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대학원 신입생 경제적문제

2023.01.31

12

3538

서울의 사립대 (자대X) 로 이번에 진학하게 된 학생입니다.

어찌저찌 천만원정도 모은돈으로 첫학기 등록금+입학금 납부하고 300만원 정도 남았습니다.

부모님께 생활비지원은 따로 받기 힘들고, 자취방 월세비용정도만 지원받고 있습니다.

2월 중순경부터 연구실로 나가게 되는데 벌써부터 경제적인 고민이 많습니다.

한학기 등록금이 약 600만원 정도이고 , 제가 진학하는 랩 인건비가 달에 100만원 정도라고 랩선배에게 들은 바, 단순계산을 해봐도 남는 돈이 ...

타대생이라 해당 연구실 생리를 잘 모르고, 랩바랩인것을 잘 알고 있지만 보통 많은 원생분들이 이런 상황을 겪으시나요?

조교등을 통해 등록금 감면을 받는다고 해도, 첫학기 다니는 타대학생을 저같아도 쓰기 꺼려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담이 길었는데, 보통의 대학원생 분들도 저처럼 경제적인 고민이 많으신지 또, 어떤식으로 학비나 생활비등을 충당하시는지 여쭤보고싶습니다.

또한, 인건비가 100만원 선이면 (이공계) 다른 랩과 비교했을때 어느정도 수준인지 여쭤보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01.31

아니, 서울권 사립대 가신 건 그 정도 각오하고 가신 것 아닌가요?

경제적 형편이 중요하시면 사립대 대학원은 가지 마셨어야죠

2023.01.31

글에서 뭔가 실수라도 했나, 하고 두번정도 읽어봤는데 잘 모르겠어서 댓글답니다!

그렇게 다소 공격적으로 말씀하시게끔 제가 뭔가 심기라도 건드렸나요..?

대학원생이 많이 이용하는 커뮤니티고, 연구하고자 하는 분야와 핏이맞는 연구실찾아 진학하였고.. 금전적인 문제는 그 이후 고려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했었습니다.

돈없어서 못하겠다 쓴글도 아니고.. 이런고민을 많이들 하는지, 고민을 한다면 부족한 생활비등은 어떻게 해결했었는지 그리고 인건비수준이 다른랩들도 이정도인지 물어봤을 뿐인데.. 혹시 뭔가 기분이 나쁘셨나요?

대댓글 2개

2023.01.31

아, 말투가 좀 그랬다면 죄송합니다.
저도 옛날에 비슷한 상황에서 경제적 형편 땜에 힘들었던 거 생각나서 자조적으로 답답해서 그랬어요.

인건비 수준은 일반적인 상황이시고, 부족한 생활비는... 집에 손 벌리시거나 버텨야죠.
투잡은 왠만하면 뛰지마세요... 대학원생활 병행하면서 할말한 게 아닙니다

2023.01.31

그렇게 말씀해 주시니, 제가 괜히 고깝게 들은것은 아닌가 싶네요..

등록금 지원없이, 인건비가 달에 100만원 수준이 일반적인 상황이었군요..!

짧게 이야기 나눈 랩인원이 제가 가게될 랩은 인건비가 많은편이라길래 등록금을 일부라도 지원해주나 기대했었는데, 마음 편히 있어야겠네요!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IF : 2

2023.01.31

랩바랩이지만 그 정도가 서울 사립대 대학원의 평균치임

사립대가 대학 이윤을 더 추구하지, 학생들 주머니 사정 신경쓰겠냐요

2023.01.31

세번째 문단
생각했었습니다 -> 생각했고, 슬슬 입학시기가 다가와 이런저런 생각에 글 올렸습니다.

2023.01.31

100만원이 보통이라니.. 분야별 학교별로 편차가 크긴 한가봅니다.
제가 경험한 바로는 거의 최저 수준입니다.
춤추는 버트런드 러셀*

2023.01.31

첫댓이 공격적이라고 보면 공격적이겠지만, 이해가 가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동일하네요

사립대 및 인건비에 대한 얘기는 요즘 워낙 많이 풀려서, 조금만 찾아보셨어도 아실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사립대는 케바케다" "인건비로 등록금 충당이 되지 않는경우가 있으니, 컨택시 꼭 물어봐라"
김박사넷에서만 찾아도 많이 나오네요.

