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중경외시 학부생이며, 서울대/카이스트 AI대학원 질문드리려 합니다.
현재 서울대 AI대학원만 알아본 상태인데, 주변에 AI관련으로 대학원 진학하신 선배님들이나 주변분들이 서울대 AI대학원에 대해 조금 부정적인 반응(?) 이시더라고요. (물론 제가 아무리 노력해도 들어갈 수 없고, 굉장히 좋은 대학원인것은 너무 당연히 알고 있습니다! 분탕의 목적이 전혀 없습니다...) 단순히 협동과정이라는 이유 때문인가요? 협동과정은 여러 과 교수님들께서 참여하시는걸로 알고 있는데, 연구실 컨택만 잘 한다면 괜찮은 것 아닌가요?
추가로, 카이스트 AI 대학원은 협동과정이나 그런 것이 아닌, 일반 대학원인가요? 지금까지 알아본 바로는 그런 것 같은데, 놓치는 것이 있을까봐 여쭈어봅니다. 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무기력한 정약용*
2022.10.07
굳이 컴공전공으로 ai 연구실 들어갈수있으면 그냥 컴공으로 가는듯. 컴공전공 ai 연구실 >>> ai학과 .
카이스트도 분위기 동일.
대댓글 2개
2022.10.07
아하 감사합니다! 그래도 컴공전공이 더 인기가 있긴 한가보군요ㅎㅎ
2022.10.08
전산학부에서 AI전공하시던분들 많이 AI대학원으로 빠진거로 알고있음. 겸임도 없어서 무조건 AI로 들어가야함
2022.10.07
서울대에서 관련 공식 대학원 명칭은 데이터사이언스고, AI는 협동과정이 맞습니다. 다만 결국 대학원 생활은 교수랑 연구실…
대댓글 2개
2022.10.07
그러면, 카이스트도 서울대처럼 협동과정의 느낌인가요? 제가 알아본 바로는, 전임교수님들도 계시고 해서 독립적인 기관(?)의 느낌이더라고요!
2022.10.07
공식 인공지능 대학원은 협동과정 인공지능 전공 맞음 graduate school of ai라 뜨고 국가 지원금 나오고 그럴걸? 데사는 전문대학원인걸로 암
2022.10.08
카이는 잘하는 교수님들 다 AI대학원으로 분리해서 타과가면 AI하는 교수님이 적음
2022.10.08
서울대가 어떤식으로 운영되는지 모르겠지만.. 결국 어느학과로 졸업했는지보다 훨씬중요한게 어느랩 출신인지입니다.. 보통 협동과정학과보다 조교나 장학금제도 등을 고려할때 큰 학과(컴싸)로 진학하는게 메리트는 클수도있지만, ai는 정부과제 예산받고 만든것이라서 오히려 장학금제도가 더 잘돼있지않을까요.
가고싶은 연구실 알아보시고, 해당연구실이 ai로만 뽑는지, 컴싸로만뽑는지 등 알아보고 어디로 쓸지 결정해보세요. 다른학과지만, 교수가 TO찬 상태에서 특정 학생뽑고싶을때 특정 협동과정으로 지원하면 뽑아주겠다고해서 그 학과로 입학하는 자대생들도 꽤있습니다.
대댓글 1개
무기력한 정약용*
2022.10.08
이경우도 더 잘하는 학생을 근본전공 석사로, 상대적으로 못하는 학생들을 특정협동과정으로 지원하도록 하는 걸로 알고있음.
2022.10.07
대댓글 2개
2022.10.07
2022.10.08
2022.10.07
대댓글 2개
2022.10.07
2022.10.07
2022.10.08
2022.10.08
대댓글 1개
2022.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