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k 대학원도 합격했고, spk 대학원도 합격해서 고민 중입니다. yk대학원은 학부때 관심 전공인 연구 분야를 다루고, spk대학원은 학부때의 관심 전공과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등록금도 싸고, 일단은 spk라는 대학원 이름값 때문에 고민 중입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떡하실 것 같나요..? 물론 관심 전공을 나중에 기업에 가서 살리는 건 다른 일인걸 알긴 아는데요 그래도 2년 공부할 거면 관심 전공인게 낫지 않나 싶은 생각도 있고..
일단은 석사2년 후 바로 취업할 생각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IF : 2
2024.01.11
yk학부에 석사만하고 기업 취업이면 자대나 spk나 거의 영향 없음, 오히려 연구 분야가 취업에 더 영향을 줌
2024.01.11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지거극 반도체전공이 yk 인공지능학과보다 더 취업이 잘될수있어여
2024.01.11
취업만 보고 생각하면, 연고대 학석이나 spk석사나 차이는 없을겁니다. 다만, 본인이 spk경험했다 + 랩사람들 네트워킹 + 차후에 파트타임으로라도 박사학위 받을생각이 있다 등등을 고려할때 spk진학하는게 유리한건 있겠죠.
2024.01.11
yk 가라는 사람들은 전부다 yk 이신듯
2024.01.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랩바랩인데 yk보다는 서울대에 좋은랩의 비율이 높을 것임. 이건 일반화적인 생각이니 랩을 따져보는건 추천. SPK만 따로 리크루팅 나가는 곳도 있으니까 랩 수준이 동일하다는 전제 하에 S가 더 좋다고 생각해
2024.01.11
관심분야 좋은데... 얼마나 관심이 있으신가요? 학부레벨에서 알 수 있는 분야지식은 굉장히 한정되어 있어서... 지금 이 댓글을 보는순간 해당 분야의 유명한 저널 또는 학회 3개 정도는 댈 수 있으면 관심 분야 맞춰서 갈만한것 같아요. 그것도 안된다면 스스로를 관심있다고 속이고 있는건 아닌지 돌아보기 바랍니다.
2024.01.11
그래도 무조건 취업만 보기보다는 본인 학부랑 다른 대학원 가는걸 추천합니다. 그래야 인맥도 더 넓어지고 본인이 익숙했던 환경을 벗어나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더 성장할 기회가 많을 겁니다.
2024.01.11
2024.01.11
2024.01.11
2024.01.11
2024.01.11
2024.01.11
2024.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