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첫째, 다른 사람에게 방해 됩니다. 직접적인 방해요인이 아니더라도 그게 전반적인 분위기를 서서히 저하시키는 요인이므로 방해되는거예요. 어? 쟤는 유튭보면서 쉬네? 그럼 나도 좀 쉬어도 괜찮지뭐~ 이러다보면 연구실 서서히 침몰합니다.
둘째, 본인 할일만 잘한다? 본인 할일이 회사처럼 딱 끊어서 정해져있나요? 대학원은 왜간거죠? 업무 채워서 인건비 받아가려고 간 건가요? 본인 능력치 끌어올려서 몸값 올리자고 가는거 아닌가요? 그럼 자기 발전을 위해서든 호기심을 채우려든 틈나는대로 알아서 더 찾아보고 공부하고 고민하고 실험하고 해야죠.
본인 할 일만 잘하면 되는데 무슨상관<- 회사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연구실에서는 제일 위험한 말입니다.
연구실에서 예능, 게임 등 관련 유튜브 계속 틀어놓고 하는거 지적할만한 상황인가요?
12 - 댓글들 날서있는거보소
작성자는 정작 “본인”은 취업안돼서 간다고 말한 적없고, 경쟁자들이 취업이 힘들어서 대학원 지원이 많아진 것 같아 지원자체가 힘들어진 것 같다라는데;;
그냥~~ 지방대라하면 급발진하면서 몰아가는 수준하고는 ㅋㅋㅋㅋㅋ 똑똑한척은 엄청하는데 별거없고 그냥 일방적 까내리는 모습 웃고갑니다^^ 어디 상위권대학인진모르겠지만 ㅋ
안좋은 댓글 달릴거 아는데
18 - 삼성 LG 네이버가 지인 추천으로 들어가나요?
박사졸업 실적은 좋은데 선배가 없어서 취업이 힘듭니다
8 - 어딜 가나 항상 똑같지만 남과 비교하지 마세요. 비교는 본인이 불행해지는 길 중 하나입니다. 그저 속도가 다르다고 생각하세요.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0 - 사람을 잘 쓰는 게 능력입니다
잘 하는 사람이 있다는 건 축복입니다
못하고 못알고 자기말만 맞다고 하능 사람보단 낫잖아요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3 - 그러면서 성장하는겁니다ㅎㅎ
똑똑한 사람인가보죠. 하지만 더 오랜기간 공부하고 노력한 그 흔적은 또 크게 좋은 일로 돌아올거에요 .
2년차면 아무것도 못할 시기가 맞습니다. 특히나 물리학과라면요. 저희 연구실 3-4년차에도 논문하나 없는 경우 허다합니다.
길게보세요. 주변과 비교하지 마시고요. 그 실적 좋으신분은 똑똑하셔서 할일을 잘 하고 계신거지만, 그사람보다 못한다고 본인을 낮추는 자세는 좋지 않습니다.
타대에서 오면 적응하기도 쉽지않았을겁니다. 오히려 1년반동안 내 부족함을 알고 그걸 채우기 위해 앞으로도 나아가시길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1 - 나보다 못한 사람들만 있는 곳에선 골목대장 노릇하는 기분은 좋을지 몰라도 성장하고 배울 것이 없습니다. 그런 굇수의 존재는 축복입니다. 축복을 배움과 성장의 발판으로 적극 받아들일지, 스스로 벽을 세우고 움츠러드는 길을 선택할지 잘 고민해보길 바랍니다.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1 - 그런 사수 또는 동료가 작성자님께 적대적이지 않다면 오히려 행운이라 봐야죠. 옆에서 많이 질문하고 배우고 감사표시 하세요.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0 - LG 삼성도 못가는데 미국포닥?ㅋㅋㅋㅋ
웃고갑니다…
박사졸업 실적은 좋은데 선배가 없어서 취업이 힘듭니다
8 - 미국 포닥이 가기 더 쉬워요.
