372

국가별로 강세인 산업에서 일해야 대우 수준도 높다고 봅니다.


AI, 시스템 반도체 설계 등 소프트파워는 미국이 절대적이고 한국은 상당히 낙후되어있다고 아는데요.

반면 한국은 반도체 생산, 메모리 쪽이 강세이고 차세대 메모리 쪽이 상대적으로 강하구요.


그래서 Ai나 시스템 반도체를 하려면 미국 대학원이나 FAANG 같은 글로벌 IT 기업을 가야 보상이 크지 않나요?

한국 내 AI 대학원에 들어간다고 해서 한국의 AI 산업이 현재 반도체 관련 산업 만큼 유의미한 산업으로 성장하고 보상을 받을지 모르겠습니다.


본인이 스스로 흥미가 있어 진학한다면 모르겠지만 현재 AI 대학원이 3차까지 신설되고 컴공 외 타 학부생까지 몰리는데다 전반적으로 다수 학부생들이 맹목적인 AI 열풍에 휩쓸리는 것 같아서요.


이런다고 국제적으로 경쟁력있고 미국에 비교될만큼 유의미하게 매출, 소득, 등 보상으로 이어질진 의문인 것 같습니다.


미국이 반도체처럼 AI를 한국에 내줄 것 같진 않은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0.04.20

뭔가 있어보이는 학문의 최신 트렌드라 그렇습니다

2020.04.20

까보면 속빈강정이고 설대AI연구원 뽑느니 해외 전공자 데려오는게 비용이나 실력면에서 낫다는게 필드 중론이지만 뭐...

2020.04.20

고학점 학부생들이 미래, 정세를 계산하지 않은 채 눈 앞의 트렌드만 쫓는건가요?? 물론 순수한 흥미 관점에서 열정을 쏟는 분들은 논외입니다.

2020.04.20

Sieg님 저도 동감입니다.. 월급 주는 산업계에선 일잘하는게 중요하지.. 그렇다고 갑자기 AI 자체를 주력산업으로 세워 연구원을 다수 뽑는다? 그건 아닐텐데

2020.04.20

학부생들이 연구에 대해서 가지는 막연한 환상과 최신 트렌드라는 유행, 그리고 현재 세계적 추세에 국내 대학들이 발맞추어 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이 AI로 이끄는 것이지요. 실제론 도착해서 보니 AI황무지였다는 슬픈 사실과 AI기술을 대학과 협업하여 진행하기엔 국내 AI특화 기업이 너무 적고 대학의 연구역량이 막장이며 스마트 기술이라는 이름만 붙이면 AI니 IOT니 하는것과 관계없는 것도 해당 분야로 지원되는 현실을 보게 되겠지만요.

2020.04.20

ai가 핫한건 향후 모든 도메인에 적용 가능성이 높아서입니다. 그리고 한국 대학원 나온다고 한국기업에 취직할 것 같아요? 실력만 갖춰지면 프레시 국박도 연봉 2-3억에 구글가는게 이쪽 분야에요. 글의 수준이 학부생이신듯 한데 AI 분야에 대해 관심(시기일 수도 있겠네요)이 있으시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연구방향성, 적용가능성이나 찾아보세요.

2020.04.20

저는 바로 윗분처럼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과 분야가 핫해지는 건 반례가 너무 많아서 잘 모르겠고, 다른 분 말씀대로 약간 시대를 타고 있는 게 큰 것 같아요..

2020.04.20

실력만 갖춰지면 2~3억 받으면서 좋은곳 가는게 어느 분야든 안그렇겠습니까. 단지 국내 AI연구역량이 황무지 수준이고 그걸 따라잡겠다고 대학원에 들어가서 비싼 등록금 내고 연구하다보면 국책과제 몇개 하다가 졸업해서 길잃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그렇습니다. 남을 학부생 수준이라 비하하기 전에 본인이 모르는 곳에 있는것은 아닌가부터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2020.04.20

spk에서 ai학위 따고 미국에서 포닥 후에 미국취업도 있으니까요
아무리 국내 대학원이 해외대학원보다는 안좋다지만 spk는 해외에서도 인지도 있는 수준이니 ai로 진로잡았다고 하면 그렇게 나쁜 선택같지는 않습니다
근데 지금은 좀 거품이 많이 꼈다는 느낌이 강하긴 함

