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포연고 까지 빼야되면 사실상 대한민국 이공계 망했다 아님?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20 - 정말 너무하네요..
심지어 인턴까지 한 후에 저런식인거면 평소에 학생을 어떻게 생각하는건지
그런 연구실 안가게 된게 다행이라고 생각하시고 다른 연구실 얼른 컨택 하시는게 나을것같습니다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18 - 인문학 계열은 학문의 깊이가 다름..
나야 전공수업 몇 개 듣고 실험이나 좀 하면서 논문 쓰고 얼레벌레 졸업하기는 했지만
인문학이나 아니면 진짜 자연과학으로 박사하는 사람들은 진짜 리스펙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27 - 이건 뭔소리지..ㅋㅋ
학문적 난이도, 깊이, 공부량 모두 인문학은 이공계 상대도 안됨
공과>>자연>>>>>>>인문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31 - 지나친 겸손은 독이 됩니다
그만한 자격이 있기 때문에 수상한 겁니다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43 - 학부생이라고 하셨으니, 글쓴이보다 경험이 많은 입장에서 쓰겠습니다.
일단 알빠노입니다. 상을 잘못 준 거였으면 기관 잘못이고, 잘 준 거였으면 본인이 잘난겁니다.
하지만 상은 과거에 내가 잘 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지 앞으로 잘 할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일 본인이 상 받기에 부족한 실력이라 생각한다면 노력해서 그 정도 레벨로 스텝업 할 수 있게 하세요.
아직 자신이 많이 부족하다, 잘 모르는 것 같다고 얘기하는데 솔직히 현직 교수들도 그렇습니다.
상 받았으면 주변인들과 같이 즐기고, 맛있는 것 먹고 앞으로도 계속 노력하면 훌륭한 학자가 될 수 있을 거에요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51 - 그냥 자랑하는 것 같은데. 뭘원하는 건지. 구체적인 사항없이.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5 - 논문이야 정략적 평가로 수치화 되어 있어서 엄청 큰 이견이 없는듯
타분야 저널 수준을 잘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나?
근데 진짜 문제는 프레시 박사에게 경력점수를 만점줬다는것. 프박에게 과연 경력이라고 말할만한게 있을까??
경력점수가 의미하는게, 경력이 아예 없는 순진한 초짜가 마음에 들어서 만점을 주고 경력있는 (대가리 큰) 사람은 불편하니 감점을 주는건가?
개인적으로는 정말 압도적인 실적과 평판이 있지않는한 박사학위 취득 1년 미만 프박이 교수로 임용되는건 좀 아니라고 생각함.
대다수가 지도교수의 그늘에서 이룬 결과이기에 순수한 본인 역량으로 보기 힘든게 있음.
한국이 기형적으로 정량적 평가가 쉬운 논문만을 결정적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임.
조교수 포지션이 자유롭게 만들어지고 테뉴어를 쉽게 보장하지 않는 경우에는 크게 문제 삼지 않겠지만 뻘짓만 안하면 다 테뉴어 주는 한국에선 문제다
현재 하브에서 불타고 잇는 주제 관해서
10 - 뭔소리야 내용 다 자기주관적인 글들만 읊어놓고
딱그건데
아 로또당첨됐는데 전 아직 너무 거지인거같애요
약간 이런뉘앙스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1 - 직역) 나 학부생인데 상받았다ㅋㅋㅋ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2 - 방송나와서 국민들에게 관심을 받게끔 하는 사람도 필요로 하죠. 그래야 여론이 받쳐주고 그분야 연구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죠.
그런데 박사학위 받고 3개월도 안되서 논문 피인용수1개 밖에 없는 사람이 교수되는건 말이 안되죠. 비교할껄 비교하세요
인천대 신임교수보다
30 - 우리는 이것을 '본질 흐리기'라고 불러요
인천대 신임교수보다
18 - 다들 실상을 모르는제 학교나 학과에서 실적으로 줄 세우는 줄 아니시나요...?
학과에 도움 될 것 같은 사람을 뽑습니다.
내가 저짝은 잘 몰라도 어중이떠중이보다 100배 나아보이는데요?
인천대 신임교수보다
12
Qs 및 the times 랭킹 평가항목
2022.10.15

정작 평가항목을 자세히보고 말씀하시는 분이 적은것 같아서 올립니다...