박사졸업 실적은 좋은데 선배가 없어서 취업이 힘듭니다
12 - 대학 수준을 입결로만 평가하는 당신의 수준이 한심합니다.
이원화 캠 수준
9 - 경희대수원캠은 90년대엔 광운대급이었고, 2000년대쯤부턴 문과는 국숭세, 이과는 건대급이었습니다
이원화 캠 수준
7 - 학회는 돈 벌면 그만이에요…. AI 솔직히 연구한다는 사람도 대부분 자기가 뭘 만들었는지 잘 모르지 않습니까. 그래서 연구 자체가 템플릿화 되어서 안전하게 페이퍼 뽑는 방법론이 있고요. 거기서 퀄리티 걱정된다고 예를 들어 억셉률 줄이면 쟤보다 내가 더 잘했는데 뭐냐고 난리납니다. 어차피 누가 뭘하는지 잘하는지 객관적으로 판단도 어려운데 몇천개 억셉 랜덤으로 줘버리고 그렇게 분야의 거품이 슬슬 상한가 치는 몇년 동안 바짝 돈 벌고 빠지는거죠. 원래 역사가 길지 않은 학회는 그런 사업형태를 보여주게 마련입니다..
Findings는 좀 논문 실적으로 인정을 안했으면
7
MDPI로만 학교 임용되기 가능합니다.
2022.09.07

국립대를 기준으로 1차가 실적 서류 평가인데요. 심사 위원들 반이상이 mdpi가 뭔지도 잘 모릅니다.
커뮤니티하는 2030 정도만 관심있고 이슈가 되니 보지, 심사위원들 절반이상이 4050이고, 연구중심대학이 아닌 이상
연구에도 손 놓으신분들도 많고 해서 mdpi가 뭔지도 잘 모릅니다.
그래서 그냥 IF랑 주저자 수 계산해서 기계적으로 실적 점수 계산합니다.
그리고 2차가 이제 면접인데, 1차 점수 1위부터 5위정도까지 올라가고 발표합니다.
제작년부터인가, 작년부터인가 블라인드 심사한다고 면접에서 1차 지원 정보를 다 막아버립니다. 어떤 논문지를 썼는지 mdpi인지 ACM인지 알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차때 5등안에 들고 2차때 발표만 잘하고 인상만 좋으면 (중요) 임용 가능합니다.
저는 사립대에 있는데 국립대처럼 엄격하지는 않아서 암묵적으로 지원자 서류 뽑아가지고 나눠주고 그럽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어찌될지는 모르겠습니다. 보통 사립도 국립 따라가니까요.
그러니까 임용 지원자 분들도 앞으로 MDPI도 잘 챙겨서 실적점수 쌓으시는 것이 임용에 생각보다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
+
여하튼 제가 글 쓴 이유는 학교마다 임용절차가 허접한것도 생각보다 많으니 여러가지 관점에서 임용 준비하시는게 좋을 것 같다는 말입니다. 너무 탑티어 저널에만 목메다가 1~2개 쓰고 졸업하는 것이 물론 연구자로써는 명예로운 일이지만 임용 준비 입장에서 왕도는 아니라는 것이지요. MDPI가 좋다 나쁘다. 이런걸 떠나서요.
물론 학교마다 임용 심사 절차가 조금씩 다릅니다. 저도 제가 직접 심사에 참여해본 것은 3건 정도이고, 자세하게 들은것도 3건정도 되고요. 이 중에 정성평가가 날카롭게 들어가는 학교도 있고요. 아닌 학교도 분명히 있습니다. "정성평가 = IF 보는 것" 이라고 단순화시킨 학교도 있고요. 그리고 최근들어 국공립 위주로 이런 추세가 있고요. (2021년 대학교원 채용절차 공정성 강화 방안에 따라서)
저는 말하면 고교입시나, 공기업 취업이나 블라인드 반대론자입니다. 상위스펙자보다 중하위 스펙자가 절대다수니 이들의 표를 얻기 위한 전시행정이라고 솔직히 생각합니다. 다만 임용 지원자들도 이러한 사실을 알아야 지원자 입장에서 공평해지는 것이니까 글 썼습니다.