2020.04.20

ㄴ원래 서울대 포항공대 카이스트 컴공에서는 AI 붐 이전에도 Faanng 같은 미국 IT 로 가는게 베스트였습니다.
그런데 당연 SPK 컴공이라고 다 가는게 아니고 상위 일부만 갔었죠.
현재도 AI 대학원에 입학한다고 연봉 2~3억 FAANG에 다수가 가는게 아니라 일부가 취업할 듯한데요..,

또 Faang과 국내 Ai, 컴공 진로는 대우의 격차가 크다는 점도 있구요

2020.04.20

ㄴchristopher 님 당연 산공, 전자, 기계, 광학 등 다양한 플랫폼 에서 AI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는건 사실 입니다만

이부분은 해당 필드의 전공자가 AI를 배우는게 빠르다고 알고 있습니다.

현재 순수 컴공, AI 연구자의 수요가 그렇게 엄청날지는 모르겠습니다.

2020.04.20

ㄴchristopher 님 당연 산공, 전자, 기계, 광학 등 다양한 플랫폼 에서 AI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는건 사실 입니다만

이부분은 해당 필드의 전공자가 AI를 배우는게 빠르다고 알고 있습니다.

현재 순수 컴공, AI 연구자의 수요가 그렇게 엄청날지는 모르겠습니다.

2020.04.20

한국 주요 대기업들의 주력 분야는 학계에서 못쫓아가고 박사급이 입사해도 다시 가르칩니다. 이런 분야들은 기업 내에서도 교육 프로그램 탄탄하게 갖춰져있고요. 그러나 이 대기업들 AI는 잘 모르고 교육프로그램 짜려고 해도 다 외부강사 불러다해야합니다. 기업입장에서는 생각하시는것과 다르게 AI 아는사람 데려다 전통적인 공학 가르치는게 빠르고 당연히 인력 수요 많습니다. 최근 주요기업들 박사급 채용공고 살펴보세요. 요즘 AI 인기 높은게 이런 사정까지 알고 진행되는 일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만.

2020.04.20

ㄴ산업공학 등 생산기술 쪽으로는 AI박사 학위자를 뽑아 일시키는게 낫다고 아는데, 반도체 소자, 광학, 화학공학 등이 쓰이는 분야에서도 AI 학위자를 뽑아서 교육시키고 투입하는건가요?

AI 인력을 생산기술, AI 시스템반도체 등 일부분야에 투입시키거나 나머지 다수 연구원들의 AI 교육프로그램에 강사로 쓸지는 몰라도
순수 AI 전공자가 나머지공학을 커버할 것 같진 않은데..
John Hunter*

2020.04.20

ㅋㅋㅋ 고학점 설포카 학생들 여론이 똑똑하겠냐 니가 똑똑하겠냐?
머리가 딸리면 머리 좋은놈들 군말없이 따라가는 것도 방법이다~~

2020.04.20

ㄴ머리좋은애는 고신대 의대로 탈출했음

2020.04.20

ㄴ저도 고학점이라 말할 순 없지만 S대 전자공학부 재학생이구요 ㅎㅎ 요즘 SPK 학생들 과를 떠나서 AI대학원에 몰리고 AI대학원도 막 신설되서 이게 유의미한건가 싶어서 그럽니다.

