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던 랭킹 기준으로 "얼마나 '좋은' 논문을 많이 발표하는가" 를 따지면 서울대 - 연세대 - 카이스트 순으로 나오구요
반면 "발표한 논문 중 '좋은' 논문의 비율이 얼마인가"를 따지면 포스텍과 카이스트가 서울대, 연세대 등을 앞섭니다
결국 관점의 차이일 뿐이니 뭐..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2.11.17
양으로 따지면 의대 있는 학교가 유리하죠
2022.11.17
종합대를 양으로 카이스트 포공이 이길순없죠..
대댓글 2개
2022.11.17
특히 저는 대전공대에서 학위를 쭉받앗지만 포공은 소수정예다보니 여기만봐도 다른사람들이 무시많이하는게 좀 웃기긴해요.
명석한 막스 베버*
2022.11.17
반대로 과기특성화를 비율로 종합대가 이길순없죠 종합대도 선택과 집중 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실적 뽑을듯
행복한 정약용*
2022.11.17
근데 국내 학교들 끼리의 순위보다 국내 학교들의 국제적 순위가 더 큰 문제가 아닌가 싶음.
솔직히 공부량이나 사교육비를 보면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일텐데 세계 50위 안에 안정적으로 드는 국내 학교가 하나도 없다는 거는 분명히 문제
대댓글 5개
2022.11.17
공부량과 사교육비가 세계 최고는 아닙니다. 우리가 상위권 이긴 하지만... 우리의 최상위권이 중국, 인도 등의 최상위권 수준을 따라기지는 못 합니다. 어쩌면 우리 대학 순위는 우리 수준에 딱 맞는 수준입니다.
2022.11.17
대학 입학후 공부량은 세계 t50급 이내 대학 공부량 보다 작은건 확실해보이네요 미국 주립대보다 공부량이 적은것도 맞고 nus에 간 서울대학생이 공부량 속도가 서울대보다 2배 이상 빠르다고 합니다
2022.11.17
미국과 비교하면.. 고등학교때 AP 과목을 이미 듣고와서.. 대학교 4학년되면 인턴도 많이 하고.. 우리 대학체계와 다르죠. 우리 대학교가 학생들 공부 시키고 하는게 좀 느린편이기도 하고.. 공부량도 적죠.
2022.11.17
님도 탑스쿨 유학/포닥 보내주면/기회있었으면 갔을거잖아요. 님조차 하지않는 행위를 왜 지적하시는지
2025.06.19
가우스 말이 맞음 인도공대 iit 가 서울대 보다 인적자원이 좋음 다 이게 이해찬 세대부터 시작된 민주당의 우민화 교육의 결과
2022.11.17
대학랭킹의 정확도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지만 체겨적인 대학랭킹 조사는 각 대학들을 경쟁시키고 분발하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라고 봅니다.
쩨쩨한 마키아벨리*
2022.11.17
분야별로 봐야 의대 있는 학교와 없는 학교를 비교하기가 좀 그렇죠.
2022.11.1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의대 제외하고 공대(자연대)만 경쟁하면 정확하게 보이지
2024.04.09
QS, THE 등 랭킹은 그냥 참고만 하면 됨. 저게 무조건적으로 모든걸 반영하진 않음. 대부분이 영미권 혹은 그 영향을 맞이 받은 국가의 대학들임. 그들에게 적합한 평가체계임. 그리고 여기 김학사넷에서 QS 랭킹은 흥미로운 주제겠지만(그들은 랭킹(계급)을 좋아하므로), 수능 입결이 제일 중요함.
2022.11.17
2022.11.17
대댓글 2개
2022.11.17
2022.11.17
2022.11.17
대댓글 5개
2022.11.17
2022.11.17
2022.11.17
2022.11.17
2025.06.19
2022.11.17
2022.11.17
2022.11.18
202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