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시대에 뒤쳐지지 않으려면 AI를 공부해야 합니다.

2024.09.06

28

6937

요즘 AI 기능들을 보면 너무 충격적이더군요.

불과 1년 전까지만 해도 아무리 발전해도 AI는 한계가 명확할 거로 생각했는데 요즘 AI를 보면 특히 자연어처리 컴퓨터 비전 쪽은 인간 수준으로 높아진 거 같더라고요...요즘 GPT나 다른 여러 AI 모델들 보면 나중에 가면 AI가 혼자 실험 셋업, 실험, 결과 도출까지 전부하고 제 직장이 없어질까 항상 위협을 느낍니다.

최근 AI가 거품이다. AI 포화다 말이 나오는데 아직 몇 년도 되지 않았는데 벌써 이렇게 우리 일상에 깊게 들어오게 된 거니 아마 앞으로 스마트폰처럼 우리 일상에 AI는 당연히 사용되는 그런 시대가 올 거라 과감히 예측해 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울적한 노엄 촘스키*

2024.09.06

근데 시대에 뒤쳐지면 안되냐?

대댓글 5개

2024.09.06

님 연구자 아님?

2024.09.06

시대에 뒤쳐지는건 본인 자유긴 함. 근데 그럼 연구를 할 수 있나?
울적한 노엄 촘스키*

2024.09.06

조만간 ai가 유레카 외치겠군
컴이 대가리를 대신하니까 다들 맛탱이가 갔나
울적한 노엄 촘스키*

2024.09.06

네들 논리라면 연구자는 ai야. 그리고 네들은 그저 간신히 입장이 허락된 관객이라할까

2024.09.10

디씨에서 볼만한 중2병 ㄷㄷㄷ

2024.09.06

근데 AI가 새로운 이론도 찾아낼 수 있을까요? 예를 들면 상대성 이론 같은 거… 아무리 기존의 책들, 19세기의 모든 책을 학습해도 상대성 이론은 만들어낼 수 없을 것 같은데

대댓글 3개

2024.09.06

AI모델로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은-금 사이 레벨이라는 거 보면 충분히 가능할 것 같아요. 상대론도 사실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진게 아니라 기존 연구들에서 힌트는 있던 거니까요. 알려진 수학법칙들과 고전역학, 고전전자기학을 인풋으로 넣고 새로운 물리학적 측정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하는 이론을 찾아라 하면 광속불변정도는 충분히 유도해내겠죠.

2024.09.06

절대요. 현재 페러다임으로는 새로운 이론이나 없는 이론을 만들어낼 수 없습니다. 그냥 유튜브에 떠도는 쉽게 설명해주는 영상 몇개만봐도 아실텐데요. 그리고 국제수학올림피아드 문제푸는거랑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내는거랑 무슨 상관관계가 있죠?

2024.09.06

와우 대단하네요. 근데 AI가 상대성이론 같은 것도 만들어낼 수 있다면 왜 그런 노벨상급 연구를 못하는 거죠? 예를 들면 우주의 암흑물질 같은 건 기존의 이론과 실제 관측치와 불일치해서 여러 가설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데 왜 AI를 이용해서 새로운 이론을 찾지 못하나요? 그렇게 되면 바로 노벨상 급인데.

2024.09.06

AI 연구하는 것과 활용하는 것을 혼용하시면 안됩니다. "AI 포화다" 는 연구자에 대한 이야기지 활용과는 관계가 없죠.

2024.09.06

제가 만든 물리계산모델로 입력 출력데이터 모아서 딥러닝했더니 비슷하게 추세를 맞추더군요. 아주 정확한 값을 내놓지는 않고 대략적인 경향을 쫒아서 값을 출력하는것을 보고 놀라웠죠. 3년걸쳐 만든 모델을 금방 이해했다는 얘기인데. 겨우 데이터 700개 가지고했지만. 데이터 개수 늘리면 얼마나더 정확해지려나? 놀라울 뿐입니다.

