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뛰어난 연구원과 아닌 사람의 차이점

깔끔한 제임스 와트*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02.01

6

16257

뭐 성실함, 지능 이런건 뻔한소리니 빼고 제가 봐온 바로는 논문과 이론 공부인 것 같아요. 사실 정말 예민한 실험 말고는 요새는 키트가 잘 나와있어 신이 내린 똥손들도 좀만 연습하면 결과 충분히 만들어 내거든요. 태크니션으로 대체도 가능하구요. 근데 결과를 해석하고 실험설계능력은 무조건 이론적 기반과 짬이 베이스가 되야하는 것 같아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IF : 1

2023.02.01

하수: 새로운 결과를 보면 실험이 잘못된줄 안다. (요인을 환경에서 찾는다)
중수: 새로운 결과를 보면 본인이 실수한줄 안다. (요인을 본인에게서 찾는다)
고수: 새로운 결과를 보면 분석하려고 시도한다. (요인을 샘플에게서 찾는다.)
천상계: 새로운 결과를 위해 실험을 설계한다. (이론과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요인을 만든다.)

여기서의 새로움은 단순히 성능 향상이나 실험군 몇개 바꿔서 시도하는게아니라, 이세상에 없던 새로운걸 의미함.
실수로든 사고로든 우연히 새로운 결과를 보게되었을때 상황극입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3.02.04

맞음, 끊임없는 논문과 이론공부 베이스가 있어야 어느 정도 보는 눈과 센스가 생기는거 같음...... 공부를하고 실험을 하면 할수록 철학이 중요한거 같음, 나타는 현상을 잘 이해하고 해석하려면, 추상적인 개념들을 생각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중요한거 같음...

2023.02.05

근래 나온 글 중 가장 공감이 가는 글임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