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없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는데 리뷰어 3분한테 공통으로 한국어 -> 영어 번역이 가독성이 떨어진다. (그래머리 썼는디..) 그림 퀄리티를 키워라 (이건 풀 스크린 PPT로 해결) 이렇게 받고 연구가 잘 뒷 받침 되어있다. 광범위한 분야에서 필요한 연구이다. 등 좋은 칭찬만 듣고 상위 5% 저널에 게재 되었습니다! 워드로 34페이지 나와서 너무 긴가 했었는데 "논문은 최대한 쉽게 지나가는 초딩도 이해할 수 있게 써야한다" 라는 말을 들어서 그래도 투고했는데 좋은 결과 나와서 다행입니다. 모두 좋은 결과 나오시길 바랍니다! 논문 작업중이신 분들 궁금한거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4.09.18
상위 5% 저널에 게재하려면 어떻게 해야되나요? 전 포닥 2년차인데도 잘 모르겠어서요.
대댓글 2개
2024.09.18
개인적으로 좋은 주제와 방법의 의의가 잘 강조된 라이팅이라고 봅니다. 상위 5퍼 저널 2편쓴 지나가던 1년차 포닥입니다.
2024.09.18
주제 (아이디어)가 임펙트가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거 같아요. 교수님께서 이부분을 강조하면서 아이디어 20번 정도 돌려보내셨거든요. 이 연구를 굳이 해야하나? 당연히 효율이 좋은거 아닌가? 특별히 다른 연구자가 참고할만한 연구인가? 이런식으로요.
2024.09.18
축하드립니다. 저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박사 과정을 막 시작한 학생입니다. 논문화 전에 연구를 진행 하며 혹시 특별히 신경 쓰는 부분이 있으실까요? 실험의 설계와 분석을 쌓아가며 그 내용들을 토대로 글쓰기까지 이어가고 싶은데 결과를 제대로 분석하는 것에 애를 먹고 있습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고 구현하고 실험하는건 재밌는데 결과가 애매할때 분석하는 건 재미가 없어서 그런건지... 소홀히하게 되네요
대댓글 1개
2024.09.18
감사합니다! 저는 연구 결과들 중에 중요도를 다른 사람이 이 결과를 쓸만한가? 이 질문을 중점으로 생각했어요. 결과가 혁신적이지 않아도 이 결과를 누군가가 써서 다른 연구를 할수 있다. 그럼 가장 혁신적인 결과라고 생각하고 논문화 하였습니다.
2024.09.18
풀스크린 ppt가 뭔가요? 크게 키워서 미세하게 수정했다는 건가요? 퀄리티 올리라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데 도통 감이 잘 안잡히네요
대댓글 2개
2024.09.19
풀 스크린 PPT 라고 했으니, 단순하게 그냥 화질 얘기인 듯 합니다.
2024.09.19
해상도 올리라고 한듯. 오리지날 이미지를 DPI를 높여서 저장하고 PPT에서 불러오면 보통 엄청 큼. 이걸 그대로 담으려면 PPT 슬라이드 사이즈 자체를 키워서 배치하고 최종 저장하는데 이걸 말하는듯.
2024.09.19
그림 해상도는 풀스크린ppt가 아니라 벡터 이미지로 해결하셔야 합니다ㅎㅎㅎ
대댓글 2개
2024.09.19
+보통 ppt에서 emf로 export 후에 그림판 열어서 figure 맞춰서 crop하고 tif로 저장. photoshop에서 dpi 수정 합니다. pdf로 해도 되구요.
2024.09.20
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벡터 이미지에 대해 한번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잘 몰라서 PPT에서 A4로 용지 설정하고 풀스크린으로 채운다음에 PNG로 만들었어요!
2024.09.20
축하드립니다.
2024.09.24
상위 5% 저널이 어디죠? 궁금해서요.
2024.09.24
축하드립니다! 좋은 저널에 게재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연구가 인정받았다는 뜻이니 앞으로도 좋은 연구 계속하시길 바랍니다.
2024.09.18
대댓글 2개
2024.09.18
2024.09.18
2024.09.18
대댓글 1개
2024.09.18
2024.09.18
대댓글 2개
2024.09.19
2024.09.19
2024.09.19
대댓글 2개
2024.09.19
2024.09.20
2024.09.20
2024.09.24
2024.09.24
2024.09.24