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놀랐는데, 인서울 중위권 랩에서 논문 실적 있는 애들보다 차라리 논문 실적 없어도 대학원 간판 괜찮은 곳 나온 애들이 더 취직 잘 하더라
대학원을 올려서 갔더라도 말이지
걍, 기업들이 ist 이상 나온 출신을 선호하는 것 같아. skp면 더할 나위 없고
김박사넷에서 학벌 논쟁 끊이지 않고, 사실 좀 민감한 이야기지만~
무엇이 자신의 커리어를 위한 길인지는... 현실적으로 본인이 각자 판단하는 게 좋을 듯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3.02.08
일반화는 어렵지만 평균적으로 그렇긴 하죠... 우리 나라가 학벌이 없는 나라도 아니고
프랑스도 대학을 강제로 평준화 시켰다가 다시 평준화 폐지한 걸 보면, 학벌 철폐는 구호로는 멋지지만 현실적이지 못한 듯 합니다.
2023.02.08
경험해본결과 어느정도 사실인것같음..
2023.02.08
1000퍼센트 공감
2023.02.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취업하는 석사한테 연구실적은 딱히 쓸모없음 논문 한 두 편 더 있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조직이랑 융합할 수 있는지, 회사에 얼마나 관심이 많은지 이런걸 더 보죠. 신입채용이잖아요
대댓글 1개
2023.02.08
석사취업에서 학벌보다 비중이 밀린다는 거지 쓸모없는 정도는 아님. 아무리 석사급도 연구직이라면 주저자 논문으로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완성해 본 경험을 쓸모없게 보지는 않음. 면접 등 여러 군데에서 티가 날 수 밖에 없음. 다만 원글처럼 석사 2년에 학벌 뒤집을 논문 실적이 나올 수가 없고 나와도 교수가 많이 해준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덜 본다는 이야기임. 원래 그래서 예전부터 석사 취업은 학교 이름 보고 가고 박사는 논문 보고 가라는 이야기가 많았음.
2023.02.13
경험상 대학원보다 학부학벌이 더 중요함
대댓글 1개
2023.02.14
그 말은 여기서는 좀 논점 외 인것 같네요. 대학원 한정해서 말하는거잖아요.
꼼꼼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3.02.15
석사 취업은 원래 연구능력을 보고 뽑는게 아니니까 그럼
2023.06.30
ist가 석사 취업에서 서성한보다는 나은가요? (이공계 기준) 그리고 이공계에서 skp 많이 말씀하시던데 연.고보다 kp가 대학원 이공계 학벌로는 기업에서 더 인정하는 추세인지도 궁금합니다.
2023.02.08
2023.02.08
2023.02.08
2023.02.08
대댓글 1개
2023.02.08
2023.02.13
대댓글 1개
2023.02.14
2023.02.15
2023.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