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은 4.07/4.5 이고 복수전공으로 다른 학문 병행하고 있습니다. (공학은 아닙니다)
포스텍 기계공학과 목표로 대학원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포스텍 대학원 내 스포츠 프로그램에 관련해서 지원해보고자 하는데,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시는 교수님이 계신 학과로 지원해 해당 학문과 스포츠적 학문을 병행하는 프로그램인거 같은데 제가 공학쪽 학문을 배워본 적도 없고 기타 어필할만한 스펙은 없지만.. 제가 해보고 싶은 연구 방향성과 목표는 확고한데 이러한 경우 보통 교수님들의 생각은 어떠하실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Johannes Brahms*
2020.07.30
기계공학과라면 최소한 기본적으로 4대역학은 수강해야지 뽑히든 말든 할겁니다
전공은 안했지만 4대역학 과목에서 a+로 도배하면 가능성은 없진 않겠네요
2020.07.30
교수 생각은 모르겠고 내생각은 "미적분은 할줄아나?" 가 떠오르는데 그 스포츠 프로그램이라는게 뭔지에 따라 다를듯
2020.07.30
기계공학 말고 컴공이면 좀 할만할것같은느낌
R. G. Collingwood*
2020.07.30
힘듬
2020.07.30
ㄴ 의견들 감사합니다. 컴공은 좀 할만 할꺼 같다는 느낌이라고 말씀해주셨는데 그러한 이유가 있을까요?.. 지원할때 자신의 프로그래밍 능력을 어필해야하는거 같던데..
Masaccio*
2020.07.30
기계공학과가 뭘 배우는 학과인지 먼저 이해하시는게 좋을듯 해요. 그냥 어렴풋이 아 그거랑 관련된거면 기계공학과 인가? 라고 생각하고 말씀하신게 아닌가 싶어서 말씀드립니다.
R. G. Collingwood*
2020.07.30
기공은 기본지식이 크게 작용함. 미국 기계공학 박사는 기계공학 석사를 필수요건으로 하는곳도 많고, 카이스트는 입학시험을 별도로 두는 이유도 그 때문임 그리고 포공 스포츠라고 해서 그것을 기술적으로 접근하는 것이지 콘텐츠적으로 접근하는게 아님 컴공은 이런 제한이 들하니 더욱 가능성이 있겠지 컴공은 모든 학문의 기본바탕으로 인식되니까
어떤 학위 프로그램으로 입학하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입학해서 어떤 랩으로 가느냐가 학위과정에 영항을 끼침. 관심있는 연구실 홈페이지에 연구분야/연구실에서 나온 논문들이 실려있는데 읽어보면 대충 뭐하는곳인지 알 수 있을거임. 물론 논문은 학부생은 대부분 잘 이해못하니까 이해가 안간다고 너무 좌절하지는 않아도됨.
2020.07.30
코스웍이 나와있는데 코스웍이 엄청 중요하지는 않더라도 대충 따라갈수준은 되어야함. 과목들 대충 보니까 4대역학 등 기계공학 베이스는 필요없어보임. 다만 인공지능 관련수업은 미적분학/통계/선형대수 등을 기본적으로 알아야해서 어려울것같음. 수학만큼 어렵진 않지만 AI니까 프로그래밍도 할줄알아야겠네. 본인 연구방향성과 목표가 어떤건지 잘모르겠지만 잘알아보고 본인이 생각했던것과 비슷한지 확인해보시길
2020.07.30
보통 (수학적)이론을 기본으로 깔고가는 분야는 이공계 전공생이 아니면 접근이 힘듬. 근데 HCI, UX 같은건 수학이론으로 돌아가는 분야가 아니라서 할만할수도있음. 데이터 처리하려면 프로그래밍을 어느정도 해야겠지만 수학에 비하면 어렵지 않을거임.
2020.07.30
Brecht 님 조언 감사합니다. 맞습니다. 제가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이 AIX 프로그램입니다. 애초에 프로그램 자체가 국민체육진흥공단 그리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협력해 만든 프로그램으로 학과 상관 없이 전 계열의 학생들을 4차산업 기술 기반으로 한 인재 양성 취지로 시작한 프로그램인데 선정된 학교가 포스텍, 성균관 이다 보니 오히려 공학도 외의 분야 사람들에겐 벽이 느껴질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2020.07.30
저는 신체적 활동 데이터 분석, EPTS 관련해 스포츠 퍼포먼스 창출 관련한 분야에 관심이 있습니다. 희망하는 기계과 지도 교수님 랩실 홈페이지를 참고해본 결과 로보틱스 관련해서 주로 연구 방향을 잡으시는 것 같습니다. 제가 본문에서는 언급하진 않았지만 물류학을 복수전공 하고 있는데 물류 산업에서 자동화가 큰 이슈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대한 연구도 해 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보았었습니다.
2020.07.30
교수들이 학생뽑을때 연구실 예산상황/과제상황 같은것도 많이작용해서 꼭 학생만 보고 뽑는건아님. 해당분야 이론위주로 연구하는사람은 전공생 아니면 꺼려할수 융복합연구하느라 타과생도 뽑는교수는 환영할수도 있을것같음. 연구실 상황에 따라 자기가 하고싶은 연구주제가 아니라 그냥 연구실에서 하던 과제를 맡아서 해야 할 수도 있음. 뭐 아무튼 화이팅하셈.
2020.07.30
꺼려할수 -> 꺼려할수도있음
2020.07.30
조언 정말 감사드립니다. 혹시 염치불구하고 한가지만 더 질문 드려도 될까요? 포스텍 같은 경우에는 서류 1차 합격 후에 희망 지도 교수님께 컨택을 해도 늦지 않다던데 이는 사실인가요?
2020.07.30
님같은경우는 학부전공이 좀 특이해서 일반적으로 다른 연구실에서 학생으로 받아주는걸 좀 꺼려할 수 있음. 즉 컨택실패시 다른 랩 갈 수 있는 플랜 B가 약하다는것. 그런거 고려하면 컨택을 일찍하는게 좋을듯한데 포공 서류 1차 합격 ~ 입학 사이에 기간이 긴 걸 생각하면 별로 늦진않을것같음.
2020.07.30
ㄴ 답변 너무나도 감사합니다. 부족한만큼 많이 공부하고 배우는 자세로 준비해보겠습니다. 어떠한 분야에 계시든 건승하시고 항상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07.30
2020.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