P대 교양 한과목 듣는데 AI 관련 교수님께서도 이미 유능한 인렼풀은 충분히 뽑혔는데 왜 AI대학원을 계속 신설하는지 의문이란 말씀도 들었구요
John Hunter*

2020.04.21

ㄴ 교수가 말하는 유능한 인력풀은 박사급 교수할 사람들 말하는거고~ 산업계는 스타트업까지하면 사람 많이 필요하다~~ 학계만 보지말고 산업계 상황도 관심을 가져보길
John Hunter*

2020.04.21

그리고 서울대는 전정이라고 하지 전자공학부라고 안한다~ S대 학생이 포공 교양수업을 왜 들음ㅋㅋㅋ 훌리 또는 신포도 인것 같은데 공부나 열심히 하그라~

2020.04.21

ㄴ? 무슨소리신지 ㅋㅋㅋ 집이 경주라 휴학 중에 청강 차원으로 듣습니다만 전정이든 전자든 되도않는걸로 꼬투리잡지마세요 ㅎㅎ

2020.04.21

참나 ㅋㄱ 서울대 전자과라고 말하면 어디 지잡대 전자과가 서울대 전기정보 사칭한다고 하시겠넺ㅋㅋㅋ 웃겨서
John Hunter*

2020.04.21

ㄴ 경주에서 포공을 청강? 웃다갑니다
Adolf Butenandt*

2020.04.21

휴학하고 강의 청강하는 미친놈이 어디있음 그럴거면 그냥 학교에서 학점을 딸것이지 앜ㅋㅋㅋㅋㅋ

2020.04.21

ㄴ여기있는데요 ㅋㅋㅋ 인성꼬라지 수준하고는

2020.04.21

대학원의 학문 분야 역시 트렌드라는게 있어요. 솔직히 말하면 반도체쪽은 이미 흥한지가 오래되었고 상당히 그 정점을 오래 유지했지만 앞으로는 흥하기는 힘든 주제일겁니다.

전통적인 분야일수록 더 새롭게 연구할 주제는 없어지니까요.
극단적으로 말해서 고전열역학 대학원에서 연구하는 사람 봤습니까?
학교에서 신임교수들 들어오면 주로 어떤 연구주제들로 학위받았나 잘 살펴보세요.
기존에 학과에서 전통적으로 밀던 분야와는 다른 새로운 분야나 참신한 주제로 연구한 분들이 많을겁니다.
실제로 미국 대학교들 탑스쿨 전자과 홈페이지 들어가서 찾아보면 젊은 교수들 중에 전자공학스러운 연구하는 사람 진짜 거의 없어요. 출신 분야도 물리 연구하던 사람이 특이한 연구주제로 전자과로 기어들어오는 경우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학점 좋고 공부 잘하는 학생들이 새로 떠오르는 핫한 분야 선호하는게 괜히 그런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새로 연구할게 별로 없고 이미 잘 되는 것들을 최적화 시키는 연구가 많은 분야는 이미 기업이 대학원보다 훨씬 잘하는데 그런 연구하고 싶으면 기업가서 돈 배로 받고 하지 굳이 대학원을 가야할 이유가..?

2020.04.22

팩트: 서울대학교 학생은 전자공학부라는 말을 절대 쓰지 않는다. 써도 전기공학부 정도임 ㅋㅋ 제 생각에는 글쓴이 걍 반도체 훌리같은데 님 연구할거나 하세요 ㅋㅋ ai는 대세고 앞으로 적용가능성이 무궁무진해서 님이 걱정할건 아닌듯

2020.04.26

전 카이 수학 전전 복전인데 한 3학년까지 쭉 흥미를 못찾다가 이 쪽 공부를 해보니 되게 재밌더라고요

2021.01.26

이번에 2021 전기로 S에서 K ai 가는 사람인데 다 조사하고 원서쓰고 면접보고 랩 선택하고 하니까 너무 고나리질 하지 말았으면 한다 과는 다르지만 후배같은데

2023.04.12

다른 분야로 가는 것보다 기대할 수 있는 보상 (연봉, 직장 수준, 해외 취업 기회)이 훨씬 높으니까요. 저는 SPK에서 AI쪽 학석박하고 현직 교수로 있습니다만, 저보다 뛰어난 수많은 국내박사분들이 교수직 마다하고 해외로 높은 연봉 받고 나가셨습니다. 그중에 한국 들어 오시려는분도 없는듯 하네요. 그리고 평타만치고 졸업해도 다른 분야대비 취업시 받는 연봉도 높구요. 물론 갈수록 공급이 많아져서 지금 입학하시는분들은 예전같지는 않겠지만, 이 산업이 그렇게 단기간에 몰락할거 같지는 않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