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연구생 스트레스 고민

2022.08.16

10

4356

안녕하세요 저는 공대 3학년 학부생입니다
학부연구생도 하고있고 대학원에도 관심이 있는데, 연구를 하면서 너무 스트레스를 받아 고민입니다.

랩실에 들어온 이유는 특정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어서였습니다. 그치만 아무 정보도 없이 들어온 결과.. 이미 그 프로젝트는 몇 달째 진행 중이었고 제가 거기에 끼기 위해서는 그 몇 달치의 진도를 혼자 따라잡아야만 했습니다. 혼자 논문 리딩을 하고, 자료 숙지를 하는 과정이 너무 막막하고 그리고 빠른 시일내에 진도를 따라잡아야한다는 부담감과 압박감 때문에 랩실에 들어온 이후부터 하루도 마음편히 지내는 날이 없습니다.

게다가 매주 회의는 하는데 저는 진도를 아직 따라가지 못한 상태라 회의 내용도 이해못하고 끼지도 못합니다. 그래도 끝까지 하면 스펙이 되니 한 번 해볼까요? 아니면 그만두고 다른 공모전이나 실력을 쌓을까요? 전 대기업 혹은 최상위권 대학원 진학이 목적입니다.. 학점은 4.2x 정도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08.16

3년차 직장인 + 대학원 진행중인 사람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높은 확률로 공부했던 것과 직장일이 일치하지 않았습니다.
즉, 질문자님의 경우처럼 제가 공부를 해서 따라가야 하는 상황이 대부분이었죠

처음엔 힘들지만 익숙해지면 속도가 점차 붙으실 겁니다.
가장 처음 업무는 6개월이 걸렸다면, 그 이후 4개월 이런식으로요.
개인의 능력도 향상되지만, 검색 속도도 빨라지겠죠 더 적합한 자료를 ㅂ더 빠르게 찾는 방법이라던가..

개인적으로 제가 느낀바는 그런 훈련이 되어있으면 향후에 큰 도움이 될 거라는 것입니다.
언제까지나 남이 시키는 일, 트렌디한 일만 할수는 없죠.
제가 주도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엔지니어링 하는 날이 올겁니다.
이때도 몇년 간 진행된 연구들을 몇달만에 숙지해야 되겠죠.

그때 이런 훈련들이 반드시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화이팅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8.16

네... 근데 빨리 따라잡아야 회의든 프로젝트든 낄 수 있을거 같은데 마음처럼 안되니까 조급함만 쌓이고 자괴감이 들어 걱정입니다..

2022.08.16

학부가 어딘데요??

대댓글 1개

2022.08.16

it쪽입니다

IF : 5

2022.08.16

석박사들이 해오던 일을 이제 막 시작한 3학년이 빨리 공부해서 따라잡겠다고 하는 생각 자체가 무모한데요. 그거 정말 빨리 해서 6개월 공부로 따라잡으면 그앞에 또 6개월치 쌓여있을 겁니다.
다른 학생들한테 모르는 부분은 설명을 요청하세요. 처음에는 붙잡고 어쩔줄 몰라하는건 당연하긴 합니다. 트레이닝도 트레이닝이지만 쌩 처음엔 그렇게 혼자 붙잡고있는다고 될 일도 아닙니다. 트레이닝을 할 걸 트레이닝하는 개념으로 보면 됩니다.

2022.08.16

학부라인이 어느정도이신가요? 학부라인과 석차에따라 spk진학도 가능해보이시는데

2022.08.16

스펙, 공모전, 대기업, 최상위권 대학을 언급하시는 것을 보니까 연구가 재미있어서 하기보다는 연구를 통해 얻는 지위 또는 물질이 주로 동기부여의 원천인 것 같아 보입니다. 이런 것을 외적동기라고 하는데요, 외적동기가 강한 분들이 힘든 일을 통해 어떤 일을 이루어 낼 때는 부작용이 많습니다. 쉽게 지치고, 허탈감도 많고, 번아웃도 쉽게 오고, 잘 되더라도 임포스터 신드롬이 오기도 하고, 일은 생각보다 능률도 안 오르고 일 자체에 관심있는게 아니니 내적동기로 하는 분들에 비해 창의성에서 뒤쳐질 때가 많습니다. 지금 하고 계신 일은 힘들게 해도 좋은 결과가 있을지 알 수도 없는 상황인 것 같은데요. 외적동기가 주된 분들은 힘들게 하고 나면 결과가 확실히 보장되는 일을 찾는게 좋습니다. 생각보다 그런 일도 매우 많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8.16

힘들게 해서 결과보장되는건 시험밖에 없지않나요..?

2022.08.17

댓글 작성자분께서 정확히 어떤 걸 말씀하시는지는 다 알지 못하지만 제가 첨언하자면, 아주 단순하게는 빅테크 기업에 들어가 높은 임금을 받는 것도 결과가 확실히 보장되는 일이겠죠? 보통 사람들이 힘들어도 통장에 찍히는 돈 보면서 힘을 낸다고 하니까 그것도 어떻게 보면 힘들게 하면서도 그 덕에 보장되는 결과인 거죠

2022.08.17

그렇게 굴러야 빨리늘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