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미필이라 디테일하게 계획을 잡진 않아 무지한점 미리 양해를 구합니다..
전자계열 학부에 재학중입니다. 학부내에 인공지능쪽으로 커리큘럼이 있고 학과내 인공지능 관련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을 할 수 있으면
나중에 ai대학원 원서접수할때 전공이 CS가 아니여도 괜찮을까요? 전자계열에서도 인공지능 대학원으로 진학 많이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아니면 컴공쪽으로 복수 전공을 해야할까요?
전과도 고민중이네요..
전자계열로 학교오긴했는데 컴퓨터과학쪽 공부에 푹빠져서 전공공부가 상대적으로 너무 흥미가 안생기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2.08.05
별 문제 없습니다. 다만 입학 후 선수과목 학부수업 들어야할 거예요
2022.08.05
아무 상관 없어요 ㅋㅋ 전자에서도 많이 가요
2022.08.05
프로그래밍 실력이 중상이상정도만 되면 오히려 전자쪽 백그라운드가 더 나은듯합니다
대댓글 2개
2022.08.05
아하 이건 또 처음 안 사실이네요? 또 무지함을 느낍니다 ㅠㅠ
2022.08.06
전자에선 신호처리를 기초부터 고급까지 쭉 배우던데 시각이나 청각 분야에선 이런거 많이 아는게 컴공인 내 입장에서는 도움될거 같음
근데 그렇다고 처음부터 새로 각잡고 공부하긴 시간도 없고해서 아쉬움
2022.08.05
전자랑 CS는 애초에 같은 분야 취급인 경우가 많습니다.. 전공 공부가 흥미가 안 생기신다는데 막상 보면 하는거 크게 차이 안 나요 끽해야 회로 하냐 안 하냐 정도?
대댓글 1개
2022.08.05
아하 그렇군요? 근데 하필 1학기때 했던 과목중 회로를 직,간접적으로 배우는 과목 비중이 많았네요 ㅠㅠ
IF : 2
2022.08.05
미필에 1학년 1학기까지만 수료한 학생이라면 복수전공을 해도 되고 전과를 해도 무방할 것 같네요. 하드웨어와 연관이 깊은 분야를 하고 싶다면 전자 백그라운드가 도움이 될 거고, 소프트웨어 단에서만 노는 분야를 할 거라면 정통 CS 학과로 가는 게 나을 거고... 본인이 뭘 하고 싶은지 탐색해보고 그에 맞는 전략을 세워야죠.
대댓글 1개
2022.08.06
전자과 졸업생입니다. 우리도 분야 따라서는 알고리즘 많이 합니다. 하드웨어만 하는거 아니예요 오히려 그런거 손도 안 대는 분야 많습니다. 신호처리, 영상인식, 통신, 임베디드 시스템 등등
진지한 제인 오스틴*
2022.08.06
컴퓨터는 전자과의 부분집합
2022.08.06
코어쪽이면 전자가 더 나음
IF : 1
2022.08.11
인공지능 공부하다 보시면 별 희안한것들이 많이 쓰입니다. 푸리에변환은 기본이고 로우패스필터나 하이패스필터도 많이 쓰이구요. 그러다보니 컴공보다 전자과가 더 유리할 때도 있습니다.
2022.08.05
2022.08.05
2022.08.05
대댓글 2개
2022.08.05
2022.08.06
2022.08.05
대댓글 1개
2022.08.05
2022.08.05
대댓글 1개
2022.08.06
2022.08.06
2022.08.06
2022.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