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Nat. Commun. 게재 경험 있으신 분 계신가요

슬기로운 레프 톨스토이*

2022.12.24

14

4653

에너지 소재 관련 전공입니다.

이 저널에 투고하려고 계획 중인 데이터가 있어서

저널 성격 좀 미리 파악하고 논문을 작성할까 싶어서
미리 관련 분야 최근 논문 50 편 정도를 읽고 분석해봤는데

제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뭔가 쓸데없이 피겨 테이블이 많은 것 같네요.

피어 리뷰 프로세스에서 리뷰어들이 추가적으로 요구를 하는게 많아서 그런 것 같은데 실제 경험하신 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저는 웬만하면 페이퍼에 모든 데이터를 싣고 supplementary를 가능하면 안 만드는 식으로 작성하는데 여기 논문들은 supplementary에만 피겨 테이블이 10-20개는 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튼튼한 알베르 카뮈*

2022.12.24

넷컴 말고 다른 자매지에 1저자 있고, 넷컴 공저자로만 있는데 우선 리뷰 프로세스가 길고 많습니다. 6개월이면 엄청 빨리 억셉되는거고 1년 혹은 2년가까이 리비전 (3차까지 가는거 본 적 있습니다.)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늘어나더라고요. 갠적으로 저는 Nat Comm 낼바에는 JACS / AM / PRL 같은 분야 탑 저널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대댓글 9개

튼튼한 알베르 카뮈*

2022.12.24

제가 알기로 넷컴이 현재 전체 서미션 대비 억셉률이 8~10%정도 될거에요. 다른 자매지는 3~5%정도니 그 정도는 아니지만 많이 낮습니다. 그래서 처음 낼때부터 데이터를 최대한 많이 준비해서 내더라고요.
튼튼한 알베르 카뮈*

2022.12.24

에너지소재면 적어도 EES / AM에 준하게 준비해서 내셔야 가능성 있습니다.
슬기로운 레프 톨스토이작성자*

2022.12.24

감사합니다. 1년도 긴 편인데 2년이라니 너무 기네요.. 결국 리비전 거치다 보면 추가 데이터가 많이 생기는 구조군요.. NCS 자매지 하나 정돈 갖고 있는게 좋을 것 같아 투고해보려고 했는데 JACS 쪽으로 눈을 돌려봐야겠습니다.
튼튼한 알베르 카뮈*

2022.12.24

우선 2년까지 가는경우는 거의 없긴합니다.
그리고 넷컴은 자매지로 잘 안쳐주니, 저는 개인적으로 JACS를 훨씬 선호합니다. 화학/화공쪽 교수님들은 대부분 JACS를 훨씬 높게 치고요, 신소재쪽 교수님들은 Nat Comm을 더 쳐주시는 분들도 있긴합니다.
슬기로운 레프 톨스토이작성자*

2022.12.24

제 분야에서는 AM, JACS보다 Natcomm을 1티어 정도 더 높게 평가하는데 자매지로도 안치는 분야도 있군요.. 세 저널의 수준이나 평판 차이는 거의 없다고 생각하는데 의외네요.
튼튼한 알베르 카뮈*

2022.12.24

Nat Comm /AM / JACS 수준은 비슷하다는 것은 저도 동의합니다. 자매지로 잘 안친다는건 Nat Mater / Nat Nano / Nat Energy / Nat Catal 등의 월간지하고 비교하긴 어렵다는 말씀입니다. 일단 후자의 '월간' 자매지는 1년에 200편 내외만 나오는데 Nat Comm은 일년에 5천편 정도 나오니 난이도 자체가 다르죠.

IF : 1

2022.12.27

나중에 실제로 교직 구하실때 EES나 AM, JACS 보다 NC가 훨씬 도움이 많이 되실겁니다.
교수들은 NC부터는 어쨋든 네이쳐자매지급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튼튼한 알베르 카뮈*

2022.12.27

저도 미포닥 하고 교직구하는 중이지만 분야바이분야 로 봅니다 저는. 박사 포닥 지도교수 전부 대가신데 JACS보다 NC를 높게 치시는 분 없었습니다 저는 화공과구요.
튼튼한 알베르 카뮈*

2022.12.27

일례로 물리과는 PRL > Science로 보시는분들도 많죠. 중력파 논문도 그래서 PRL 나왔구요.

2022.12.24

네처컴 안에도 분야가 다양해서 뭐라고 말할순없지만, 보통 리뷰 프로세스 할때 많은것들이 서플맨터리로 들어갑니다. 그뿐 아니라, 원래부터 네이처 사이언스 계열들은 본문은 컴팩트하게 쓰고, 자세한 내용들은 서플맨터리에 풍부하게 담는걸 선호하는듯합니다. 네처컴이라면 Methods에, 사이언스계열이면 Materials and Methods 섹션에 넣을수있지만, 그림을 넣는게 한계가있어서, 스크립트 볼때 꼭 필요한내용들은 Methods에, 아닌것들은 서플맨터리에 많이 넣습니다. 우선 서플맨터리도 풍부해야지 리뷰어들도 열심히했다고 생각하는경향도있기도하죠..
분야에 따라서 서플맨터리 거의없이 내는경우도 있더라고요.. 영상도 1-2개만업로드하고요.
선량한 버지니아 울프*

2022.12.25

네컴은 약과죠. 네이처나 사이언스의 본문은 훨씬 짧고 나머지 내용들 전부 supplementary로 갑니다. 네이처, 사이언스, 네컴같은 Interdisciplinary 저널들은 넓은 분야의 독자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본문은 최소한의 정보만 싣게하고 해당내용에 관심있는 사람들만 method나 supplementary를 참조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문에 디테일한 내용을 모두 구겨집어 넣는것보다 훨씬 합리적인 방식이에요.

2022.12.25

넷컴은 if대비 리비전 프로세스가 자매지에 준하죠.
실제 자매지이상은 글자 수나 페이지 제약으로 인해 esi 데이터가 엄청 늘어납니다.

IF : 1

2022.12.27

실제 교직이나 연구소 job, 미국포닥 구하실때는 NC가 EES나 AM jacs보다 훨씬 도움이 되실거에요.
미국에서는 네이쳐 사이언스 셀 플래그쉽이 거의 절대적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