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님들이 석사보단 석박통합을 더 선호하신다고 들었습니다

2022.08.31

28

5714

그럼 석사를 뽑는 이유는 뭔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재밌는 그레고어 멘델*

2022.08.31

1. 박사과정급 학생을 유치할 여건이 도저히 안되어 석사과정급으로라도 연구실을 굴려야 하는 경우

2. 박사과정급 학생 따까리

IF : 2

2022.08.31

위 댓글에서 1번은 공감하고요. 2번은 그런 경우도 있겠지만, 일반화하기에 말이 너무 격합니다. 세상에 그렇게 이상한 사람만 있지 않습니다.

물론 박사과정 뽑고 to남는 경우에 석사를 뽑는 건 일반적이지만, 학생이 유학가고 싶어한다던가 석사만 일단 해보겠다고 해서 시작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8.31

표현은 격하지만 맞는 이야기입니다.
실제로 포닥/연구교수나 박사과정 학생한테 붙어서 배우면서 보조하고 본인 단독 프로젝트 못 받는 경우가 매우 많지요. 좋은 학교 큰 랩일수록 포닥이나 박사과정 위주로 돌아가고 이런 경향이 더 심합니다.
1 2번에 이은 3번으로 서로 안맞을 수 있으니 석사 입학 후 겪어보고 결정하게 하는 랩들도 있습니다.
웃는 비트겐슈타인*

2022.08.31

석사는 가르치기만 하고, 연구 할만할 때 쯤 되면 떠나기에 연구실 입장에서는 필요 없는 존재.. 다만 특정한 분야에서는 루틴한 일이나 생각 없이 몸으로 할 수 있는 일들이 필요할 때는 도움이 될 수도?

혹은 석박으로 뽑기에는 불안한 경우, 석사로 뽑고 한번 검증하고 다시 박사로 올리는 경우도 많음.

반대로 찐따가 들어올 경우, 석사로 들어오면 2년만 있다 내 보낼 수도 있는데, 석박으로 뽑았다가 내보내기도 어렵고 곤란한 경우도 생김.

2022.08.31

다 필요없고 박사를 하겠다는 사람이 존나 극극극소수라서 그렇지

2022.08.31

확실히 김박사넷에 상처입은 영혼들이 많은 듯.
제 주변에도 유학가기전에 석사오거나, 논문 실적 좋게해서 취직한 사람들도 많았는데.
그럼 그 사람들 다 교수님이 박사 따까리 뽑은거임?? 물론 따까리로 뽑은 사람들도 있고, 따까리로 뽑았는데 잘해서 주력으로 일 시킬수도 있겠지만. 제 주변에 이런 따까리 느낌 아니게 연구실 생활 잘하는 석사생들이 더 많았어요. 물론, 따까리로 뽑은 석사생이 없다는 건 아님.
제가 본 케이스로 일반화를 쉽게 하면 안 되듯, 반대 경우에도 성급하게 일반화하는 거 자제합시다.

대댓글 7개

2022.08.31

따까리가 연구실 생활을 못한다는 건 아니잖아요. 솔직히 석사 뽑는게 테크니션 뽑는거죠 실무책임급 뽑는건 아니잖아요.

2022.08.31

따까리라는 표현은 격한 것은 맞다고 했는데요.
정확히 이야기하면 본인 단독 프로젝트를 못 받고 PI가 아닌 선배의 보조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를 이야기하는 겁니다.
보조업무만 수행해도 실험도 배우고 연구실 생활도 잘 하지요.
보조업무만 수행해도 연구 경험이 없는 건 아니니 자소서도 잘 쓰고 취직이나 유학도 가겠지요.
케이스를 일반화한게 아니라 표현의 의미를 서로 다르게 생각한 것 같습니다.
사람들이 이야기하는건 석사에게 단독 프로젝트를 메인으로 주느냐 보조만 시키느냐의 의미에요.
직설적인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2.08.31

따까리에 왜케 민감하게 반응하시지
석박통합이었지만 2년정도는 따까리했습니다만?
석사들은 졸업까지 따까리였구요.
거의 다 따까리가 맞음.
석사가 본인 스스로 프로젝트 정해서 시작하고 마무리하는건 시간적, 실력적으로 불가함.
그니까 선배밑에서 일시키는거고 그걸 따까리라고 부르는거

2022.08.31

제 주변에는 따가리로 연구하는 게 아니라 독자적인 연구하시는 분들도 많았어요. 그러니 따까리가 아니라 생각한 겁니다.
직설적인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2.08.31

모든석사를 따까리라고 한 사람이 있나요?
님 주변에 독자적인 석사가 많다고했는데 그말인즉슨 아닌 사람도 많다는 거구요.
전반적으로 석사과정이 독자적인 연구를 하는경우가 특이케이스인건 대다수 동의하는 부분일텐데요.
따까리인 석사가 분명 매우 많이 존재하는 상황인데 굳이 그렇지 않은 케이스가 있다고 하면서 석사는 따까리가 아니라고 현실부정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군요.

2022.09.01

저는 처음부터 둘 다 존재한다고 이야기했죠.
모든 석사가 따까리가고 누가 이야기했냐고요?? 댓글들 읽어보세요. '석사 박사 따까리 맞자나~~' 이런 댓글들. 이런 댓글들이 그렇게 말한 게 아니라고요??

자기들이 일반화 시켜놓고 이 무슨 현실 부정인가요.

