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연구실 구성원들의 실력도 중요한가요?

2023.05.08

16

2780

AI (컴퓨터비전) 분야 대학원 입시를 바라보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A 연구실은 교수님은 별로지만 내부 인원들이 실적이 좋고 실력이 있는 편입니다.
B 연구실은 교수님이 좋고 지원도 많지만 내부 인원들의 실력이 부족하고 실적이 별로 없습니다. 신생랩이기도 합니다.
두 정보 모두 믿을만한 내부 정보원으로부터 얻은 정보입니다.

지금까지 학부 인턴을 해본 경험으로는 이쪽 분야는 상대적으로 협업의 영향이 적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B 연구실에서도 잘만 한다면 좋은 실적을 낼 수 있을 것 같아 고민입니다.

어떤 연구실에 지원하는 것이 좋을까요?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용감한 존 케인즈*

2023.05.08

구성원의 실력은.. 동기부여엔 득이되지만 실질적으로 득보기는 어렵습니다. 코웍한다고해도 동일한 수준 아니면 어짜피 주저자를 못먹기때문에.
오히려 좋은주제 싹다빨리고 잔처리해야할수도있어요.

어짜피 대학원실적은 교수가 1차적이고 2차적인건 코웍하는 타랩실입니다. 구성원실력이 별로면 거기서 조금만눈에 띄어도 교수님눈에 들어올테니 그쪽이 좋아보이네요

대댓글 3개

2023.05.08

답변 감사드립니다!
주제넘은 질문일 수 있지만, 실적이 안좋은게 구성원 실력 뿐 아니라 교수님의 실력 부족의 영향도 있을 가능성이 있나요?
용감한 존 케인즈*

2023.05.08

신생랩이면 실력부족보다는 주제잡고 기반다지고 있을 확률이 높은데 .. 이건 직접본게아니라 확답할수는 없겠네요. 다만 최근에 임용되는 교수들은 운이 좋아서 붙는경우는없습니다. 워낙 임용자체가 헬게이트고 실적만으로 한정하기때문에

2023.05.08

사실 신생이라고 하기에는 좀 애매한 것 같기는 하네요.. 3년차 되는 랩이라 신생이라 실적이 안나오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귀여운 백석*

2023.05.08

저라면 B가서 에이스가 되겠음. 신생랩이면 교수님이 좋은 주제도 많이 갖고 계시겠네. 좋은 논문들 몰빵될 수있는 좋은 기회

대댓글 3개

2023.05.08

3년차 정도 되는 랩인데 신생랩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여러 이유로 에이스가 될 자신은 확실히 있습니다.
귀여운 백석*

2023.05.08

오히려 좋지 않을까요? 기본적인 랩세팅은 끝났을테니.... 아 비젼 랩이면 딱히 랩세팅이 필요 없겠구나... 그래도 테뉴어 받기 전이시라 여전히 활발히 연구하시려고 하실 겁니다. 근데 3년찬데도 실적이 별로인건 이상하긴 하네요. 랩 구성원들이 많이 별론가?

2023.05.08

거기 있는 분이 지인인데 그분 말씀으로는 실력 많이 없다고 하더라구요..

2023.05.0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A 가세요....
호탕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3.05.08

구성원 실력이 좋을 때
장점: 배울게 많다
단점: 경쟁해서 이기기 빡셈.

구성원 실력이 나쁠 때
장점: 1저자 다 먹고 교수님의 총애 얻을 수 있음
단점: 동료들이 한심해보임

2023.05.08

구성원들의 실력이 좋으면 코웤하기가 좋습니다
약삭빠른 카를 가우스*

2023.05.08

무조건 A입니다. 기본적으로 실력이 좋은 사람들 속에 있어야 배울 것이 많고 피어 프레셔 받으면서 내 실력이 좋아진다고 보면 됩니다. 윗 댓글 B에가서 에이스 먹으면 된다고 하시는데 말처럼 쉽지도 않거니와 랩 밖으로 나오면 우물안 개구리가 될 확률도 다분합니다.

대댓글 2개

약삭빠른 카를 가우스*

2023.05.08

교수님이 별로여도 학생들 실력이 좋다고 정평났으면 외부인은 모르는 이유가 분명히 있지 않을까요?

IF : 5

2023.05.08

무조건 A. B에서 에이스되는건 쉬운데 전체적으로 봤을 때 그 고점은 그렇게 높진 않습니다. 그리고 어차피 내 경쟁상대는 주로 랩 밖에 있습니다.

2023.05.0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 실력이 가장 중요하지만, 보통 연구실의 평균적인 실적보다 잘 내기가 쉬운 일은 아님. CVPR도 써본 연구실이 잘 씀

2023.05.08

내부 정보원의 bias도 고려하십시오. 또한, 연구실 수준에 따라 본인이 경험할 수 있는 게 다르다는 점 역시 고려하십시오. 그 외에 문제는 본인에게 변수로 작용할 것이고, 그에 따른 상황을 대학원 신입이 컨트롤 할 수 있다는 오만함을 무엇보다 경계하십시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