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서울 끝자락 대학 다니고 있습니다. 제가 과가 안맞아 뒤늦게 공부를 시작해서 학점이 3.5입니다. 과도 자연대고 복수전공으로 hci관련 학과하고 있는데 부전공으로 마무리할 것 같습니다.ㅠㅠ
데이터시각화 기초파이썬 정도 할 줄 알고 추가학기 다니며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쪽 수강할 계획입니다. 아니면 추가추가학기 다녀서 복수전공으로 데이터사이언스 커리 탈지도 고민중에 있습니다. 다음학기에 자대 학부연구생도 지원할 생각인데 스스로 부족한게 많아 걱정입니다.
3.6정도 학점에 hci관련 부전, 데싸 복수전공, 그 외에 토익은 800 이면 대학원 진학이 많이 어려울까요?
학부가 좋지 않은데다 내세울 게 없지만 열심히 준비해보려 합니다.
뒤늦게 이쪽에 흥미가 생겨서 어떤 식으로 준비해야 할지 조언 구합니다. 쓴소리도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3.05.21
관심 랩을 먼저 정하시는걸 추천드려요
대댓글 1개
2023.05.21
감사합니다 hci 관련이나 의료접목데이터분석 쪽으로 눈 여겨보고 있는데 목표를 어디 쯤으로 잡을 수 있을지 의견 듣고 싶어 질문 남겼습니다.
2023.05.21
결국 본인 능력따라 지원하는거여서... AI를 하고 싶다 하면 결국 어딘가에는 갈 수 있습니다. 당연히 현상태로 SPK는 어렵고요. 그 밑부터 하나씩 컨택 해봐야죠
대댓글 1개
2023.05.21
감사합니다. 준비하는 기간 동안 최선을 다해보고 좋은 결과 내보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2023.05.21
꼭 자대대학원 학부생인턴 말고 다른 상위대학 랩 학부생인턴 해보는것도 좋을 것 같은데요. 학부생인턴조차도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그건 그것 나름대로 동기부여가 될 것 같고... 저는 s대고요, 컴공은 아니지만 AI쪽 랩인데, 저희 랩 보면 부산대에서도 학부생 인턴들 오던데요. 꼭 '컴공'의 AI랩을 가야겠다 생각 마시고, 공대의 여러 학과 중에서도 AI를 하는 랩을 잘 찾아보면 학부생인턴 경쟁이 치열하지 않은 AI랩들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파이썬 코딩을 할줄 아는지보다, 선형대수학을 제대로 공부하고 왔는지가 더 크리티컬하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seaborn 라이브러리나 scikit learn 라이브러리로 iris dataset PCA하고 시각화해보았다고 하는 건... 솔직히 말해서 한컴타자연습 열심히 했다는 것처럼 들리고요, 차라리 PCA의 수학적 기초, 이를테 covariance matrix의 eigenvector가 왜 principal component인지 말할 수 있는 학생이 더 훌륭한 것 같습니다. 어차피 AI쪽은 각자도생, 스스로 하는 공부입니다. 국내대학 학부에서 머신러닝 체계적으로 배우는 커리큘럼 그렇게 많지 않다는 것 교수님들은 다 아실겁니다. 자소서나 면접에서 학점을 꾸역꾸역 잘 땄다고 하기보다도(물론 기본이겠습니다만), 자기가 그렇게 독학으로 이만큼 수학공부를 했다는 걸 어필하시는 게 더 나아보여요. 유튜브에 영상 강의들 많으니까 찾아보세요. 통계/빅데이터쪽이라면 Statquest 채널 영상 정주행하시는것 추천합니다.
대댓글 8개
2023.05.21
안녕하세요 말씀해주신 영상 꼭 챙겨보고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추천 감사합니다. 지적해 주신 부분대로 선형대수학 열심히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부를 시작하는 데 있어서 달아주신 댓글이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남은 준비기간 동안 공부다운 공부 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혹 선형대수학 외에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능력이 무엇일지 질문 남겨도 될까요?
2023.05.21
저도 제가 AI공부 처음 시작할 때 비슷한 고민했던 입장으로서 공감돼서 댓글 남기는데요, 기존에 그 학계에서 의미있게 하던 연구 분야가 있고 거기에 AI를 응용하는 랩이라면 모를까, (예를들면 자연대 생명과학 대학원에서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도입하는경우) 순수 AI 아키텍처 쪽으로 가실수록 수학, 통계학 지식이 많이 요구됩니다. 저도 처음에 강아지/고양이 분류기 죽어라 만들고 그놈의 iris, MNIST dataset으로 머신러닝 실습 많이 했었는데요, 그런다고 '머신러닝 연구' 실력이 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 머신러닝 초입에 다들 하는 공부니까 글쓴님도 하셨을 거라고 생각하고 조금이라도 공감이 될까 해서 말씀드리는 거고, 글쓴님을 이것밖에 안 했을거라고 지레짐작하는건 아닙니다, 제가 그랬다는거예요) 물론 뭐든 안 하는 것보다야 낫죠. 파이썬이라는 도구를 자유자재로 다루기까지 연습도 해야 하고요. 코드실습을 하다보면서 알게되는것들도 있습니다. 제생각에는 1) 코드실습을 많이 해보면서 파이썬을 잘 다룰 수 있게 될 때까지 훈련은 어느정도 하고, 2) 수학적 기초는 따로 공부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2023.05.21
1번, 코드실습에 관해 말씀드리자면, 한두달 방학기간 활용해서 책으로 코딩 따라쳐보면서 공부하시는게 제일 가성비 좋은 것 같습니다. 혼자 하기 힘들다면 국비지원 코딩교육 받으시는걸 추천합니다. 내일배움카드 신청하고 온라인 인강사이트에 등록해서 20만원상당의 강의를 공짜로 듣는거예요. 코드실습하기 좋게 나오는 책들로는 위키북스 출판사에서 나오는 책들이 입문용으로 유명하고요, [나의첫 머신러닝/딥러닝] 책 추천합니다. 머신러닝은 추가학기 다닌다고 대학에서 가르쳐주는 지식이 아니라서요... 대학에서 가르쳐주겠지 하시면 안되고 끊임없이 스스로 학습자료를 찾으셔야 합니다.
