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대 교수님과 컨택이 되었고, 교수님께서 석박통합을 고려해보라고 하셨어요..
석사로 지원은 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ㅠ
학벌도 SKP이고 랩도 인기랩이고, 무엇보다 주제가 너무 흥미로워 보였어요..
막상 석사를 하면 박사까지 하고싶을듯 한데, 정작 통합을 결정하려니 고민이 많이 되네요..
주변에 조언받을분이 많이 안계신데 박사는 어떤 목표?로 결정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다른 교수님들과 상담을 많이 해보라 하시던데 연구실 갈 생각이 없는 교수님께 대학원 진학을 문의드려도 되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2.09.06
박사를 특정한 목표로 시작한 분들도 많겠지만.. 주변을 보면 단순히 연구에 흥미있고 군문제 해결하기위해서 진학하는 경우도 많아보입니다.
그이후에 박사과정을 하면서 본인이 계속 연구를 업으로 이어나가고싶은지, 혹은 그냥졸업후 빨리돈벌기위해서 회사로 갈지 알게되고 선택하게되는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9.06
여자라 군문제는 없구요, 연구를 하면 뭔가 해결될때 성취감도 있고 아이디어를 내는게 재미있는건데 이런 이유만으로 통합을 결정해도 되는걸까요.??
2022.09.06
향후 연구를 업으로 삼고 싶은 마음이 있는 사람이 박사를 하는거라 생각합니다. 이왕 박사까지 할거면 디펜스 한번 덜 하고 수업도 한학기 빨리 끝나는 통합과정이 낫죠. 회사에 가면 못 배우는 연구주제 선정, 디벨롭, 논문 작성 및 마무리까지 배울 수 있습니다. 석사라면 정해진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내서 논문 한편 정도 쓰면 잘하고 졸업하는 그런 상황이 흔합니다.
대댓글 5개
2022.09.06
연구원이 되고 싶은 이유가, 남이 시키는대로 하면서 평생을 살기 싫어서 그런거라면 박사까지 해야할까요..??
그리고 학부연구생을 하면서 교수님께서 주제와 실험에 쓸 물질까진 선정해주셨지만, 실험 세팅이랑 문제가 생겼을때 해결, 논문 흐름 짜는것 까지는 혼자 했고, 아직까지는 재미있어요..근데 박사까지 하면 주제랑 물질선정까지 혼자 하는거니까 제가 했던거랑 난이도?가 많이 다를지도 궁금하네요..
주변에 질문할분이 많이 안계셔서 답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
2022.09.07
당연히 난이도는 높아집니다. 혼자 문제를 설정하고 해내는 능력을 기르는거니 5-6년이 필요한 거고요. 남이 시키는대로 하면서 평생을 살기 싫어서: 이건 제가 박사를 한 이유이기도 해요. 2년 석사로는 절대 못 습득할 능력입니다. 그래서 특별한거고요. 저같은 경우는 회사는 박사 졸업 후 또는 포닥다녀와서 거의 99% 갈 수 있는 곳이라 생각했습니다. 또 회사는 앞으로 남은 인생 평생 다닐 곳인데 굳이 빨리 들어갈 이유가 뭔가 라는 생각도 했고요.
2022.09.07
박사과정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길러지는 능력이니 난이도에 대해선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결국 박사는 남들과 다른 색깔을 갖는 일이지 실적으로 경쟁하는 것이 본질은 아니거든요.
2022.09.07
아참 본문에 주제 등이 흥미로워 보인다고 했는데 저는 연구를 업으로 삼으려면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 것 같아여요. 연구활동에서 재미를 느끼는가.
2022.09.06
대댓글 1개
2022.09.06
2022.09.06
대댓글 5개
2022.09.06
2022.09.07
2022.09.07
2022.09.07
2022.09.07
2022.09.06
대댓글 2개
2022.09.06
2022.09.07
2022.09.07
2022.09.07
대댓글 7개
2022.09.07
2022.09.07
2022.09.07
2022.09.07
2022.09.07
2022.09.07
2022.09.07
2022.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