각오하셨어야 하는 부분이고, 모르셨다면 큰 생각은 없으나 긍정적으로 보이진 않을 것 같네요. 인생의 중요한 선택이니까요.

서울대 및 IST, 지거국, 국립대 등 선택지가 많고 사립대에서도 인건비 풀로 주는 연구실도 많이 있습니다 찾아본다면요

또한 인건비도 100이 일반적인지보단, 등록금을 제한월급으로 계산합니다.
월 100을 받아도 한학기 240인 국립과 600인 사림은 수령액이 360 vs 0만으로 다르겠죠?
국공립, IST 등의 일반적인 석사는 보통 60~80이 일반적입니다. (즉 실 100~120만)

박사는 케바케구요나, 교내는 140(실수령 100) 받다 개인과제 따라서 250~440까지도 봤습니다.

아직 입학 안하셨으면 판단 잘 하세요. 등록금 환불하고 한학기 인턴으로 다시 찾으시던지, 감당하시던지 하는 방법밖엔 없습니다

2023.02.01

석사와 박사가 인건비가 다르고요, 아무래도 100 만원 정도면 석사 기준에선 약간 적은감도 있지만 그래도 보통 수준인거 같고 박사 혹은 통합 기준이라면 좀 많이 적은거 같네요. (이공계 기준)

박사과정의 경우 초반에 등록금을 풀로 다 낼때는 원래 어렵게 생활하고요, 교수님과 상의해 조교자리나 외부 장학금을 알아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투잡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뭐 과외 같은건 본인이 시간관리 잘한다는 가정 하엔 나쁘지 않을수도 있겠습니다.) 다만, 아마 일단 수료하면, 등록금을 안내고 뭐 연구생 등록?? 이런걸로 조금만 내게 되는데 그러면 좀 나아질 겁니다. 그러니 조교 등으로 버티며 최대한 빠르게 수료요건을 맞추는걸 추천합니다. (다만, 월 100이면, 그것만으로 생활하기는 어렵겠네요).

석사라면 뭐 2년이니, 그냥 투자한다 생각하면 좋을거 같습니다.

2023.02.0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석사진학 하지마세요
지금 보니까 돈문제때문에 상당히 날카로운 상태이신거 같은데 지금 그런 마인드로 랩실 생활하다 돈문제 해결안되면 진짜 지옥이 펼쳐집니다
금전적인 문제는 사람을 좀먹습니다
안타깝지만 돈문제는 본인이 감당가능 할 수준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아니면 적극적으로 대출상품 알아보세요

2023.02.03

학자금대출 1.7 입니다 대출을 받는데 돈이 벌리는 수준임
취업후상환 알아보세요

2023.02.03

저는 랩인건비라는 개념도 모르고 들어갔어요. 나중에 보니 석사들을 과제에 포함시키지 않는 분위기였습니다. 2학년때 다른 랩의 친구들이 과제에 포함되는대로 월급이 나오는 것에 충격받고, 스스로 과제제안서 잘 쓰는 데 노력을 좀 했어요. 교수님이 싫어하실리는 없었으나, 집이 좀 잘 살아서 과제없이 빨리 졸업하고 싶은 선후배/동료들은 싫어하더군요.
박사진학전 인건비 규정까지 풀로 당겼고, 진학 후에는 인건비 규정없는 회사과제 따는데 목숨걸고 월 1100 까지 만들었어요. 잠못자고 살았지만, 졸업 후 삼성에 들어가서 보너스 개념도 모르던 상태서 월급통장에 찍힌 4xx 를 보고 입시학원등으로 튀어야하나 많이 고민했다는...
결론. 초기 정착과정의 괴로움은 누가 어떻게 해줄 수 있는게 아닙니다만, 과제를 잘 따는 능력을 기르면 갑자기 갑이 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