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주제 때문에 염두하고 있는 랩실이 이런 케이스인데요 보통 논문을 공저자로 여러명 두고 갯수로 승부보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좋은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두번째 선택지로
단독 혹은 공저자 1~2명으로 2~3개로 박사 졸업하는 랩실
있다면 후자가 나을까요? 경험있으신분들 조언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IF : 5
2023.04.25
전자는 1저자를 안내고 졸업해요????
대댓글 4개
2023.04.25
아 졸업생들 보니 1저자 한개씩은 내고 졸업합니다!
2023.04.26
그럼 그 졸업생들이 인정 받는 실적은 그 1저자 논문 딱 한 편 입니다. 저자 수가 아무리 작아도 공저자 100편 보다 내가 1저자로 쓴 논문 한 편이 더 인정받습니다.
1저자가 아니면 논문에 무슨 내용이 들어가는지도 모르는 현실 때문에 그렇습니다. 작년에 터진 CVPR 사건에서 불거진 것 처럼 공저자들 심지어 내용 확인도 안합니다 ㅋㅋ
IF : 5
2023.04.26
ㄴ내용 확인도 안하는게 비정상입니다. 보통 1저자 논문 수만 세지만 공저자 논문도 publication에 포함은 됩니다. 공저자가 아예 없어도 좀 이상해요. 아예 없을수도 없지만요
2023.04.27
ㄴ 공저자가 없다는 것이 이상하다는 말씀에 대해서 분야 by 분야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실험을 많이 해서 다같이 실험하는 분야면 공저자가 많겠죠 당연, 근데 반대로 이론분야나 시뮬레이션 분야의 경우 공저자가 많이 없는게 당연하긴 합니다. 시뮬레이션은 혼자 하잖아요
2023.04.25
정치를 정말 싫어합니다ㅠㅠ 1번 선택지는 피하는게 나을까요?
쇠약한 리처드 파인만*
2023.04.25
공동1저자말고 그냥 공저자는 들어가든 말든 상관없고 아무도 관심 없습니다
2023.04.25
저희분야는 애초에 저자가 4명 초과하는 경우를 본적이 없네요
2023.04.25
실제로 실험하는 곳들은 저자들이야 많이 들어갈수있죠. 협업 중시하는 곳이면, 각 기관마다 PI/학생(연구자) 해서 2-3명씩은 들어갈텐데 3기관 같이 공동연구하면 10명은 금방 넘어갑니다. 윗분 말대로, 어차피 공저자 실적은 잡 구할때는 크게 신경안씁니다. 거의 본인 인용수 올라가는 만족정도이며, 주저자/교신저자 실적위주로 봅니다. 공저자 품앗이를 저 또한 상당히 싫어하지만, 저자숫자가 많다고 꼭 품앗이라고 볼수는 없죠.. 여튼 전자든 후자든 주저자 많이 쓸수있는곳으로 가세요.
답답한 로버트 후크*
2023.04.25
글쓴이가 단어를 혼동하고있는게 아니라면(공동1저자와 공저자) 논문에 저자가 많이 들어가는건 아무런 의미가 없음.. 그 누구도 신경쓰지 않음
만약 논문에 공동1저자가 3~4명씩 많이나오면 이상하게 볼 수는 있어도 주저자는 1명이고 공저자가 많은건 아무런 상관이 없음... 글쓴이가 잘못 생각하고있는거임
대댓글 3개
답답한 로버트 후크*
2023.04.25
그리고 무슨 전개로 정치를 싫어한다는 얘기가 나왔는진 모르겠으나 보통 저자 교통정리는 교수가 해주는경우가 많고 정치와 공저자는 아무런 관계가 없움....
쇠약한 리처드 파인만*
2023.04.25
222 그냥 아무것도 모르는분인듯.. 뭐가 고민이라는건지, 정치를 싫어한다는 말은 왜 하는지 모르겠음
IF : 5
2023.04.26
개개인이 각자 저기 저자 올라가야된다고 맞서싸워 따내는 개념으로 생각한건 아닐지 근데 그런거 아님요...
2023.04.26
주저자 아닌이상에야 크게 카운트되지는 않아요, 있으면 + 정도
2023.04.26
공동1저자도 아니고 1저자 한두명에 공동저자4명이면 무난한데 논문사람수랑 정치랑은 뭔 상관임ㅋㅋㅋㅋ사회성 없으면 그냥 대학원을 오지마셈. 서로 피곤함
대댓글 1개
2023.04.26
이 말이 맞긴 함. 여기 아직 대학원 경험이 없는 애들이 많아서 이런 질문도 나오는거 같은데. "대학원생"은 1저자만 자기 논문이라고 생각하면 됨. 나머지 공저자는 교수가 관여할 문제임. 그걸 뭐 정치라고 하는데 그것조차 허용 못할거면 본인도 그만큼 엄격하게 할 생각 해야함.
2023.04.27
석사: 교수님이 시키는대로 실험하면서 데이터 쌓고 논문 1개 1저자 내고 졸업하면 됨 박사: 본인이 실험 구상하고 혼자 실험하되, 석사 한두명한테 실험 도와줄 의사 있는지 물어보고 같이 실험하되 공동 저자 또는 공동 1저자 넣어주고 본인은 1저자로 들어가서 논문내는게 깔끔함.
박사급이 시키는 일들이 많아 석사들이 잡일 + 본인 실험 때문에 업무과부하가 많이 걸리는데, 이건 본인이 직접 어필하거나 지도교수한테 교통정리좀 해달라고 말하는게 정신건강에 이로움.
대댓글 1개
2023.04.27
고로 1저자 2~3편 내는 랩실이 업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이로움.
2024.03.27
저희 연구실 딱 이런케이스인데요. 저는 진짜 후회합니다...울며겨자먹기로 다니지만 ㅜㅜ.. 만약에 그 랩실에 외국인 유학생이 많은 거라면 무조건 피하세요... 공저자고 나발이고 ... 뭐 말로는 개수로 승부본다(개소리) 하지만 ... * 실상은 한국인 1-2명이 논문 계속 뽑아내고, 언어안되는 외국인 (특히 중국인) 또는 나이 많은 파트타임 박사생 등등을 졸업시키거나 실적쌓아주려고 하는 경우네요... 뭐 서로 이름 넣어준다고?? 저희 교수는 이딴소리 하는데 ... 가나다라도 제대로 못하는 중국인들이 뭔 논문을 써서, 서로 이름을 넣어줘요..... 개네는 공저자여도 현지에서 인정받아서 상관없답니다....ㅜ
2023.04.25
대댓글 4개
2023.04.25
2023.04.26
2023.04.26
2023.04.27
2023.04.25
2023.04.25
2023.04.25
2023.04.25
2023.04.25
대댓글 3개
2023.04.25
2023.04.25
2023.04.26
2023.04.26
2023.04.26
대댓글 1개
2023.04.26
2023.04.27
대댓글 1개
2023.04.27
202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