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서울대는 최고 종합대학이다 보니 인정도 받고 융합학문? 그런게 잘 되는 것 같고
카이스트는 제가 알기론 전자 공학 분야는 탑이지만 다른 과는 그냥 그런 것 같고
포스텍은 서울대로 연구 인력 많이 빠져서 예전만 못하다고 들었거든요...
물론 나쁘다는게 아니라 대학원의 성격과 특성을 말씀드리는 겁니다.
확실히 spk 대학원은 이게 좋다 이런게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Fritz London*
2020.07.17
한국(우물)안 엄준식(개구리)
Ibn al-Nafis*
2020.07.17
서울대 융합학문이요?
오히려 서울대엔 나이먹은 교수들이 많아서 그런거 안좋아하는거같던데
Ernest Rutherford*
2020.07.17
그럼 spk말고 다른 대학 가세요 ㅋㅋ;
Jean Bernard Leon Foucault*
2020.07.17
융합학문 교수 by 교수입니다
Martin Heidegger*
2020.07.17
spk학부에 학점도 좋으시면 미국탑스쿨 유학 가세요.
근데 어느 전공이든 국내에서 spk보다 좋은데가 있나요?
John Dryden*
2020.07.17
윗분말대로 국내취업 한해서는 동기들부터 해서, 정말 미국탑학교 아니면 spk가 더 유리할 확률이 높은것 같습니다.
본인 실력만으로 직장을 구하기보다는,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사람, 같은 연구실 출신을 통해서 이끌어주는걸 무시못하는것 같아요. 근데 이건 모든나라가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그래도 국내탑대학이면, 세계어느그룹이랑 비해서도 스스로 경쟁력이 있다고 자부심 갖는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여기 사람들보면, 본인실력에 대한 자부심보다는 그냥 학교이름에 대한 뽕만 찬 친구들이 좀 많은것같아서 아쉽네요.
IF : 1
2020.07.18
K도 s로 최상위 연구인력 뺏김. 지방대는 어디나 마찬가지. 대신 K나 p는 빈 자리를 나간 사람 못지 않게 우수한 인재로 금방 채우는게 가능해서 빠르게 복구함. 생각해보세요 우리나라 사람중 얼마나 많은 박사가 연간 배출되는지. 그리고 최상위 연구자들이 연구하기 좋은 곳으로 가고 싶을텐데 국내에서 가고싶을 만한 대학이 어딘지. 일정수준 밑의 대학은 최상위 연구자들은 오지 않고 외국에 남거나 합니다. 그래서 s와 kp를 안정적인 최상위 연구기관으로 쳐주는 겁니다.
2020.07.17
2020.07.17
2020.07.17
2020.07.17
2020.07.17
2020.07.17
2020.07.18
2020.07.18
2020.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