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출연이 목표면 연구 분야와 논문 실적이 매우 중요합니다. TO를 만들어주는 건 분야도 같고 실적이 매우 뛰어난 사람 잡으려고 만들어주는 거고요. 2+1 이후로 대부분의 전문연 박사는 일반 중소중견기업 들어가서 기간을 채우게 됩니다. 컨택은 졸업 직전에 보내면 되고요. 사실 정출연 들어가는건 연구 분야 운이 필요하고 인맥과 연구 실적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팁을 주자면 국제 학회 가면 대부분 정출연 분이 있을 텐데 그분들에게 바로 물어보거나 명함 받아서 따로 연락하면 됩니다.
대댓글 3개
2024.06.04
아하, 감사합니다. 정출연 포닥TO도 쉽게 볼 수 있는게 아니였군요. 좋은 팁 감사합니다.
2024.06.04
윗분 정출연 정직원으로 착각하신 것 같은데, 정출연 포닥은 to 따로 없고 연구비 있으면 공고 내고 뽑아요 가고 싶은 pi한테 이메일로 문의드리면 돼요
2024.06.04
그렇다면 보통 언제쯤.. 연락을 드려야 미리 공고내고 하실 수 있으실까요?
2024.06.04
정답이 어디잇겟어요. 가고싶은 PI가 예산이 없으면 1년전에 말해도 못뽑고, 예산이 풍부한데 인원이 부족하면 내정자 없이도 포닥공고 내고 다양하죠. 아는 지인이면 그냥 컨택해서 조언구해보세요. 공고나는건 좀만 찾아보시면 분기별로 언제나는지 찾아보실수잇는데, 공고내기 한두달 전에 내부에서 티오 먼저 찾아봅니다. 즉 공고나기 두달 전부터는 말해두는게 유리하죠
2024.06.04
대댓글 3개
2024.06.04
2024.06.04
2024.06.04
2024.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