QS기준 상위4개학교 점수표입니다.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ies/seoul-national-university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ies/kaist-korea-advanced-institute-science-technology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ies/pohang-university-science-technology-postech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ies/yonsei-university
김박사넷에서 결국 가장중요시할 research citation은
P가 1위
K가 2위,
S는 약30점 차이로3위.,
더쇼킹한것은 p와 종합순위차이가 거의없는 y는 70점 이상의차이로 4위
학생대교수비율도 마찬가지경향...
그럼 어디서 순위가 뒤집히느냐? 결국 인지도나 외국인학생비율, 국제공동연구양
결국 학교크기가 영향미치는곳에서 큰차이가 나네요. 학교크기에서 왠만한 고등학교 보다 숫자가 작은 P는 인지도 등에서 이길수가 없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citation은 1위...
The times는 어떻느냐?비슷합니다.
Reseaech 역량이 100점중 30점이 들어가는데 그중60%가 인지도설문조사입니다.
Teaching도 총30점중에 50%가 설문조사... 1인당 교원비율등은 매우 미세한 영향력... 1인당 장학금 등은 들어가지도 않죠.
반면, Research 영향도는 유일하게 citation만을 반영하는데 이부분에서 p는 여전히 극강.
중앙일보조사에서 P가 여전히 강세인이유는 인지도 설문조사등보다는 연구지표로 나오기 때문으로 보여지네요.
P출신으로써 요즘 저 설문조사 참여하라고 독려하는 메일이 자주옵니다.
미리미리 저런것에 발빠르게 대처안한 대외홍보팀이 답답해서 써봅니다.. ㅎ
사실 p에있는 분들은 대학원 정보얻으려 이곳에 많이 안오겠지만
정작 타대분들이 지방이슈로 좋은인재가 안가는게 원인이라고 하시는게 p에있는 분들을 까내리는것같아서 적어봤어요..,.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117 19 64232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84 43 48163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명예의전당 290 12 6066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박사하며 느낀 한국 학계의 가장 큰 암덩어리
149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353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79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44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48 - 지스트/유니스트 인기랩실 vs 포항공대 비인기 랩실
7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64 -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46 - 철학자 α노의 절대 반박 가능한 논리
31 -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25 - 논문을 한국에 우선적으로 발표하고 싶은데...
14 - 현재 하브에서 불타고 잇는 주제 관해서
11 - 디펜스 할 때 복장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35 - 지거국 , ust 중 진학고민이라면 여러분들은 어딜 가실 것 같으세요(생명)
15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28 - 영어 논문 작성법(AI활용?)
9 - 수준 떨어지면 읽지마라.
62 - 우리 교수님은 연구실보다 유투브에서 더 많이 봄
9 - Ai 석사가 1저자로 탑컨퍼 쓰면
13 - 요즘 뉴스에 나오는 인천대 무역학과 교수 특혜 임용
9 - 인천대 신임교수보다
11 - 연구실 사람들과 교수님께 쌓인 한 어떻게 하시나요
9 - 실적 없어도 일찍 졸업시켜주는 연구실 좋은 곳인가요?
7 - 김박사넷 수준
8 - 2026년 QS 대학 랭킹 발표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20 - 박사하며 느낀 한국 학계의 가장 큰 암덩어리
149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353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79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44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48 - 지스트/유니스트 인기랩실 vs 포항공대 비인기 랩실
7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64 -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46 - 철학자 α노의 절대 반박 가능한 논리
31 -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25 - 논문을 한국에 우선적으로 발표하고 싶은데...
14 - 현재 하브에서 불타고 잇는 주제 관해서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
30 - 컨텍 메일 답변이 어느정도 긍정적인건가요?
11 - 한양대 학부 정도면 미국 top 10 석사 가능할까요?
11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35 - 지거국 , ust 중 진학고민이라면 여러분들은 어딜 가실 것 같으세요(생명)
15 - 영어 논문 작성법(AI활용?)
9 - 수준 떨어지면 읽지마라.
62 - 우리 교수님은 연구실보다 유투브에서 더 많이 봄
9 - Ai 석사가 1저자로 탑컨퍼 쓰면
13 - 요즘 뉴스에 나오는 인천대 무역학과 교수 특혜 임용
9 - 인천대 신임교수보다
11 - 연구실 사람들과 교수님께 쌓인 한 어떻게 하시나요
9 - 김박사넷 수준
8

2022.10.15
대댓글 2개
2022.10.15
2022.10.15
2022.10.15
2022.10.16
2022.10.16
2022.10.16
2022.10.16
2022.10.18
대댓글 1개
2022.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