오히려 그런 경우도 있지만 모두가 그런 건 아니라는 말에 이렇게 득살나게 달려드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IF : 2

2022.09.01

누적 신고 많은 사람들은 이유가 있어요

2022.08.31

석사뽑는 이유
1. 돈이 없어서
2. 무작정 박사과정을 뽑기에 검증이 안돼서
3. 위에 박사과정, 포닥이 많아서 테크니션이 필요해서
4. 석사를 뽑고 싶어서 뽑는게 아니라 학생들이 석박통합을 미리 정하고 오는 경우가 드물고 본인들이 석사과정만 먼저 경험해보고 싶다는 경우가 꽤 있어서.
일반적으로 교수들은 오래 일할 수 있는 통합을 선호합니다.
깜찍한 마이클 패러데이*

2022.08.31

한국은 모르겠으나 미국 포함 외국 공대는 석사진학률 60-90에 박사는 10프로도 안되고 했습니다. 빅뱅이론에도 하워드가 혼자 공대인데 석사라서 공대는 박사 안간다고~ 하다가 주변 물리 애들이 다 박사라 마지막 시즌에 박사 가는 에피소드가 나오죠 ㅋㅋ

2022.08.31

석사를 박사든 학생을 가르치고 키우는게 교수의 일. 학교라는 곳에서 필요한 박사만 뽑고 귀찮다고 석사를 안 뽑는 것도 잘못된거죠 박사도 학위따기 전에는 그냥 대학원생인데 서로 알려주고 그러면서 배우는거죠

2022.08.31

학교라는 곳에서 필요한 박사만 뽑고 귀찮다고 석사를 안 뽑는 것도 잘못된거죠 -> 이건 또 무슨 말인가요?

이미 들어온 학생을 잘 가르치고 키우는게 교수의 일이지 석사만 하겠다고 원하는 학생도 랩에서 꼭 받아주어야 하는 게 교수의 일인가요? 이상한 방향으로 이야기를 넓히지 맙시다.
교수는 연구자로서 가능한 한 최고의 랩을 구성해서 최선의 연구를 하고 교육자로서 강의 열심히 하고 랩에 들어온 내 학생들 잘 챙기면 되는 거예요. 거기에 석사를 뽑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왜 나옵니까?

2022.08.31

석사야 마지막학기는 졸업/취업준비 하느라 연구하기 힘든 학기라 사실상 18개월 동안 그냥 배우다가 나가기 때문에
교수나 선배들 입장에선 열심히하는 학생아니면 시간 쓰기 싫은건 맞죠

대댓글 1개

2022.08.31

저희과 다른 방은 석박만 뽑는 곳도 있지만, 저희 방은 오히려 석사로 뽑고 석사시켜보고 박사할지 같이 판단하는 분위기라 교수님 스타일 마다 다 다른것 같아요

2022.08.31

좋은 말로 부르면 테크니션이나 오퍼레이터, 속되게 부르면 따까리가 맞죠. 해당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없으니 시키는 것만 하는 정도?

2022.08.31

제 지도교수님은 이번부턴 사람이 모자란 한이 있어도 석박으로만 뽑겠다고 하시더군요.
석사는 이제 좀 연구인력으로 쓸만하다 싶으면 취업준비하다 나가버려서 연구가 흐름이 계속 끊겨서요.

대댓글 1개

직설적인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2.08.31

석사는 첫학기는 실험 배우느라 시간 다 보내고
또 석사과정 내내 수업듣느라 시간 다 보내고
마지막학기는 졸업논문 쓴다, 취업준비한다 하면서 시간 다 보내죠.
교수입장에서 석사생은 말그대로 뽑아주는 거죠.
도움이 별로 안됩니다.
석사로 먼저 뽑고 박사과정 시킬지말지 하는 케이스도 결국 박사과정할 사람을 검증하고 뽑겠다는것 뿐이지 석사만 하고 나갈 사람을 뽑고 싶은건 절대 아니죠. 이상한 사람이면 박사까지 시키느니 석사만하고 내보낼 심산인것 뿐입니다.

2022.08.31

감사합니다..
화난 맹자*

2022.08.31

2년이 생각보다 짧은시간입니다.
수업듣고 졸업시험보고 디펜스하고 이거 하면서 과제도하고 행정처리도하고 실험조교도 해야함.
특히 과제랑 행정처리 실험조교는 1, 2년 가르쳐야해서 오히려 교수나 위에 박사생들이 시간을 뺐김.
그렇게 2년 잘 길렀는데 나가니깐 별 매리트가 없지.

다시 얘기하면 2년동안 연구실입장에서 투자를 했기때문에 나가면 마이너스란 얘기임.

2022.08.31

석사 -> 병장 이후 바로 전역
박사 -> 병장까지하고 전문하사로 4년 더 근무

2022.08.31

석박통합 한다는 학생이 도저히 없어서.
요즘도 랩을 미리 정하지 않고 일단 석사를 뽑는 학교가 남아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 경우 어쩔수 없이 티오처리를 위해서 힘없는 교수들이 떠안기도..

여튼 통합을 뽑을수만 있다면 아예 고려대상도 아니죠.

2022.09.01

학교마다 다른데 석사는 학교에서 지원, 통합과 박사는 교수 연구비에서 지원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히려 석사 받을수록 학교지원금이 커져서 능력넘어서서 많이받아서 포닥 박사과정에 짬찌시키는 경우도 있구요.

2022.09.02

미국 공대같은 경우 교수입장에서 박사학생은 엄청 비싸지만 (학비 + 장학금) 석사에 들어가는 비용은 그에비해 훨씬 적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