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름아니라, 연구비 카드를 받아서 무언가를 사려고할때 다른 연구실은 어떤 방식으로 구매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원래는 구매 담당을 한명 둬서 하자! 이거였는데, 교수님께서 너무 한명에게 잡무를 넘기지 말자고 하셔서 무산됐거든요.
그렇다고 모두에게 카드를 자유롭게 쓰라 하기엔 보안도 문제지만 ARS나 문자 인증같은 불편한게 너무 많아서요.
보통 다른 연구실에서는 물품구매할때 어떤 방식으로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2.11.16
보통 ISP같은것으로 처리하고, 특정금액이상으로 ARS필요하면 교수님께 문의하거나 아니면 교수님 공동인증서 같은것 만들어서 처리하는것같네요. 가장쉬운게 현장결제나 세금계산서로 계산하는거기도하고요.
저도 신생랩에서 시작했지만, 한명이 구매 맡아서 하는건 본적없습니다. 보통 연구실 소모품같은건 담당자 정해서 일년정도 후배들이 맡아서하기는하지만, 대체로 본인이 필요한건 본인이 구매하고 처리합니다.
대댓글 1개
귀여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작성자*
2022.11.16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하나은행은 이상하게 ARS/문자 인증이 필수인것같던데..
2022.11.16
옆 연구실 친한 사람한테 슬쩍 물어보시죠. 보통 한 방에 대량으로 삽니다.
대댓글 1개
귀여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작성자*
2022.11.16
옆 연구실이 한명이 몰아서 구매하는거였거든요
IF : 1
2022.11.16
왜 한명에게 몰아야하냐면,
랩에 인원이 좀 많아지면, 구매물품이 중복될수도 있습니다.
또한 구매물품 리스트를 정리해야하는데, 정리또한 한번 흩어지면 다시모으는데 골치아프죠.
일년에 한번이나 학기마다 한번씩 돌아가면서 했던 기억이있습니다.
참고로 저희랩은 20명 가까히 되었습니다.
결제는 세금계산서로 했구요, 카드결제는 너무 번거로워서 안했습니다.
정말 소량이나, 작은 회사들로부터 일회성 구매는 카드결제 가끔 했습니다.
무기력한 로버트 후크*
2022.11.17
외상이요
2022.11.17
연구과제카드로 살땐 귀찮아도 교수님 방 들락날락하면서 필요한 정보 받고
물, 음료수, 과자 등등 살때는 이런식으로 사기엔 너무 비효율이라 공동관리가 필요악이죠 그냥 피시충들한테 가스라이팅 당한 분들이 그거 불법이니깐 절대하지말고 신고해서 연구실 터트리라고 하는데 무단횡단 절대 안하고 쓰레기도 땅바닥에 한번도 버린적 없는 분들일거라 믿음
대댓글 1개
귀여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작성자*
2022.11.19
죄송합니다. 무슨말씀인지 잘 이해를 못했어요.
귀찮아도 필요한 정보받기위해 움직이는건 이해했습니다.
물 음료수 과자 이런건 연구 과제카드로 못사나보군요!
피시충들은 무엇을 뜻하는지 잘모르겠습니다.
뻔뻔한 임마누엘 칸트*
2022.11.17
ARS나 문자인증 요구한 적 없는데.. 재료비만 결제해서 그런가..
대댓글 2개
2022.11.17
재료비든 장비비든 구분보다는 법인카드계산할때 특정금액 이상은 ars등으로 추가처리하게 됐습니다. 그런게없으면 연구실에서는 공동인증서 등으로 처리하실수도있겠네요. 세금계산서는 그런과정 필요없습니다.
귀여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작성자*
2022.11.19
카드자체에 있더라구요
30만원인가?
얼마이상이면 인증이 필수였습니다.
또한 특정 사이트같은경우는 인증을 요구하는 특별한 방법이더라구요.
직설적인 공자
IF : 1
2022.11.17
참여연구원으로 들어가 있으면 개인 과제카드 발급가능합니다.
각자 카드 발급받고 각자 구매 후 정산했습니다.
대댓글 1개
귀여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작성자*
2022.11.19
교수님께서는 아직 저희를 완전히 신뢰하지 못해서 교수님이 카드 한개로 컨트롤하고싶어하십니다.. ㅠ
2022.11.16
대댓글 1개
2022.11.16
2022.11.16
대댓글 1개
2022.11.16
2022.11.16
2022.11.17
2022.11.17
대댓글 1개
2022.11.19
2022.11.17
대댓글 2개
2022.11.17
2022.11.19
2022.11.17
대댓글 1개
2022.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