대댓글 3개

2024.09.08

이해가 아니라 근사죠

2024.09.18

엄밀하게 근사겠군요. 그래도 신기하긴하네요. 저는 ai가 앞으로 전분야에 필수가 된다에 한표던집니다

2025.03.26

다만 님이 만드신 모델은 내부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인간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생성되어있는반면, 딥러닝 모델은 내부설계도가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형태아닌가요? 설명력있는 변수들을 가진 높은 예측력의 고전 모델의 가치는 딥러닝시대에도 분명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부지런한 피보나치*

2024.09.06

시대에 뒤쳐져서가 아니라 편하니까 하는겁니다
10km 안걸어기고 차타고가면 대세따라 사는겁니까 편하니까 타는거지

2024.09.06

gpt4가 나쁜수준이고 gpt5가 괜찮은 수준이라고 했는데 gpt5는 얼마나 대단할지 궁금함

2024.09.06

ㅋㅋㅋ 상대성이론 가져와서 AI까는거는 진심 합당한 논리하고 생각하는건가 배울만큼 배운사람이 자기방어하려고 저러는거 보니까 웃기네

대댓글 1개

2024.09.06

여기서 자기방어해서 무슨 의미가 있음? ㅋㅋㅋ AI가 상대성 이론 같은 거 만들 수 있는지 궁금해서 물어본 거고 가능하다고 해서 그럼 그런 거 만들어서 노벨상 받으면 되는데 왜 못하냐고 물어본 건데 무슨 문제라도 있음?

2024.09.06

1년 사이에 발전된 양상을 보면 그 이후 사실 어디까지 가능할지 가늠이 안됨.

2024.09.07

분야사람이 아니면 알고리즘 자체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할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각자 분야에서 충분히 효율적으로 사용하는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chatGPT로 저도 일반적인 수식계산(미적분등)이나 특정내용에 대한 요약은 정말 잘해준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유용한건 ai를 통한 일러스트 생성이라고 생각합니다. 과제제안서를 할때 보통 정말많은시간이나 심지어 금액을 일러스트에 소요해야됐지만, 최근에는 정말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통 hero image와 같이 전반적인 컨셉에 대한 일러스트는 ai가 충분히 잘 그려줘서 제가 조금만 수정하면 되더라고요.

2024.09.07

막연하게 AI 공부하고 있지만서도 경계를 모르겠네요
어디까지 공부해야하는지..

2024.09.07

근데 시대에 뒤쳐지면 안되나? ㅋㅋㅋ 저 질문자 철학과 박사이심! 얼마나 이 깊이 있는 통찰인가!

2024.09.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근데 글쓴이같은 사람들 특징
뭘 해야한다 그럴싸하게 주장하면서도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 못함

2024.09.08

딥러닝
현재 비전, 자연어처리 특히 llm공부를 하고있습니다
최근 Sakana ai 에서 개발했던 연구자 ai를 보면 아직 엔지니어링 코딩부분만 이긴하지만 스스로 실험계획, 멀티에이전트 방식으로 코드 생성, 리뷰, 개선 실험을 스스로 진행하고 논문 작성까지 완료합니다.
아직 퀄리티와 hallucination 현상이 존재하기때문에 아직은 멀었지만 조만간이라고 봅니다.

또한 로봇쪽도 calibration, 강화학습 기술이 나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범위로 확장 가능해 보입니다. 솔직히 AGI라는건 없다라는 사람도 많지만
전 이미 여러가지 가능성이 보이네요
Ai가 연구자를 대체하지 않으리란 법은 없는거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9.08

먼 미래에는 AI를 관리하는 사람이 지배층이 되고 나머지는 피지배층 이 된다는 책도 있고 ( 와중에 연예인은 살아남는 )한데
솔직히 말해서 미래를 예측해서 직업이 다량 사라질 수 있더라도 시기를 예측하는건 매우 단기적인 기간까지만 가능하다고 봅니다.

결국은 본업을 하면서 새로 등장하는 AI 기술에 대해 어느정도까지 가능한지에 대해서만이라도 알고 있으면 된거 같습니다.
그러다 어느순간, 본업에 영향을 줄만큼 범위를 넘어서면 도전적으로 공부하고 미래를 대비하는게 제일 건강한 대안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2024.09.08

정작 공학+AI하는 사람들은 하면 할수록 AI에 괴리감과 현타를 느낍니다. 생각보다 AI가 멍청해서요

대댓글 1개

2024.09.10

그러게요 ㅎㅎ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