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절대 비추천. 심지어 같은 학교 같은 학과면... 본인 스스로 무덤 파지 마세요. 물론 교수님에 따라 쿨하게 보내주는 경우도 있을 수 있겠지만 매우 드물어요
2. 딴 건 모르겠고 졸업 안시켜준다? 미국 탑10 정도면 고민할듯. 거긴 얼씬도 하지 마세요.
3. 편입이 영향이 있는지는 교수에 따라 다름. 근데 분야가 일반 전화기 쪽은 아니신 것 같은데 필드에 따라 좀 다를 수 있고 그 연구실이 인기랩이거나 사람이 별로 필요하지 않다면 읽씹함.
1번 질문으로 가자면, B연구실에 컨택해서 일단 부딪혀보시고 안되면 자대에서 연구경험 쌓으셔도 좋을 것 같네요.
대댓글 3개
2022.11.22
맞아요. 일반 전화기 쪽은 아니에요! 어떻게 아셨는지 모르겠지만 신기하네요.. ㅎㅎㅎ 글에서 티가 나나봐요.
그리고 아직 학부생이라 1번이 안된다는 걸 몰랐는데, 알려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해요. 개인적으로 자대에서 랩인턴 하는 걸 꺼린 이유는, 자대 대학원은 정말 최후의 보루(?) 느낌으로 남겨둔 상황이라 랩 인턴 하고 다른 타대 진학할 때 어려움이 생길까봐였어요.
어제 밤에 이 댓글을 읽고 궁금했던 게 풀리는 기분이 들었어요.
바쁘신 데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해요.
능글맞은 블레즈 파스칼*
2022.11.22
진학할 랩에서 인턴을 하는게 베스트지, 대다수 타대생은 그렇게 안하거나 못해요. 대부분 자대에서 학부연구생을 하든 졸논 준비하면서 연구경험 쌓든 하고 옵니다. 인턴은 학벌이 아닌 경험입니다.
그리고 아래댓글 보니 2번 고민하신다고 하는데... 전 오히려 1번보다 2번을 더 말리고 싶네요. 1번은 자기 무덤을 파는거라면 2번은 이미 제 발로 관짝덮고 들어간 상태입니다.
2022.11.22
알림이 안 울려서 너무 답글을 늦게 달았네요 죄송합니다.
무덤이랑 관짝 예시 들어주신 것 보고 슬프면서 웃겼습니다ㅠㅠ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
말씀해주신대로, 일단 SKY 교수님께는 지원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학부생 인턴의 경우 방향을 바꿔서 A, B 교수님이 계신 대학말고 아예 제3의 대학에서 해볼까...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이렇게 되면 (학부/학부생 연구원/석사) 학교가 다 달라서 좀 이상해질 것 같지만, 학부생 인턴은 학벌이 아니라 경험이라는 말씀이 마음에 와닿아서 우선 해보는 것을 목표로 하려고 합니다.
바쁘신데도 답장 달아주셔서 여러모로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2022.11.22
1~2번 진심 절대 비추입니다.
대댓글 1개
2022.11.22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해요.
아직 미숙해서 1번이 안된다는 건 몰랐는데, 댓글 달아주신 두 분 덕에 그런 행동은 하지 않았어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2번은 사실 아직도 많이 고민이 되어요. 제가 학부생이라 아직 뭘 모르는 것 같기는 한데, 조금만 버텨서 sky 대학원 따면 괜찮을까 라는 미련이 드네요. (물론 안 받아줄 수도 있어 김치국이지만...)
혹시 2번을 비추하는 이유를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2022.11.22
대댓글 3개
2022.11.22
2022.11.22
2022.11.22
2022.11.22
대댓글 1개
2022.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