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어차피 석사만 할거면 자대가는게 낫나요?

2023.01.31

8

5257

서울 중상위권 대학입니다 (공대)
이공계는 spk 와 ist가 넘사라는 말을 듣고, 타대 진학을 목표로 했는데
2년동안 적응만 하다 끝날 것 같아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3.01.31

학부 때 교수님 눈도장도 찍고 과제도 참가했으면 실적은 좀 더 빨리 나오겠죠.

2023.01.31

석사만 할거면 오히려 대학원 이름빨 있는 곳이 좋을 수 있다는 게 정설입니다.

석사 2년동안 논문실적 못 나오는 사람이 부지기수라, 그 사람들에 묻어갈 수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설사 그 연구실이 별로더라도 2년이면 비교적 짧은 시간안에 run할 수 있으며, 보다 상위권 대학원에 진출했기이 다른 상위권 대학원으로 박사 가는 것도 더 쉬워집니다.

대댓글 1개

2023.01.31

요지를 빼먹었네요.
논문 실적 나오면 제일 best겠지만,

2년 동안 논문 실적 안 나오는 경우가 부지기수니
이 경우 보다 연구중심대학에서 대학원했다는 경력이라도 남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3.01.31

어차피 석사하고 산업계로 취업할거면 연구 실적보다 학교 이름이 더 영향이 큽니다.
연구소나 아카데미로 갈 때나 연구 실적이 의미 있는데 보통 석사는 인더스트리로 가니까요.
낙천적인 미셸 푸코 *

2023.02.01

반대죠. 석사만 할거면 무조건 상위권으로 가야죠. 석사는 어차피 논문 실적이 거의 없기 때문에 간판으로 승부봐야 합니다

2023.02.03

석사후 무슨 진로를 선택할 것이냐가 중요할 것 같은데 특히 단순 취업이 목표이면 간판이 무조건 맞습니다.

박사 졸업을 해도 회사가서 하는 일들이 학교에서 하는것과 완전히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회사에서는 간판을 보려고 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압니다.

유학의 경우에는 제가 아예 모르기 때문에 말을 아끼겠습니다.

2023.02.04

서울 중상위권 대학이라하면 어느 정도를 말하는 건가요? 중경외시?

2023.02.06

현실적인 부분들은 다른 분들이 말씀해주신 것 같고, 다른 면에 대해서도 얘기해볼게요. 보다 명성이나 입지가 높은 대학의 해당 학과 홈페이지를 가셔서, 교수진들을 확인해보고, 그 분들의 대학원 강의 목록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평균적으로 더 이름값이 나아 보이는 대학에, 세부전공을 딤당하시는 교수님의 머릿수가 더 많을거고, 학기마다 열리는 강의 종류와 갯수가 더 많을거고, 뿐만 아니라 본인에게 도움되는 타단과 타학과 강의의 질도 높을 겁니다, 평균적으로. 박사과정은 석사과정 기간을 포함해 아주 짧으면 5년, 길면 7년 8년도 걸리며, 본인이 본인에게 필요한 공부를 스스로 해야 하지만, 석사는 상대적으로 기간이 짧고 학부생에서 대학원생으로의 뇌 구조 변경에만도 걸리는 시간이 포함되기 때문에, 스스로 필요한 어떤 지식과 정보를 찾아내서 공부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석사과정만으로 끝낼 생각이라면, 보다 다양하고 질 높은 대학원 전공수업과 타학과 수업을 수강함으로써 본인의 펀더먼털이 얕겠지만 보다 넓고 선명하게 구축하는 것이 질적으로 좋아보입니다.
석사과정을 통해서도 뭔가 더 많은 지식을 얻고 싶고, 그 얻었던 것을 바탕으로 미래에 더욱 학업적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면, 더 많고 나은 대학원 수업을 수강할 수 있는 기회를 쫓으시기 바랍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