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인경기 석박사와 인서울 석박사 차이가 클까요?

2024.08.15

14

2424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수도권 대학원 진학하고자 합니다.

학사는 지방 국립대 다니고 있고 자대에는 원하는 연구를 하시는 교수님이 올해 들어오신 완전 신생랩 제외 없기에 타대 진학을 원합니다.
컨택을 늦게 시작하기도 했고 본가에서 통학을 원하여 인서울권보다는 경기권으로 컨택을 하고 있습니다.

늦은 컨택으로 석사 to는 원하는 랩 대부분 다 찼고 석박과정으로 진학하라는 연락을 받고 있습니다.

석사 후 박사과정을 진행하게 된다면 해외에서 진행하길 선호하지만 불가능할 경우 국내에서 진행할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국내 과정으로는 석사만 생각하고 찾아보았는데 석박 과정으로 지원하라는 연락이 많아 석박을 인서울이나 해외가 아닌 인경기로 하는 것이 취업시에 큰 차이가 있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랩바랩인 것은 알고 있고 컨택한 랩은 대부분 대기업으로 갔습니다.)

원하고 컨택한 랩은 대부분 자대생으로 이뤄져있고 자대생으로 내년 연구실 석사 to가 모두 차서 석박으로 지원하라는 연락을 받은 상황입니다. 랩바랩이지만 포괄적으로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08.15

공대 계열 가정하에 적습니다.
소위 말하는 SPK / YK / SHJK / IST 계열이 연구 중점대학입니다. 이 쪽으로 진학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면, 인서울 vs 인경기의 비교는 의미가 없습니다. 여기서부터는 지도 교수과 본인의 능력이 중점이거든요. 석사라면, 본인의 능력이 더 중요하다는 입장입니다.

대댓글 11개

2024.08.15

그정도면 그냥 대학원 진학 준비하는 사람들이 다 가능한 정도인데요.. ist도 친구보니까 지사대 학점 3점초에 전전 서류컷안나던데

2024.08.15

질문자 질문은 걍 전형적으로 먹금하면 되는 질문임

2024.08.15

"다" 라는 말은 조심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김박사넷에 보면 떨어지는 글 많거든요~
IST도 학교가 4개가 있지 않습니까^^

2024.08.15

혹시 하나만 더 여쭤봐도 될까요?!

저는 공대 계열이 맞습니다!!
연구 중점 대학에서 석박사를 진학하는 것과 아닌 곳에서 하는 경우는 많이 다를까요??!
학부생 입장에서 논문을 봤을 때 질 좋은 논문을 판단하기엔 어려움이 있어 논문의 양과 alumni를 보게 되었습니다.
SH 랩실을 찾아봤을 때 제가 가고자 하는 랩의 alumni 차이가 거의 없었습니다. 비슷한 계열의 대기업이 주를 이뤘던 것 같습니다.

연구 중점 대학이 더 좋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지원시기까지 얼마 남지 않아 새로 컨택을 해야하는 상황에서 SH에 컨택해볼 수 있겠지만 대체로 TO가 차있어 컨택에 어려움이 있어 여쭤봅니다ㅠㅜ

2024.08.15

우리나라에서 연구중심대학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곳은 몇 군데 없습니다 ㅎㅎㅎ 잘 모르고 쓰시는 듯 하네요

2024.08.15

기본적으로 연구 인프라가 차이가 납니다. 그러다보니 연구에 대한 자유도도 차이가 나고요. 그래서 상위권 대학이랑 협업을 많이 하십니다.
논문의 양도 중요하지만 질적인 평가가 중요합니다. 학교 PC를 통해서 접속하셔야될텐데, 구글링을 통해 JCR에서 저널의 IF/Rank 보는 법을 찾아보세요.

교수님별 편차가 크긴 하지만, 산업체 과제를 통해서 취직하는 사례가 잦은데요. 산업체 과제는 상위권 대학에서 많이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S사는 상위권 대학 혹은 관련 기술 보유 교수님이랑만 과제하기로 유명)

2024.08.15

말씀대로 연구중점대학은 몇없죠 ㅎㅎ 잘 알고 있습니다.
제가 나열한 대학들은 그래도 대학원생 수급이 괜찮은 학교들입니다.

2024.08.15

ㅎㅎㅎ 연구중점이라고 생각해본적 없고요 대학원생 수급에 큰 문제 없는 것은 맞는데... 사실과는 많이 다릅니다만 다빈치같은 분들께서 이렇게 무료로 열심히 홍보를 해주셔서 그런 것 같습니다 ㅎㅎㅎ

2024.08.15

말씀하신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ㅋㅋ 무슨 의미인지 알고 있고요.
아마 저기가 아닌 대학들의 연구 환경을 전반적으로 보시면, 왜 제가 저런 말을 했는지 이해하실 것 같습니다.

2024.08.15

SHJK는 뭐임ㅋㅋㅋJK는 중경인가 중경이 언제부터 연구 중점 대학이었음?
걍 이런 분류 무시하시고 연구실 실적하고 분야, 교수님 지도력만 보고 들어가세요.
서열은 높을수록 좋긴 하지만 연구실 고를 때 중요한 지표가 아닙니다. 좋은 연구실을 골라야죠.

2024.08.15

대학원생 수급이 괜찮은 학교는 SKP정도고, 연구중점대라고 할만한 학교는 SPK, IST, YK 일부 학과 정도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성대랑 한양대도 괜찮은 학교긴 하지만 위 학교들과 차이가 많이 나고, 중앙대랑 경희대는 성대랑 한양대와 또 차이가 상당히 많이 나는 것 같은데요. 고등학교 입결은 비슷해졌는지 모르겠지만...

2024.08.15

어디가 인경기인지 몰라요

2024.08.16

인경기란말은 없어요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