어엌ㅋㅋㅋ mdpi 논문 내려는데 김GPT 4 9 52669
MDPI만으로 교수되기 실제로 가능 김GPT 6 14 2685
mdpi만 있는 교수 김GPT 12 18 6251
MDPI만 쓰시는 박사님들에게 김GPT 98 32 19246
MDPI 관련 질문글 김GPT 1 14 3899-
1 9 18451 -
23 29 4472
mdpi에 대한 인식 김GPT 20 19 7308
근데 mdpi 왜까는거임? 김GPT 9 28 13499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명예의전당 248 8 49310-
125 18 18339 -
152 29 4119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
261 -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226 - 요즘 논문 실적이 의미없는이유
50 - 진짜 예전엔 교수님을 엄청 무시했는데
91 - 꿈은 높은데 현실은 시궁창이야...
21 - 연구실에서 예능, 게임 등 관련 유튜브 계속 틀어놓고 하는거 지적할만한 상황인가요?
16 - 교수님 멋있는 모먼트
15 - 조작논문 신고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13 -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9 - 이게 그렇게 대단한건가요
8 - 자대 학부연구생 거절 후 고민
6 - 질린다.
9 - 포스텍 융합대학원 국방과학기술전공
4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졸업 실적은 좋은데 선배가 없어서 취업이 힘듭니다
19 - 너무 힘들어요
14 - 스펙 평가 및 질문 드립니다.
16 - 30살에 석사 가는건 미친짓인가요?
11 - YK / ist 배터리 랩 고민
11 - 자대 지거국 인기랩 vs ist (배터리)
11 - 급나누기 좋아하는 한국에서
7 - 이원화 캠 수준
13 - Findings는 좀 논문 실적으로 인정을 안했으면
12 - 인하대 관련학과에서 spk ai대학원을 가고 싶은데 편입 고민
10 - 키보드 소음 심한 선배
9 - 학부생 3저자는 아무 의미 없나요?
8 - AI 탑티어 쓰는 연구실들은 어쩜 그렇게 다들 잘 쓰나요..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대학의 rescinding offer (Cornell, UMich) 에 대한 단상
15 - 미국 박사 입시를 준비하시는 분들께
19 - 박사 오퍼 펀딩 잘 확인해보세요
8 -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
261 - 요즘 논문 실적이 의미없는이유
50 - 진짜 예전엔 교수님을 엄청 무시했는데
91 - 연구실에서 예능, 게임 등 관련 유튜브 계속 틀어놓고 하는거 지적할만한 상황인가요?
16 - 교수님 멋있는 모먼트
15 - 조작논문 신고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13 -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9 - 이게 그렇게 대단한건가요
8 - 자대 학부연구생 거절 후 고민
6 - 질린다.
9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졸업 실적은 좋은데 선배가 없어서 취업이 힘듭니다
19 - 너무 힘들어요
14 - 스펙 평가 및 질문 드립니다.
16 - 30살에 석사 가는건 미친짓인가요?
11 - YK / ist 배터리 랩 고민
11 - 자대 지거국 인기랩 vs ist (배터리)
11 - 이원화 캠 수준
13 - Findings는 좀 논문 실적으로 인정을 안했으면
12 - 인하대 관련학과에서 spk ai대학원을 가고 싶은데 편입 고민
10 - 한국 대학원 석사 후 재도전 vs 미국 박사
16 - 스펙 확인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미국 탑스쿨 박사 희망중입니다.
19 - 미국 박사를위해 봉사시간 채워야 할까요??
10 - Uiuc Purdue 중 고민이 많이 됩니다.
11

UNIST 2025학년도 후기 대학원과정 신입생 모집
· 원서접수 : 3. 26. (수) 10:00 ~ 4. 8. (화) 18:00
2022.09.07
2022.09.07
대댓글 10개
2022.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