2023.05.21
2번 수학공부 같은 경우는, 저는 StatQuest랑 유튜브 공돌이의 수학정리노트, 혁펜하임, 공대형아 채널에서 많이 배웠습니다. 이것보다 더 좋은 강의들도 찾아보면 얼마든지 있을 거라는 생각도 드는데, 일단은 유튜브로 들을수 있는 무료강의라 추천드립니다. 저는 서울대생이지만 부끄럽게도 학부 인턴 지원할 때 이런 것들도 모르는 상태로 지원해서 자교빨 하나로 인턴 시작했는데, 글쓴님이 이런 공부를 쭉 하시고 이 내용을 다 알게 되었을 때 면접에서 이런 내용들을 당당히 밝히시면 어딘들 못 뚫을까 싶습니다. 추천해드리는 책과 영상은 저희 연구실에서도 기초가 부족한 인턴 학생들한테 던져주는 material들입니다. 방학 때 이런 공부를 마치시고 다음학기에 머신러닝 강의를 수강하시면 진짜 양민학살하는 위치에 서시게 될 겁니다. 데이터사이언스는 잘 몰라서 머신러닝 쪽만 말씀드렸고요, 저는 머신러닝 초보를 갓 벗어난 입장이라 막 엄청난 대가의 견해라고 하긴 힘들지만 주위 친구들 얘기 들어보면 저랑 생각이 비슷비슷한 것 같습니다. 공부는 대학 강의로 하는 게 아니라 티스토리 블로그 찾아보고 책 보면서 하는거다, 정도는요.
2023.05.21
정말 감사드립니다. 실은 정말 어떻게 준비해야할지 막막했는데 남겨주신 댓글 덕에 갈피가 잡히는 거 같습니다.
학부에 연연하지 않고 남겨주신 말씀대로 할 수 있는 최선의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학 능력이 부족한데, 알려주신 강의 보며 방학 동안 갈고 닦아보겠습니다.
친절히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누군가의 시작에 이토록 친절함을 보여주시는 것을 보면 글쓴님께서는 멋진 선배님이실 것 같습니다.
편안한 주말 밤 되시고 하시는 일 모두 잘 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좋은 결과 생기면 다시 댓글 남겠습니다. ^-^
2023.05.21
아 제가 머신러닝, 데이터사이언스 언급을 하셔서 그쪽 순수AI분야 진학을 희망하시는 줄 오해하고 댓글을 단 면이 없잖아 있네요;;; 죄송합니다... 글쓴이님은 자연계열/HCI계열의 대학원중에 AI를 응용하는 랩에 진학하고 싶으신 건지요? Human Computer Interface 분야는 잘 모르지만, AI를 연구의 일부, 즉 도구로 다루는 랩에 진학하고 싶으신 거라면 라이브러리를 잘 쓸 줄 아는 정도로 충분하니까 국비교육 등등 알아보시면서 프로젝트 경험해보시는걸로도 충분한 AI 역량이 될 것 같기는 합니다... (그래도 수학적인 기초가 있으면 그 가치를 알아봐 주시는 교수님께는 플러스 알파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다만 글쓴님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요소를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역량이 있다는점을 어필해서 보완하고 싶으신 거라면, AI를 활용해서 '뭘 하겠다'는 생각을 하셔야지, 그냥 AI를 다룰 줄 알면 그게 곧 나의 역량이 되겠지~ 라고만 생각하시면 위험할 것 같습니다.
2023.05.21
앗 넵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막판에 제가 글쓴이님 상황을 잘못 이해한건지 헷갈려서 죄송스러웠는데, 그렇게 말씀해주시니 감사하네요. 사실 순수AI든 응용분야든 공부를 많이 한 것 같은 기운을 풍길 수 있는 사람이 되시면 어디든 잘 가실거라고 생각합니다. 화이팅!!
2023.05.22
네 준비한 게 많으면 선택의 폭도 넓어질 수 있으니까요. 말씀해 주신 대로 열심히 준비해보겠습니다. 추천해주신 것들 모두 두루두루 갖춰서 똑똑이 되어볼게요 ㅎㅎ ! 계신 대학원이 너무 높은 곳이라 ㅠ 랩 선배님으로 뵙기는 어렵겠지만 랩실을 간다면 선배님같은 분을 만났으면 좋겠네요! 오늘 하루도 좋은 하루 되시고 하시는 일 모두 평안하세요
2023.05.21
대댓글 1개
2023.05.21
2023.05.21
대댓글 1개
2023.05.21
2023.05.21
대댓글 8개
2023.05.21
2023.05.21
2023.05.21
2023.05.21
2023.05.21
2023.05.21
2023.05.21
2023.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